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직접 사육하며 관찰한 사마귀의 신체 외형 특징과 사마귀의 성장과정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손형원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21.♡.125.50) 국내곤충강좌 14 7996 6 2014.08.04 15:54

사마귀의 앞다리는 많은 가시가 나있는 구조인데 가시들의 특별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사마귀의 앞다리가시는 대부분이 고정되어서 움직이지 않는 구조인데 넓적다리마디에 나있는 가시 중 가장 긴 가시와 두 번째로 긴 가시는 안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반대방향으로는 움직여지지 않는 것을 사마귀를 사육하면서 알 수 있었다. 넓적다리마디의 가시가 안쪽으로만 움직여지므로 사마귀가 먹이생물을 잡았을 때 먹이생물이 저항을 격렬하게 할수록 안쪽으로만 움직여지는 가시 때문에 앞다리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게 되어 탈출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사마귀앞다리의 밑 마디는 다른 곤충과 비교했을 때 길이가 매우 길다. 대부분의 다른 곤충들은 밑 마디가 잘 보이지도 않을 만큼 짧지만 사마귀의 밑 마디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먹이 생물을 잡을 때 앞다리를 길게 뻗을 수 있어서 앞다리를 이용한 사냥능력이 발달할 수 있었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몸체와 가장 가까운 다리마디가 밑 마디인데 위 사진의 사마귀의 앞다리를 보면 밑 마디의 길이가 긴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가운데다리와 뒷다리를 보면 밑 마디의 길이가 앞다리에 비해서 매우 짧다. 가운데다리와 뒷다리의 형태가 일반적인 곤충의 다리형태인데 특이하게도 사마귀의 앞다리는 사냥을 위해서 정교한 가시와 밑 마디의 길이가 발달된 특이한 진화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사진을 보면 사마귀의 앞다리 끝부분에 아주 가느다란 발톱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부분이 곤충의 발목마디이다. 사진 속의 사마귀는 발목마디를 손에 붙이고 있는 채로 서있다. 그리고 걸을 때에도 발목마디를 사용하여 걷는다. 하지만 앞다리로 사냥을 할 때에는 발목마디를 접은 채로 사냥한다. 아래 사진을 보면 손가락을 잡고 있는 사마귀가 발목마디를 안으로 접은 것을 볼 수 있다. 사마귀는 약한 발목마디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냥할 때에는 발목마디를 접는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사마귀의 얼굴은 역삼각형 구조이고 몸의 크기에 비해서 얼굴의 크기가 매우 작다. 사마귀보다 몸의 크기가 작은 메뚜기종류와 비교했을 때 몸은 메뚜기가 더 작아도 머리크기는 메뚜기가 더 큰 경우가 많이 있다. 얼굴이 작기 때문에 턱의 크기도 작고 턱 힘도 같은 풀숲의 육식곤충인 여치보다 약하다. 사마귀의 턱이 비교적 약한 이유는 앞다리가 사냥에 적합하게 진화해준 덕분에 거의 턱만 이용해서 사냥감을 제압하는 여치와 다르게 턱의 역할이 많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서 그런 것 같다. 하지만 사마귀의 턱 자체가 약한 것은 아니고 다른 곤충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것이다. 사마귀의 턱은 사냥한 곤충을 완전히 갈아버릴 수도 있고 사람을 물었을 때 사람의 피부에 상처를 내는 것도 가능할 만큼 매우 날카롭고 강하다. 그리고 사마귀의 턱은 큰 턱과 작은 턱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큰 턱은 먹이를 물어뜯고 자르는 역할을 하고 매우 날카로운 구조이다. (사람에 비유하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은 턱은 물고 있는 먹이조각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사람에 비유하면 입술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사마귀의 작은 턱은 평상시에는 숨겨져 있어서 보이지 않지만 먹이를 먹고 있을 때 보이는데 앞에서 보면 빨간색을 띈다.

사마귀는 모든 곤충을 통틀어서 가장 머리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다. 사마귀가 머리를 움직일 수 있는 각도는 180도 가까이 움직일 수 있고 게다가 눈의 크기도 크기 때문에 주변의 미세한 움직임도 감지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곤충들은 시력이 나쁘고 더듬이가 가장 중요한 감각 기관 이지만 사마귀는 더듬이를 쓰지 않고도 오직 시력으로만 사냥감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마귀는 대부분의 다른 곤충들과는 다르게 눈의 역할이 굉장히 크다. 이토록 사마귀는 시력이 좋고 머리를 유연하게 움직일 수 때문에 주변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그곳으로 시선을 돌린다. 내가 사육중인 사마귀들도 내가 쳐다보면 시선을 돌려서 나와 눈을 마주칠 때도 있다. 사람과 눈을 마주칠 수 있는 곤충은 오직 사마귀가 유일하다. 아래 사진을 보면 사마귀가 나를 바라보고 있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사진을 보면 사마귀의 눈이 검은색으로 변한 상태인데 어두운 환경에 오래 있으면 눈에서 검은 색소가 나와서 눈이 검게 변한다. 사마귀는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사냥 및 활동을 하기 때문에 시력의 영향력이 매우 큰 사마귀는 어두운 밤에도 앞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눈이 검게 변하면 어두운 환경일 때 앞을 잘 볼 수 있게 된다고 추측할 수 있다. 얼굴의 양 옆에 붙어있는 한 쌍의 눈을 겹눈이라 하고 얼굴 중앙부근에 작은 눈이 3개 있는데 이 작은 눈을 홑눈이라고 한다. 겹눈은 주변의 움직임과 형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홑눈은 명암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마귀의 더듬이는 길고 아주 가느다란 구조이고 끝부분이 약간 휘어져있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서 더듬이의 길이가 다른데 암컷보다 수컷의 더듬이가 눈에 띄게 더 길다. 이 이유는 수컷이 번식을 하기 위해서는 암컷을 찾아 다녀야 하는데 암컷은 수컷을 찾아 다니지 않기 때문에 수컷이 직접 암컷을 찾아야 한다. 모든 곤충은 짝짓기 상대를 찾아 다닐 때 더듬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시력이 좋아서 평상시에는 더듬이의 역할이 크지 않은 사마귀 역시 짝짓기 상대를 찾을 때에는 더듬이가 중요하게 쓰일 것이다. 암컷을 찾아야 하는 수컷의 입장에서는 더듬이가 길수록 암컷을 잘 찾을 수 있게 되어서 번식에 유리해지므로 암컷보다 더듬이가 길게 진화 한 것으로 생각된다. 내가 그 동안 사마귀들을 관찰하고 사육해본 결과 대체로 더듬이가 잘려나간 수컷은 같은 종의 암컷을 찾아내는 능력이 떨어지고 다른 종류의 암컷이나 심지어는 나의 손가락을 잡고 짝짓기를 시도하기 까지 하였다. 아직 정확히 판단하기에는 부족하지만 사마귀의 더듬이가 암컷을 찾아내는 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추측을 할 수 있다.

사마귀의 배는 성별에 따라서 특징이 가장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부위이다. 외형적으로 봤을 때에는 수컷의 배가 암컷보다 복잡하다. 사마귀의 배는 호흡기관, 소화기관, 생식기관이 있고 암컷의 경우 6마디, 수컷의 경우 8마디로 나뉘어져 있다. 수컷은 길고 가늘며 배를 유연하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수컷의 배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이유는 암컷과의 교미를 위해서이다. 실제로 사마귀를 키우면서 수컷이 암컷과 교미를 할 때 배를 마구 움직이면서 자신과 암컷의 생식기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본적이 있다. 그리고 수컷의 배의 끝에는 갈고리 모양의 구조물이 있는데 이것으로 암컷과의 결합이 풀어지지 않도록 잡는 역할을 하는 것 같다. 반대로 암컷의 경우는 배가 굵고 짧은 형태이다. 암컷의 배는 수컷처럼 유연하게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배 끝에 수컷처럼 갈고리 구조가 없는 단순한 구조이다. 내가 생각해 봤을 때 수컷의 배 마디수가 암컷보다 더 많은 이유는 수컷의 배의 복잡한 구조와 사마귀의 교미 자세의 특성상 수컷의 배가 유연하게 움직여야 교미가 가능하고 교미 할 때 암컷은 두껍고 무거운 배를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에 수컷이 적극적으로 배를 움직여서 교미를 해야 되기 때문인 것 같다. 그리고 사마귀의 배는 옆쪽의 외골격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데 이 부위는 평상시에는 잘 보이지 않고 먹이를 많이 먹거나 임신을 해서 배가 부풀게 되면 보이게 된다. 이 부위는 붉은색인데 다음 사진의 내가 사육중인 먹이를 많이 먹은 사마귀의 배가 부풀어서 배의 옆쪽의 붉은색의 구조를 볼 수 있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그리고 사마귀의 배를 가까이에서 본적이 있는데 나는 시력이 좋았기 때문에 사마귀의 아래쪽 배에 0.3mm정도 되는듯한 아주 미세한 털이 나있는 모습을 본적이 있다. 이런 형태는 대부분의 곤충에게서 나타나고 사람으로 친다면 온몸에 나는 짧은 잔털과 비슷하다고 생각되며 딱히 중요하지는 않은 것 같다.

사마귀의 가슴 외골격은 사마귀의 신체 중에서 가장 튼튼한 부위이고 가슴 외골격의 크기 및 굵기 정도 의해서 전체적인 사마귀의 덩치와 힘이 결정된다. 그리고 사마귀의 전체 몸길이에 비해서 가슴 부위가 매우 가늘다. 사마귀 종류 중 왕사마귀의 몸길이는 최대 10cm 이상으로 장수 하늘소, 장수 잠자리와 더불어 한국의 모든 곤충들 중에서 가장 긴 곤충 중 하나이지만 길이에 비해서 몸이 매우 가늘다. 예를 들면 사마귀 보다 몸길이가 훨씬 작은 5cm급 메뚜기종류와 가슴 외골격의 굵기를 비교해보면 메뚜기가 더 굵다. 사람으로 친다면 사마귀는 키가 매우 크고 아주 마른 체형으로 굉장히 독특한 체형이다. 이 역시 다른 곤충들과 구별되는 사마귀의 독특한 진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나는 지금까지 7년동안 매해마다 사마귀를 자연에서 관찰해보고 직접 키워보기 까지 하면서 사마귀가 살아가는 과정을 자세히 봐왔다. 여기서는 전에 키웠던 개체들의 모습을 포함하여 2014년 올해에 최초로 채집한 사마귀의 지금까지 살아온 모습과 과정을 쓰도록 하겠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15일요일, ‏‎오후 6:49:42 이 사진의 가운데에 찍힌 사마귀는 내가 2014년 올해 최초로 채집하여 지금까지 키우고 있으며 올해 가장 오랫동안 키우고 있는 사마귀와의 첫 만남 때의 사진이다. 이곳의 풀밭은 이름도 없는 공터의 구석에 있던 좁은 풀밭인데 이 풀밭은 내가 이 사마귀를 채집하고 나서 일주일 만에 완전히 사라졌다. 아마도 이때 내가 발견하지 못했다면 벌써 죽었을 수도 있는 개체이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15일요일, ‏‎오후 6:52:30 풀밭에 있던 사마귀를 가까스로 잡아서 페트병 속으로 옮겨서 관찰해 보았더니 왕사마귀 암컷 4령 개체였다. 올해 최초로 채집한 사마귀여서 꽤 의미가 있었고 채집했던 장소의 풀밭이 사마귀가 앞으로 성장하면서 살아가기에 너무 좁았고 먹이가 풍부하지 않았기 때문에 내가 키우기로 결정했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18수요일, ‏‎오전 12:33:10 사육하기로 결정한 사마귀에게 어린 벼메뚜기를 먹이로 주었더니 바로 잡아서 잡아먹었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18수요일, ‏‎오후 10:28:12 하루가 지나고 다시 벼메뚜기 한 마리를 잡아먹는다. 시간 관계상 먹이 급여가 쉽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최대한 매일 먹이를 급여해주었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0금요일, ‏‎오전 1:19:50 먹이를 주어도 반응이 없었으며 벽에 붙어서 잘 움직이지 않았다. 사마귀가 이런 행동을 보인다면 탈피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뜻이 된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0금요일, ‏‎오전 7:02:02 아침에 봤더니 역시 예상했던 대로 탈피를 했었다. 사진은 사마귀의 탈피껍질이다. 채집 이후로 최초의 탈피였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0금요일, ‏‎오전 7:02:24 탈피를 하고 나서 5령이된 사마귀의 모습이다. 탈피 직후에는 몸이 완전히 굳지 않아서 연하고 약하기 때문에 몸이 안정적으로 굳을 수 있도록 사육케이스 안에 넣어주었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0금요일, ‏‎오후 11:09:36 탈피 직후에 연한 갈색에 가까운 바닥 위에 있었기 때문에 몸이 갈색으로 변하기 전에 초록색 환경을 만들어 주어서 몸의 색이 초록색이 될 수 있게 해주었다. 이유는 내가 개인적으로 초록색 사마귀를 더 좋아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색이 정말 재미있게 발현 되었다. 방바닥의 연한 갈색환경과 초록색의 환경의 영향을 모두 받아서 몸의 색이 연한 갈색과 초록색이 약간씩 알록달록하게 섞인 자연상태에서는 나오기 어려운 희귀한 색이 나왔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1토요일, ‏‎오전 2:01:12 조명아래에서 찍어본 사마귀의 모습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1토요일, ‏‎오후 6:15:14 하짓날 초저녁 하지라서 태양의 고도가 높아서 초저녁 이지만 아직 해가 지지 않았다. 손가락에 붙어있는 사마귀의 모습인데 탈피까지 했지만 아직도 여전히 귀여울 정도로 작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1토요일, ‏‎오후 6:15:14 하짓날 초저녁 하지라서 태양의 고도가 높아서 초저녁 이지만 아직 해가 지지 않았다. 손가락에 붙어있는 사마귀의 모습인데 탈피까지 했지만 아직도 여전히 귀여울 정도로 작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2일요일, ‏‎오후 2:15:00 본격적으로 충분한 먹이를 제공해 주었는데 4령때 주던 어린 벼메뚜기보다 훨씬 큰 방아깨비 약충을 주었다. 5령으로 탈피를 하고 몸이 커져서 더 큰 먹이도 사냥할 수 있게 되었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2일요일, ‏‎오후 2:20:28 바로 전 사진과 같은 장면인데 반사광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윗부분을 찍었더니 사마귀가 방아깨비를 잡아먹는 모습이 제대로 보이고 사마귀의 몸의 색을 보면 4령때는 완전한 초록색 이었는데 5령이 되고 나서 약간 갈색이 섞인 것이 뚜렷하게 보인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2일요일, ‏‎오후 3:05:48 먹이를 잡아먹고 나서 1시간도 안되었지만 한 마리를 더 잡아 먹는다. 사마귀는 커갈수록 먹성이 좋아진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3월요일, ‏‎오전 12:52:54 위에 붙어있는 방아깨비의 움직임을 감지한 사마귀가 위를 쳐다보고 있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3월요일, ‏‎오전 12:56:46 위에 붙어있던 방아깨비를 향해서 천천히 접근한 후 잽싸게 낚아채서 잡아먹고 있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5수요일, ‏‎오후 10:51:50 먹이를 줄 때 마다 항상 잘 잡아먹는다. 사진을 찍으려고 하니 머리를 돌려서 카메라 쪽을 바라본다.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014629일요일, ‏‎오후 3:55:28마지막으로 먹이를 잡아 먹은 후 더 이상 먹이반응이 없었는데 역시 이런 반응이 나타난 것은 탈

연재나 갤러리란의 경우 추천수가 20이상이 될 때 베스트란으로 자동 이동됩니다.

추천 & 별점 혜택 안내

1. 글을 재미있게 보셨다면 추천을 눌러주세요! 글 등록자에게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연재:1000포인트, 갤러리/도감:500포인트, 커뮤니티등:100포인트)
2. 추천과 별점을 남겨주신 회원님들께 추천 포인트 + 별점등록 포인트를 드립니다.(추천 100포인트, 별점 500포인트)

Author

최신연재

New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7 루리하늘소 피규어만들기

New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6 Blepharopsis Mendica피규어 만들기

New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4 남은 람프리마 표본 및 수리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5 [공지] 11월 충우 회원 이벤트 안내!!!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7 장수 유충 개인 사육 두 번째 50g 달성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3 포인트경매 왕사슴벌레 해체기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5 작은 곤충을 처음 표본한 자의 최후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8 왕사 수령기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4 만천곤충박물관 방문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2 만천곤충박물관 방문기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5 영양사슴하늘소 유충 소식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4 (과거)7월 하순 나의 마지막 곤충관리(지금까지는)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6 순혈왕사 첫병교체 무게 상태가..?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7 올 해 채집한 곤충 표본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1 장수 표본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10 (장수풍뎅이)DB-1 f4 초대형급 유충들 등장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11 왕사슴벌레 산란세팅기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7 엷은털왕사슴벌레 산란해체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6 영양사슴하늘소 유충 사육기-현재까지 근황

장수풍뎅이 사마귀 차이점 - jangsupungdeng-i samagwi chaijeom

11 20220803 꽃무지 산란해체

Previous Next

  • 2021.02.09 [곤충표본 제작 강좌 (전족법/전시법) Ver. 1.0] 7
  • 2004.10.27 [ 곤충채집 방법 강좌 Ver. 1.2 ] 491
  • 2001.07.25 [ 사슴벌레 사육법 Ver. 1.5 ] - 2020년 10월 리뉴얼 265
  • 2002.03.22 [ 장수풍뎅이 사육법 Ver. 2.1 ]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