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드랑이 가려움 붉은 - gyeodeulang-i galyeoum bulg-eun

겨드랑이 가려움 붉은 - gyeodeulang-i galyeoum bulg-eun

피부가 가려운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겨드랑이 가려움이나 사타구니 가려움, 엉덩이 등등 가려움이 생기면 쉽게 해소하기 어려운 부위가 있죠.

주로 땀 배출이 어렵거나 피부와 피부의 마찰이 잘 되는 부위, 통풍이 잘 안되는 부위 등에 가려운 증상이 한번 생기면 쉽게 낫지 않고 심해지게 되는데요.


대부분 여름철에 겨드랑이 가려움이 자주 발생하기는 하지만, 피부가 건조해지는 가을, 겨울철에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무덥고 땀이 많이 나는 여름철에 나타나는 겨드랑이 가려움은 주로 지루성 피부염이나 습진이 원인이 되는데요.


땀으로 인해 피부가 물러지며 긁게 되면 피부 표피가 벗겨져 2차 감염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가려움이 더욱 심해지고 제대로 사후 관리를 하지 않으면 피부가 벗겨진 부위에 색소침착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01

습진은 여름철에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겨울철에 더 심해진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겨울에는 피부가 건조할수록 심한 가려움증이 나타나는 건성습진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흔히 '겨울철에 피부가 튼다' '겨울에 주부습진이 더 심해진다'라고 하는 증상이 건성습진 증상이라고 하네요.

01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등 습한 부위에는 잘 발생하지 않기는 하지만 건조한 계절, 과도한 난방 제품 사용 등으로 인해 습도가 낮은 환경에 자주 노출되거나 안팎의 온도 차이가 심할 때 피부에 미세한 각질이 일어나며 작고 붉은 반점이나 우둘투둘한 작은 돌기들이 동반되면서 잦은 가려움증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다리나 팔 등 노출되는 피부에 가려움이 나타나는 경우는 눈에 잘 보이기 때문에 신경 써 관리를 하게 되지만, 겨드랑이나 사타구니처럼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부위에 생기는 습진은 관리가 소홀해지기 때문에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고 하는데요.


겨드랑이 가려움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실내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은데 겨드랑이는 흔히 습하다고 생각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샤워 후나 평상시 보습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꺼려 하거나 지나치게 되는데요.
겨드랑이 또한 가려움 증상이 나타나면 샤워 후 타월 드라이나 드라이기로 잘 건조해 준 후 보습 제품을 충분히 흡수시켜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01

겨드랑이 가려움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긁다 보면 오히려 상처가 나거나 가려운 부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최대한 손을 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계속 긁다 보면 오히려 피부 표면이 딱딱해지고 두꺼워지기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문제가 생겨나겠죠.

겨드랑이 가려움, 건성습진을 예방하는 생활 습관

1. 적정한 실내 온도와 습도 유지하기

2. 뜨거운 온도의 샤워, 찜질방 등 피하고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기
3. 통풍이 잘 되는 옷 입기
4. 가려울 때 긁지 말기 (얼음찜질이 도움)


무엇보다 가려움이 심할 땐 집에 있는 스테로이드 연고나 물파스 등을 함부로 사용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처방받은 연고나 로션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겨드랑이 습진과 가려움 원인과 예방법

많은 수의 남성들이 겨드랑이 가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의 한 보고에 따르면 절반이 넘는 남성들이 여름철 겨드랑이 부위에 간찰진을 앓는다고 하는데, 간찰진이란 피부가 서로 닿고 밀착하는 간찰부위에 마찰, 열 및 수분에 의해서 피부가 손상을 입어 생기는 피부염으로 주로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엉덩이 등에 나타난다는군요. 오늘은 겨드랑이에 나타나는 습진과 가려움의 원인과 예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겨드랑이에 나타나는 습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습진은 임상적으로 가려움, 붉어짐, 각질, 수포 등의 증상을 보이는 피부질환을 통칭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질병 기간이 길고 심한 가려움이 나타나며 반복적으로 쉽게 재발하여 만성화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특징적이지요. 

겨드랑이를 비롯한 사타구니 등은 땀과 습기가 쉽게 차기 때문에 습진이 생기기 쉽고 습진의 가려움 때문에 긁기 시작하면 2차 감염을 통해서 붉은 반점이 퍼져나가면서 심한 가려움증과 각질이 동반하고 심할 경우 진물이 나고 짓무르게 되며 악취가 발생하기도 한다는군요. 

겨드랑이 가려움의 원인은 보통 습진 때문인데, 겨드랑이 습진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일까? 일단 겨드랑이 주변 피부가 붉어지고 가려움증이 시작되는 겨드랑이 습진은 기온이 올라가고 습도가 높아지는 여름에 재발되거나 심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과연 원인은 무엇일까?

겨드랑이 습진이 생기는 원인은 체부백선 등 백선균이라는 곰팡이균에 의해서 생기는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특정한 원인은 없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겨드랑이 부위는 땀이 나는 부위로 접히는 부분이라 통풍이 잘 안되기 때문에 습진 등 피부염증이 발생하기 쉽다는 겁니다. 

즉 겨드랑이 습진의 가려움의 원인을 알아본 결과 그 예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먼저 절대로 긁지 말아야 하며 가려움이 심할 경우에는 냉찜질을 하거나 미지근한 물에 목욕 후 천연 보습제나 진정제를 발라주는 겁니다. 실내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고 충분한 수분섭취와 몸에 끼는 옷이나 금속 장신구를 피하는 것도 예방이 되겠지요. 이상으로 겨드랑이 습진으로 인한 가려움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