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오늘은 과전류 계전기 (EOC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과전류 계전기 역할

모터등이 연결된 회로에서 구동 중에 과전류에 의해서 소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과전류를 차단하는 기기입니다.

직입기동시에는 초기 기동시에 정상전류의 6~7배가 흐릅니다.

(와이 델타 기동시에는 기동전류의 1/3배)

모델은 반한시형과 정한시형이 있습니다.

현장에는 대부분 정한시형이 쓰이며 반한시형은 타임노브가 1개, 정한시형은 타임노브 2개 입니다.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반한시 (왼쪽)/ 정한시(오른쪽)

● 다음은 반한시형 EOCR 설정 방법입니다.

1. 타임노브설정방법

기동전류와 기동시간은 모터의 부하의 종류, 기동방식에 따라 다르다.

기동전류 6배는 직입기동방식일때 초기 기동시 흐르는 전류가 모터 정격전류의 6배라는것이다.

▶TIME노브 10초 설정시 정격 전류의 600%인 기동전류가 10초동안 인가되면 즉시 트립된다는 뜻이다.

(예: 기동전류가 정상 운전전류의 600%이며 기동시간이 10초인 부하라고 가정할때 TIME노브는 10~20% 여유를 두고 11~12초로 설정한다)

※직입기동은 보통 3~5초 정도만 해도 됩니다

2.RC노브 설정방법(정격전류)

▶RC 노브를 최대로 두고 모터를 운전합니다.

▶정상운전상태에서 RC노브를 서서히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과전류 표시등(OL)이 점멸되는 지점에서 정지한다. 이지점이 모터의 실부하 전류값(100%)을 나타낸다.

▶이 지점에서 다시 시계방향으로 RC노브를 돌려 OL 표시등이 소등되는 지점에 노브를 설정하면 된다.

(예: 전류 표시등이 20A에서 점멸할때 설정전류=20x1.1 =22(A) )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정한시용 EOCR 계전기 사용방법입니다.

현장에는 대부분 정한시형이 쓰이며 정한시형은 타임노브 2개입니다.

▶LOAD: 실제 과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레벨을 설정함. RC 노브를 사용하여 설정함

보통 전동기의 정격전류에 맞추면됨, 정확한값은 전동기의 명판을 참조할것

▶D(Delay)-TIME

전원 투입후 터 기동시에 과전류를 일정시간 동안 무시하는 타임.

보통은 소용량의 경우 5초이하설정 (소용량 전동기의 경우 3~5초이내 기동완료).

기동시간보다 약간길게 설정해야함

*모터의 기동 지속시간을 모르는 경우에는 최대로 설정한 후 기동전류가 정상이 될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해야 함

▶O(Opearting)-TIME

모터에 문제가 발생하여 과부하가 걸릴때 전동기가 트립이 될때가지의 시간을 설정 (일반적으로 4~5초정도)

※ RESET 버튼은 누르면 EOCR이 꺼졌다 켜진다. 초기화 시킬때 누른다.

#전기 #과전류계전기 #EOCR #시설관리 #전력공학 #설정방법

과전류 계전기(OCR : Over current relay)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유용한 전기자료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2015. 8. 20. 21:07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https://blog.naver.com/bongyounho/220457037952

과전류 계전기(OCR : Over current relay)

변류기(CT) 2차측에 접속되어 주회로에 과부하 및 단락 사고가 발생하면 변류기 2차측 전류가 계전기

정정 값 이상으로 검출 되었을 경우 동작하는 계전기 이다. 과전의 계전기의 정격은 다음과 같다.

정격전류

5A

설정범위

한시요소 3,4,5,6,8A

순시요소 30,40,60,80A

동작특성

한시요소 설정치에 대해서 오차는 ±10%

순시요소 설정치에 대해서 오차는 ±15%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유도형 계전기는 교류량에 대한 보호 계전기로 과거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림과 같이 알루미늄 원판의 중심을 축으로 지지하여 이것이 자유롭게 돌수 있게하여 놓고,  

말굽자석을 이 원판 사이에 끼우고 ​이 자석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판D는 자석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한다.

원판이 회전하는 이유는 그림 에서와 같이 위쪽의 자석을 N극이라고 하고 N극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S극으로 가는 자력선을 원판이 반시계 방향으로 끊는것과 같으며, 원판에는 와류가 흐른다.

이 와류와 영구 자석의 자력선 간에는 전자력이 생기며, 이 전자력은 프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생겨서​ 원판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자석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자석을 회전시키는것은 실용상 곤란하므로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자계를 회전시켜도 똑같은 결과가 되므로 코일을 적당히 배치하고 이것에

적당한 전류를 흘리므로 자계를 얻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자계와 회전 자계로 도체에 발생하는 와전류 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동작한다.​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직류트립방식(D.C trip device)

 급.배전선로상에 고장발생시 보호 계전기가 동작하여 차단기를 트립 시키는 방식의 일종으로서

발.변전소의 제어 전류인 직류(D.C)를 차단기의 트립 코일에 흘려서 차단기를 차단 시키는 것을

직류 트립 방식 이라고 하며 동작의 확실성 면에서 볼 때 이 방식이 가장 좋으며,

현재 대부분이 이방식을 채택 하고 있다.​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

교류트립방식(A.C trip device)

 급.배전선로상에 고장발생시 보호 계전기가 동작하여 차단기를 트립 시키는 방식의 일종으로서

발.변전소에 설비비. 설치장소등의 면에서  제어용 직류전원(D.C)을 설치할  수 없을 때 사고전류,

즉 교류전류 자체로서 계전기도 동작시키고 차단기도 트립시키는 방식을 교류 트립방식 이라고 한다.

아래그림에서 보면 사고시 C.T 2차 전류는 처음 OCR의 "b"접점을 통하여 OCR코일이 여자된후

이전류는 트립코일(T.C)를 여자 시켜서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방식으로 변류기2차 전류 트립 방식 이라고 한다.

예제22.9KV-Y 수전설비 에서 부하 전류가 40A일때

CT비는 60/5ACT를 통하여 과전류 계전기를 시설 하였다.

120%의 과부하에서 차단기를 동작시키고자

한다면 과전류 계전기의 전류탭은 몇(A)설정 하여야 하는가?

풀이) 과전류 계전기의 전류탭을 최대전류의

120%로 설정 하므로

과전류계전기 역할 - gwajeonlyugyejeongi yeogh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