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렉 기타 파트 - illeg gita pateu

일렉기타의 구조, 부위별 명칭

(Electrical guitar construction)

안녕하세요 마소긔입니다.

이번에는 기타 초보분들께서 알아두시면 좋은 일렉기타의 구조와 부위별 명칭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일렉기타의 구조를 알아야 파츠가 고장이 났을 때도 쉽게 교체가 가능하고 학원이나 기타치는 친구들 사이에서도

뭐가 뭐뭐다 하면 이해도 빨리 되는 등등 여러가지로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일렉기타의 종류에는 크게 스트라토캐스터(Strato Caster)형과 레스폴(Les Paul)형으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이 둘의 구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본격적으로 알아봅시다!

일렉 기타 파트 - illeg gita pateu

(저퀄리티의 그림판편집 죄송합니다. 이해용으로만 사용하시길)

기타의 구조는 크게 세가지

바디(Body), 넥(Neck), 헤드(Head)로 나뉩니다.

★헤드(Head)부분을 보겠습니다.

*헤드스탁 (HeadStock) : 기타의 헤드부분을 이루고 있는 나무를 뜻합니다.

*헤드머신 (Head Machine) : 기타의 줄을 조여주고 튜닝, 음조절을 담당합니다.

-튜닝페그(Tuning Pegs) : 돌려서 줄을 풀거나, 조여 튜닝을 하는 부분입니다.   

-튜닝포스트(Tuning Posts) : 기타 줄이 감겨지는 부분입니다.

*스트링 리테이너 (String Retainer) : 기타줄이 튜닝페그에 감겨질 수 있게 길잡이 역할을 해줍니다.

*(레스폴의경우) 트러스로드 커버(Trussrod Cover) : 트러스로드 나사구멍을 숨겨주고 미를 더해주는 커버입니다.

★넥(Neck)부분을 보겠습니다.

*트러스로드 (Trussrod) : 기타의 넥이 휘었을 때 그걸 잡아줄 수 있는 나사입니다. 기타에따라 헤드에서도 보이거나 바디쪽에서도 보입니다. 

*지판 (Finger Board) : 현을 손가락으로 눌러주는 부분입니다.

*인레이(Inlay), 프렛마커(Fret Marker) : 3, 5, 7, 9, 12, 15, 18, 21, 24 프렛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부분입니다.

*음쇠, 프렛(Fret) : 기타 프렛별 음을 명확히 나누어 주는 쇠막대입니다.

*너트 (Nut) : 넥과 헤드사이에 위치해서 기타줄을 고정시켜줍니다.

★바디(Body)부분을 보겠습니다.

*픽가드 (Pick Guard) : 기타 스트로킹, 피킹을 할 때 바디에 기스가 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판입니다.

*픽업 (Pickup) : 기타의 마이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소리를 모아주고 줄의 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앰프에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픽업링 (Pickup Ring) : 픽업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픽업스위치, 픽업셀렉터 (Pickup Switch, Selector) : 일렉트릭기타의 픽업을 선택해주는 스위치입니다. 이 스위치를 통해 어떤 픽업을 쓸 지 선택이 가능합니다.

*브릿지 (Bridge) : 기타 줄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새들 (Saddle) : 기타 줄을 브릿지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걸 통해 줄높이나 피치(Pitch) 조절이 가능합니다. 

*톤, 볼륨조절 노브(Tone, Volume Control Knob) : 앰프에 연결했을 때의 볼륨과 톤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트레몰로 암 (Tremolo bar) : 기타로 비브라토를 연주하고 울려줄 때 사용합니다.

*아웃풋 잭(Output Jack) : 기타 케이블(Cable)을 연결해주는 구멍입니다.

*스트랩핀 (Strap Pin) : 기타의 스트랩을 고정시켜주는 핀입니다.

지금은 이렇게 많아보일지 몰라도 기타에 애정을 붓고 이해한다면 금방금방 머릿속에 들어옵니다 ㅋㅋ

여러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지금까지 일렉기타의 구조, 부위별 명칭에 대한 포스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물어보셔도 됩니다.

일렉기타의 구조와 종류 

.

.

.

.

.

.

일렉 기타 파트 - illeg gita pateu

.

.

.

.

.

.

일렉기타의 구조

일렉기타의 각 부분 명칭과 역할 

헤드(Head)

기타의 머리부분. 줄감개를 통해 기타의 현을 고정하는 부분입니다. 

대부분 일렉기타의 헤드에는 브랜드 로고가 표시됩니다. 

헤드머신(Head Machine)

줄을 연결하여 감거나 풀면서 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해줍니다.

상현주 of 너트(Nut)

기타의 줄이 줄감개에서 넥을 통해 연결 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을 합니다. 

재질과 상태에 따라 기타의 울림과 조율에 많은 영향을 주는 중요 부분입니다.

음쇠(Fret)

지판 위에 수직으로 박혀있는 금속으로 이 음쇠를 경계로 기타의 음계가 정해집니다.

포지션 마크 or 인레이(Inlay)

지판의 음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표시​.

지판(Finger Board)

기타의 음을 연주하기 위한 플랫이 박혀있는 판. 플랫보드, 핑거보드, 지판 등으로 불리웁니다.

스트렙 핀(Strap pin)

악기를 서서 연주하기위한 스트렙을 걸 수 있는 고리.

픽가드(Pickguard)

픽업과 파츠의 지지대 역할을 하며, 바디를 기스로 부터 보호합니다.

줄(String)

줄의 진동이 픽업에 수음되어 소리를 내게 됩니다. 

픽업(Pick up)

자석에 코일을 감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줄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줍니다. 

노브(Knob)

악기 소리의 볼륨과 톤을 조절해 줍니다. 

브릿지(Bridge)

바디에 장착되어 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타의 울림과 튜닝에 중요한 파츠입니다.

잭(Jack) 

픽업에서 전기신호가 나오는 곳. 케이블을 사용하여 앰프와 연결합니다.

.

.

.

.

.

.

일렉기타의 종류

일렉기타는 수많은 종류와 각각의 특징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각기

다른 바디의 모양과 픽업의 형태에 따라 분류 할 수 있습니다. 

일렉 기타 파트 - illeg gita pateu

스트라토 케스터

일렉기타의 대표적인 바디모양으로 어떤장르에도 잘 어울리는 표준모델입니다.

깨끗한 싱글코일 픽업의 음색은 아직까지도 많은 기타리스트의 사랑을 독차지 하고있습니다.

레스폴

스트라토 케스터와 함께 일렉기타의 대표적인 바디모양으로 락과 블루스 등에 많이

사용되며 험버커 픽업은 저음에서 고음에 이르기까지 밀도가 높은 음색을 지니고 있습니다.

텔레케스터

스트라토 케스터보다 맑고 개성강한 중고역이 특징입니다.

특유의 음색으로 컨트리 음악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미할로우

바디 내부가 비어있어 음의 공명이 뛰어나 특유의 음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재즈, 블루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어쿠스틱한 느낌의

재즈에 가장 잘 어울리는 사운드가 특징입니다.

슈퍼 스트렛

모든 장르에 잘 어울리는 '싱싱험' 픽업 형태가 가장 많으며 험버커 픽업으로

솔로잉시 묵직한 소리가 특징이며 어떠한 장르도 소화 가능한 범용기타입니다. 

SG

개성있는 모양과 사운드로 매니아층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 모델입니다.

넥과 바디의 접합부가 일반기타와는 달라 하이플랫에서의 연주가 수월한 모델입니다.

.

.

.

.

.

.

픽업의 종류

현재 만들어지고 있는 대다수의 기타들은 일렉트릭 기타의 양대산맥이라고 할 수 있는 

Fender사와 Gibson사의 대표적 모델인‘싱글코일'과‘험버커'의 픽업 형태를 

기본으로 채용하고 있습니다. 

싱글코일 픽업 

Fender 사의 대표적인 픽업이며 솔로, 백킹톤 모두 섬세하며 카랑카랑 사운드가

장점이며 싱글 픽업의 구조상 노이즈가 없을 수 없다는것이 단점입니다.

험버커 픽업

Gibson 사의 대표적인 픽업이며 싱글 픽업의 노이즈 단점을 극복하고자 제작된 픽업입니다.

출력이 강하고 노이즈가 없으며 무게감 있는 사운드가 장점이며 싱글픽업보다는

섬세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EMG형 픽업

EMG 픽업은 건전지를 이용하여 출력을 높여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잡음이 거의 없고 강렬한 음색으로 매탈이나 하드락에 애용되는 픽업입니다.

기타 감성을 일으키는 톤 조정에는 무감각한 것이 큰 단점입니다.

레일 픽업

기존의 픽업사이즈에서 고출력과 저잡음을 실현하고자 고안된 픽업입니다.

음이 끊기지 않는 긴 서스테인이 장점이며, 동시에 기존의 픽업보다는

기타 고유의 소리를 100%표현 해주지 못한는 단점이 있습니다.

솝바 픽업

험버커 픽업에서 약간 변형되어 제작되었으며 비누처럼 생겼다고 해서

솝바라고 불리우며 험버커 보다는 출력이 낮고 싱글 픽업의 톤을

적절히 배합된 사운드가 특징입니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