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과 편입 후기 디시 - igwa pyeon-ib hugi disi

필자는 지금 건동홍 라인 다닌다.

학벌에 대한 미련이 너무 많이 남아서 재수 해서 아주대 갔고

반수해서 지금 학교에 다니고 있다. 

서성한이라는 학벌에 너무 미련이 남아서 공익 하면서 마지막으로 편입 준비하고

2-2학기에는 병행까지 했다. 

작년 연초에 부모님을 설득하지 못해서

1-3월은 내 가치를 입증하는 시기? 그때 막 한자도 3급 따오고, 컴활자격증도 따고, 토익도 935 따오고 별짓 다하니

열심히 할거 같다고 4월달에 올패스 사서 그때 딱 시작했다. 

7월달에 딱 공익 끝났으니 그 4개월 동안은 근무 끝나고 오면 딱 공부만 하고

사람들도 최대한 안만나고 공부만 했다. 

학원을 갈 여건은 아쉽게도 가능하지 않았다. 

근무지 다니고, 바로 학기 병행을 해야하는 처지였다. 

그냥 이번에는 정말 순수하게 나 스스로 해보자 하는 마음으로

인강 열심히 들으면서 학원가서 모의고사만 봤다.

학기병행할때는 수신청은 전공이나, 교양이나 전부 수학쪽으로 해서

공부하는데 최대한 방해 안되고, 도움 조금 되게 했다. 

학교 생활할때는 수업끝나면 바로 열람실로가서 바로 조금이라도 공부했다. 

솔직히 그래도 시간이 너무 부족했다. 

잠을 줄여버리면 악순환에 빠지게 되고

10대도 아닌데 집중력에는 솔직히 한계가 있고

모의고사 시즌 맞춰서 진도 갑자기 막 나가고 공부 시간 자체가 너무 적다고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그거에 대해 너무 절실했다. 

집근처에서 고웁하다가 유혹에 빠지지 않으려고 주말에도 일부러 학교 열람실에서 공부하고

밥먹는 시간도 너무 아까워서 매점에서 닭가슴살 한팩으로 때우고 그랬다. 

중간이나 기말기간에는 진짜 자살하고 싶더라. 

특히 기말에는

편입도 다가오지 + 연고대 논술 수학도 한번 봐야하지 + 기말고사 봐야하지 + 대체과제해야하지

진짜 저때 죽고 싶더라. 

아 그다음 그냥 딱히 갈때도 없어서 집에서 폐관수련하듯 

폰 던져놓고 패드만 딱 들고 공부했다. 

막판에는 3 4 시간씩 자면서 공부 했다. 

수능이랑 달라서 어차피 난 딱 시험 이틀 보는 거기도 하고 

리듬 연습은 딱히 안했다. 

햇빛 못보니 또 죽고 싶드라.

결론적으로 올킬 당했다. 

연 고 서 성 한 중

넋두리는 끝이고 결론만 얘기 한다. 

1. 이과충들은 절대로 병행하지 말아라 

-> 공부시간이 없다는 것을 처음으로 깨닫게 된다. 

-> 너공부를 해야한다고 인강듣지 말라하는데, 아니 솔직히 개념 강의 익힐 시간도 없다. 

2. 애인 있으면 진짜 정리하고 시작해라.

-> 영어, 수학, 애인 비위 맞추기 죽고 싶었다. 

-> 애인도 참고로 리트 떨어졌다. 조만간 패배자 커플 될 예정

-> 곧 헤어질 예정

3. 만약 영어랑 수학 무엇을 먼저 공부해야한다고 물어보면 영어 먼저 공부해놓으라 하고 싶음

-> 영어는 한번 빠싹 올려놓으면 감 만 안 떨어트리면 됨

-> 막판가면 수학 감 유지하고, 하나라도 더 보느라 정신 없어서 영어 등한시 함

4. 단어가 제일 중요

-> 모 강사들은 단어 보다 논리 중요시 하고 흐름 잘 보라 하는데 솔직히 단어가 어느정도 되어야 그 스킬 이용가능

-> 사실 단어 되면 그냥 논리고 뭐고 필요 없음. 

5. 시험이라는건 주로 떨어질 확률이 높음

-> 니 친구가 붙더라도 너무 미워하지 마라 괜히 사람만 버림

-> 그래도 사람 성격상 질투하고 미워하는건 어쩔수 없음. 그럴때 대비해서 버킷리스트 작성한거나 하삼.

-> 난 앞으로 스터디 안할꺼다. 인맥만 끊겨간다.

6. 학원 가라 앵간하면

-> 혼자공부하는 신화를 쓰는 사람은 신화를 쓰기에 미담으로 내려오는거다

-> 시험볼때 무언가 실전연습? 모의고사 같은거 더 해보면 덜 떨리고 얼 덜 탈껄 이라는 생각 했다. 그건 좀 아쉬웠다. 

-> 혼자 하지 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개념글 리스트

  • [단독]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 귀국 의사 타진 내막 AZ3811
  • 개소리 인증받은 국방부 Olleo
  • 모붕이 왕호랑이 만들어왔다 ㅇㅇ
  • 튼튼 탄탄 통가죽 벨트 후처리작업 아르군
  • 싱글벙글 대한민국 팔씨름 1짱 ㅇㅇ

갤러리 본문 영역

미래 편붕이들을 위한 편입 팁(이과기준) 모바일에서 작성

ㅇㅇ(118.235) 2020.01.18 17:44:50


1. 일반 or 학사 뭘 해야할까?
☆ 올해부터 메이저 기준으로는 학사 별 메리트 없다. 물론 상위권은 쬐끔 있는거 같다.
하도 학사 꿀이라고 광고 졸라해대서 이젠 의미없음 ㅇㅇ
☆ 비메이저 기준이라면 학사 꿀인거 맞다.
근데 몇학점 안 남았고 학사를 딸 수 있다고 하면 무조건 따는걸 추천한다.
이유는 선택지가 졸라 넓어짐.
☆☆ 근데 본인이 이미 80학점이 되어있는 상태에서 학사를 따려고 학은제를 한다? 절때 하지마셈 ㅇㅇ 딸 시간에 수학 문제 더 풀고 단어 더 외워서 공부하는게 훨씬 이득일듯
☆ 그리고 학은제는 서성한 같은 자소서나 면접있는 학교에서 절대적으로 불리함을 알고 있어라 .. 학은제라도 동일계열과를 선택해서 따
보통 대부분이 경영으로 학사를 따서 말해두는거임

그래서 일반이 좋냐? 학사가 좋냐? 굳이 좋다면 학사다 ㅇㅇ

2. 수학 진도
올해 내가 보고 느낀건데 11월달에 진도 끝내는건 너무 위험하다고 본다. 올해부터 학교들이 미쳐가는지 점점 수능형으로 내는데 진도 최대한 빨리 끝낼 수 있으면 빨리 끝내고 기출 많이 돌려라.
☆ 그리고 어려운 문제 답지보고 해결하지말고 어떻게든 혼자 해결해낼 수 있는 사고 능력을 키워라.
☆ 그리고 계산 졸라 빠르게 해야한다. 인간 계산기가 된단 생각으로 졸라 열심히해라.
(ㅅㅂ 범위는 졸라 넓은데 왜 문제를 이따구로 ㅡㅡ)

3. 무조건 토익은 시험이라도 봐둬라
영어 개 십망이래도 편입 영어 공부하면 토익 최소 500점 정돈 나온다. 경희대 같은 경우 400~500점대도 붙는 경우있다.
만약에 토익이 900이상이다? 그럼 선택지가 졸라 넓어지는거지 ㅇㅇ
☆ 단, 토익딴다고 7~11월까지 토익공부한다? 미친짓임 ㅇㅇ 저때는 셤만 보러갔다와라

4. 편입영어
이과니까 문과보다 영어 부담이 매우 적다. 단, 본인이 서성한을 가야겠다? 그럼 수학은 당연히 잘해야하는거고 영어도 잘해야한다.
아 이런거 제쳐두고
☆☆ 영어 공부는 독해, 단어만 꽉 잡아라. 특히 단어를 꽉 잡고 가라 ㅇㅇ 그렇다고 문법을 놓으라는건 아니다. 문법 모르면 독해도 안되니까 구문독해 잘될수준만 만들어놔라 ㅇㅇ
8월까지 영어 졸라 열심히하고 9월부터 단어만 계속 외우면서 독해 감만 잃지 않도록 기출만 돌려주면 충분할 것이다.

5. 11월 배치고사 퍼센트, 배치표
여기에 멘탈 나가거나 퍼센트 잘 나왔다고 정신승리 하지마라
평소에 잘하던 애가 저 날 컨디션 안 좋아서 털리면 너가 올라갈 수도 있는 것이다.
☆☆ 그리고 배치표는 배치고사를 기준으로 만드는 것이고 배치고사와 실제 너희들이 노리는 서성한과의 시험 시간 간격을 거의 한달 반이다.
만약에 공부 잘하는 녀석이 배치 망쳐서 50프로 떴는데 최종으로 성대를 가버리면 그것이 성대 기준이 되는것이다. 반대로  50퍼센트 사람이  한달반 오지게 달려서 성적올라서 성대를 가도 이 역시 기준이 된다. 배치표는 그냥 버리면 되는것이다.

6. 하고 싶은 말
내년은 더 빡셀텐데 편입은 재수충 반수충 겁나 많다.  
그냥 해줄 말은 졸라 열심히 해라 ㅇㅇ 이과가 문과보다 편입으로 대학가기 쉬운건 맞다. 근데 이거에 좋아하지마라. 그 대신 문과보다 공부할 양이 두배는 된다는 것을 잊지마라. 공부를 더 했으니 편입으로 대학가기 더 쉬운것일 뿐이다. 열심히 해라


추천 비추천

12

이과 편입 후기 디시 - igwa pyeon-ib hugi disi
0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