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산 이 나트륨 기능 - hobagsan i nateulyum gineung

호박산이나트륨(Disodium Succinate)

vitamin 0 6751 2019.09.30 19:43

호박산 이 나트륨 기능 - hobagsan i nateulyum gineung

 

첨가물명 

 호박산이나트륨(Disodium Succinate)

E넘버

 -

ADI

 정하지 않음

LD50

 마우스 정맥주사 시 4,500 mg/kg

정의

 패류 및 발효 양조식품에 첨가 시 맛의 상승작용

 특유의 조개 맛이 나는 조미료로 햄, 소시지, 식육제품 등에 사용

 L-글루타민산나트륨 또는 5'-이노신산이나트륨 등 핵산계 조미료와 병용

성질

 백~무색의 결정성 분말로 냄새가 없고 특이한 맛

용도

 향미증진제, 산도조절제

사용

 조미료, 어육소시지, 식육제품, 어육제품, 간장, 식초

부작용

 알려진 부작용 없음

호박산이나트륨, Disodium Succinate, 향미증진제

호박산 이 나트륨 기능 - hobagsan i nateulyum gineung

0 Comments

다음 목록

감미료    식품에 단맛을 부여한다. 아스파탐, 소르비톨 등이 있다.
          사용 식품:과자·껌·아이스크림 등
발색제    주로 육류 가공품의 발색을 위해 사용한다. 고기의 색과 풍미가 향상된다. 아질산나트륨 등이 있다.
          사용 식품:햄·소시지·명란젓 등
보존료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해 식품의 부패를 막아준다. 식중독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르빈산, 안식향산 등이 있다.
          사용 식품:빵·소시지·치즈 등
산도조절제    식품의 산도 또는 알칼리도를 조절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식품의 보존 효과를 높이기 위해 쓴다. 수산화나트륨, 황산 등이 있다.
          사용 식품:면·치즈·발효유 등
산미료    식품에 신맛을 부여하거나 산도를 증가시킨다.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구연산, 빙초산 등이 있다.
          사용 식품:음료·젤리·잼 등
산화방지제    지방의 산패와 색깔 변화 같은 산화에 의한 품질 저하를 방지해 식품의 저장 기간을 연장시킨다. 부틸히드록시아니졸,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이 있다.
          사용 식품:껌·식용유·마요네즈 등
영양강화제    식품의 영양 강화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영양보충용 제품에 들어가는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황산동, 아스코르빈산 등이 있다.
          사용 식품:시리얼·영양강화 가공식품 등
유화제    기름이나 물처럼 혼합되지 않는 두 물질이 분리되지 않고 잘 섞이도록 한다.
          사용 식품:빵·사탕·빙과류 등
증점제    식품의 점성을 증가시켜 촉감을 좋게 만든다. 수분이 식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 구아검 등이 있다.
          사용 식품:발효유·젤리·푸딩 등
착색료    식품에 색소를 부여하거나 복원하는 데 사용된다. 천연 식품에서 색소 성분을 추출한 천연 색소와 화학반응을 통해 추출한 인공색소가 있다. 식용색소 녹색 3호 등이 있다.
          사용 식품:사탕·젤리·빙과류 등
착향료    식품에 향기를 부여 또는 증강하기 위해 사용된다. 자연에 존재하는 성분을 이용한 천연착향료와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 만드는 합성착향료가 있다. 바닐린, 개미산게라닐 등이 있다.
          사용 식품:껌·아이스크림·음료 등
팽창제    반죽 또는 반죽옷을 입힌 것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베이킹파우더를 연상하면 된다. 명반, D-주석산, 수소칼륨 등이 있다.
          사용 식품:케이크·빵·도넛 등
표백제    식품을 탈색시키는 데 사용되지만 색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아황산나트륨 등이 있다.
          사용 식품:건조과실류·곤약분·건조감자 등
향미증진제    식품의 맛과 향미를 증진시킨다. L-글루타민산나트륨 등이 있다.
              사용 식품:조미료 등


구아검    증점제    구아는 콩과 식물의 하나다. 점도가 높아서 제품의 모양이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이다. 빵류의 탄력을 높이거나 유제품의 질감 유지, 육류의 접착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구연산    산미료    레몬이나 덜 익은 감귤 등에 많이 함유된 물질이다. 식품에서 주로 신맛을 내는 산미료나 식용유의 산패방지제로 쓰인다.

구연산삼나트륨    산도조절제    청량음료 등에 구연산을 사용할 때 신맛을 완화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그 외에 가공식품·잼·젤리·사탕 등의 산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쓰인다.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유화제    유지의 일종인 글리세린을 가수분해해 추출한 성분이다. 서로 잘 혼합되지 않는 액체나 고체가 잘 섞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다. 케이크·마가린·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식품에 이용된다.

니코틴산아미드    영양강화제    쓴맛을 띠는 수용성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로 식품에 비타민 B군 강화를 목적으로 사용한다.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보존료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는 물질로, 치즈·버터·마가린 등의 보존 기한을 연장하는 데 사용한다.       

락색소    착색료    붉은색을 띠는 천연 첨가물로 식품에 색깔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젤리·캔디·잼·팥앙금·과자·축산가공품 등에 사용한다. 고춧가루 같은 천연 식품에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레시틴    유화제    유량종자(oil seed) 또는 난황에서 얻어진 것으로 식품에서 물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가 혼합되도록 한다.

로커스트콩검    증점제    지중해 연안에서 자라는 콩과 식물인 카롭 나무의 씨앗에서 분리해 정제한 분말이다. 아이스크림이나 셔벗의 형태를 유지하는 안정제, 샐러드드레싱이나 마요네즈의 점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변성전분    증점제    천연 전분으로 음식을 만들 때, 가열하면 점성이 너무 높아지거나 온도를 낮추면 젤리처럼 변하는 현상 등이 일어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천연 전분의 일부 특성을 변화시킨 것이다. 주로 식품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증점제나 여러 성분이 잘 섞이도록 돕는 유화 안정제로 사용한다.       

사카린/사카린나트륨    감미료    인공감미료로 설탕보다 단맛이 강하여 식품 가공 및 조리 시 단맛을 높이는 데 사용한다. 과거 발암성 논란으로 일부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된 적이 있으나 안전성이 입증되어 다시 합법적으로 사용 중이다.

소르빈산칼륨    보존료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해 식품의 부패를 막는 용도로 쓰인다. 치즈·식육가공품·잼류 등에 사용된다. 알레르기에 민감한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

수크랄로스    감미료    설탕의 600배 정도 되는 단맛이 있다. 고품질의 단맛과 안정성을 띠어 음료·제과·제빵·빙과 등 대부분의 식품에 사용된다.

스테비오사이드    감미료    설탕에 비해 300배 이상 단맛을 내는 천연감미료. 스테비아 잎의 성분이다.

      아라비아검    증점제    콩과 식물인 아라비아고무나무에서 얻은 점액을 굳혀 만든 것으로 식이섬유를 80% 이상 함유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나 아이스크림과 시럽의 모양과 상태를 유지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아미드펙틴    증점제    사과와 자두 같은 완숙 과일에서 발견되고, 레몬·라임·자몽·감귤 껍질로부터 만들어진다. 증점제로 사용한다. 주로 과자, 설탕 고함유 젤리, 잼, 설탕절임, 마멀레이드에 사용한다.

아세설팜칼륨    감미료    칼로리가 없는 인공감미료로, 설탕보다 180~200배 더 달다. 음료, 과즙 음료, 유산균 음료, 과일 제품, 과일, 채소, 어육조림, 간장, 소스, 식초, 된장 등에 사용된다.

아스파탐    감미료    단맛이 설탕보다 200배나 되는 아미노산계 감미료. 음료·과자·절임류 등에 사용한다.

아조디카르본아미드    표백제    밀가루의 표백과 숙성 시간을 단축시키는 밀가루 개량제로 사용된다.

아질산나트륨    발색제    주로 육가공품에 발색제와 보존료로 사용된다. 보존하고자 하는 생선이나 육류의 색감을 바꿔주고 육가공품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식중독균인 클로스트리듐 보툴리눔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아황산나트륨    표백제    표백제, 보존료 산화방지제로 사용된다. 천식 등의 부작용이 있어서 일부 식품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안식향산    보존료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해 가공식품의 보존성을 높인다. 주로 음료류·잼·마가린 등에 사용된다.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증점제    해조류에서 추출·분리한 알긴산나트륨을 산성에 강하도록 변형한 것으로 산성 식품의 점도 및 유화안전성을 증가시킨다.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점제, 안정제로 사용한다. 유산균 음료·과즙 음료·드레싱·아이스크림 등에 사용된다.

에리소르빈산    산화방지제    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한다. 주로 채소와 과일이 누렇게 변하는 것을 막고 육가공품의 색깔을 좋게 하는 발색보조제로도 사용된다. 어패류가 변질되는 것을 막는 산화방지제로 쓰인다.

이디티에이칼슘이나트륨    산화방지제    식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레싱 및 소스류·통조림·캔음료 등에 산화방지제로 사용한다.

잔탄검    증점제    미생물을 이용해 탄수화물을 순수 배양 발효하여 얻는 성분으로, 점도를 증가시키거나 여러 성분이 잘 섞이도록 돕는 안정제로 사용한다. 케첩·수프 등의 점도 증가용으로 또는 샐러드드레싱·크림치즈 등의 안정제로 쓰인다.

제이인산칼륨    산도조절제    발효식품을 제조할 때 발효력 강화와 풍미 향상을 목적으로 미생물의 영양원으로 첨가한다. 다른 인산염과 섞어서 면류의 쫄깃함을 더하는 면류첨가알칼리제로 사용한다. 이온음료의 유화제와 산도조절제로도 사용한다.

카제인나트륨    유화제    우유의 단백질 성분인 카제인을 물에 녹여 만든 것으로 여러 가지 성분이 잘 섞이도록 하는 유화 작용, 점도를 높이는 증점 작용, 촉촉하게 유지해주는 보습 작용이 있다.

코치닐추출색소    착색료    선인장에 기생하는 연지벌레 암컷을 건조시켜 추출한 색소로, 식용색소 적색 3호를 대체한다. 붉은색을 띤다.

탄산수소나트륨    팽창제    베이킹소다, 중탄산나트륨, 중조 등으로도 불린다. 베이킹파우더의 주요 성분으로 빵·과자 제조 시 밀가루를 부풀리는 팽창제 구실을 한다. 면류 등의 탄력을 좋게 하는 알칼리제로 사용되며, 오염물을 흡착하는 성질이 있어서 식품의 세척에도 이용된다.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보존료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해 부패를 막는 가공식품의 보존료로 사용된다. 주로 잼, 과채 가공품, 간장, 식초, 음료, 소스 등에 쓰인다.

펙틴    증점제    과일·채소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성분으로 점도를 높이는 증점제, 모양이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안정제로 사용한다. 잼·젤리·요구르트·아이스크림 등 여러 식품에 쓰인다.

헥산    추출용제    석유 성분에서 얻은 휘발성 액체. 유지류를 비롯해 향료 외 성분을 추출하거나 또는 반대로 식품에서 유지류를 제거하거나 특정 성분을 없앨 때 사용하는 물질이다.

호박산이나트륨    향미증진제    특유의 짠맛이 있어서 맛을 증진시킨다. 핵산계 조미료와 함께 쓰이고 육가공 제품, 어묵, 발효 양조식품 등에 사용된다.

효모    팽창제    효모는 산소가 부족할 때 당을 발효시켜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데, 이를 이용해 맥주를 제조하거나 빵을 발효시킨다. 빵의 풍미를 살리고 맛을 좋게 한다.

효소처리스테비아    감미료    스테비아 추출물에 효소를 이용해 포도당을 결합시킨 식품첨가물. 단맛이 설탕의 약 100~200배이다. 설탕과 함께 사용하면 감미도 상승효과가 있다.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향미증진제    MSG와 상승작용이 있어서 MSG가 첨가된 식품이나 식품 내 글루타민산이 함유된 경우 감칠맛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D-소르비톨    감미료    사과 등 장미과 과일의 포도당이 변하여 형성되는 물질로 상쾌한 청량감과 단맛을 내기 때문에 감미료로 쓰인다. 다량 섭취하면 설사를 유발할 수도 있다.

L-글루타민산나트륨    향미증진제    MSG로 알려져 있다. 식품의 풍미 증진을 위해 사용한다.

L-아스코르빈산나트륨    산화방지제    비타민 C라고도 한다. 식품 제조 시 비타민 강화제로 쓰이고 산화로 인해 식품의 색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육가공품에서는 색을 변하지 않게 하거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이용한다.
 

저작권자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