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전선 전면 후면 어떻게 구분 - jigugwahag1 jeonseon jeonmyeon humyeon eotteohge gubun

지구과학

■ 온난전선, 한랭전선, 전선면과 전선의 차이

■ 전선면과 전선

① 전선면 : 성질이 크게 다른 두 기단의 경계면

② 전 선 : 전선면과 지표면의 교

전선을 경계로 기온, 습도, 풍향, 풍속 등의 기상 요소가 크게 달라지며,

전선 부근에서는 구름의 생성과 강수 현상 등의 기상 현상이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 한랭전선(cold front), 온난전선(warm front)

① 한랭 전선은 찬 공기가 따뜻한 공기 쪽으로 이동하여 따뜻한 공기 밑으로 파고들 때 형성됨

② 온난 전선은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쪽으로 이동하여 찬 공기 위로 올라갈 때 형성됨

북반구에서 생기는 모든 온대 저기압은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의 위치가 바뀔 수 없다.

한랭 전선은 항상 왼쪽에서만 생기고, 온난 전선은 항상 오른쪽에서만 생긴다.

@ 지표면과의 마찰이 있는 하층 공기보다 상층 공기의 힘이 더 세기 때문에,

구름이 한랭 전선에서는 말리고, 온난 전선에서는 타고 올라간다.

@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을 전후로 정하면, 비구 내리는 강수 구역은?

온난 전선의 앞(전면)과, 한랭 전선의 뒤(후면)가 된다.

■ 한랭 전선의 특징

한랭 전선의 의미 :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 한랭해진다.

경사면이 급해서 적운형 구름이 생성됨 ex) 적란운

강수 구역이 좁고, 통과 구간이 길어서 굵은 소나기짧게내려 빨리 그친다.

한랭 전선에서 짧게 내리는 비를 소나기성 강수라고 부른다.

뒤에서 무겁고 차가운 공기가 때리므로 빠르게 이동하여 온난 전선에 점점 다가간다.

■ 온난 전선의 특징

온난 전선의 의미 : 온난 전선이 통과하면 온난해진다.

경사면이 완만해서 층운형 구름이 생성됨 ex) 난층운

강수 구역이 넓고, 통과 구간이 짧아서 오랫동안이슬비가 보슬보슬 내려 잘 그치지 않는다.

온난 전선에서 오랫동안 내리는 비를 지속성 강수라고 부른다.

온난 전선은 가볍고 따뜻한 공기가 때리므로 느리게 이동한다.

! 일기도에서 두 온대 저기압의 선후 관계를 파악할 때

① 중위도 편서풍의 영향으로 더 서쪽에 있는 저기압이 먼저이다.

② 한랭 전선의 이동 속도가 더 빠르므로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의 간격이 넓은 것이 더 먼저이다.

! 온난전선과 한랭전선이 통과할 때의 기압 변화

① 온난 전선이 통과하면 저기압 중심에 가까워지므로 기압이 낮아지고,

② 한랭 전선이 통과하면 저기압 중심에서 멀어지므로 기압이 높아진다.

라고 이투스 no.1 모의고사 해설지에 쓰여 있는데 아마 이것은 통상적인 경우이고,

혹시라도 주어진 자료에서 등압선을 그려주고 물어보면 자료를 읽고 답해야 한다.

◈ 전선이 통과할 때에는 갑작스런 날씨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 온난[한랭] 전선이 통과하면풍향은 시계 방향으로 변한다. 남동풍 남서풍 북서풍

온난 저기압도 일종의 저기압이므로 열대 저기압으로 생각해서 위험 반원 지역에 있다고 생각하면 당연히 시계 방항이 됨

◈ 온난 전선이 접근할수록 구름의 높이는 낮아진다. 권층운 → 고층운 난층운 층운 적란운

이번시간에는 전선. 

여러분 전선이 뭘까요? 

전선이라고 하는 것은 성질이 다른 두 공기, 즉 찬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났을때인데요.  

두 공기가 만나면 밀도차에 의해서 잘 섞이지가 않습니다. 

따라서 경계면이 생기게 되는데 그 경계면을 우리가 전선면이라고 얘기하게 되겠구요. 

이 전선면이 지표와 만나서 이루는 선.  

바로 이것을 우리가 전선이라고 얘기하게 되는 것이죠. 

자 그렇다면 두 공기가 만나는 유형. 

자 첫번째 유형입니다. 

따뜻한 공기가 있을 때 뒤쪽에서 차고 무거운 공기가 다가오게 되면요. 

이때 전선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런 전선을 우리가 한랭전선이라고 하게 되는 것이죠.

이 경우에 따뜻한 공기가 찬공기 밑으로 파고들게 되면 따뜻한 공기의 상승으로 인해서  

수직으로 발달한 구름이 나타나는데요.  

이런 수직으로 발달한 구름에서는 좁은 지역에 천둥번개를 동반한 소나기를 내리게 됩니다.

또 다른 유형한번 보도록 할까요? 

이번에는 차고 무거운 공기가 있을때 이 찬 공기 쪽으로 따뜻한 공기가 이동해오는 양상입니다. 

이렇게 형성되는 공기를 우리가 온난전선이라고 얘기하게 되는 것이죠.

이 경우에도 따뜻한 공기가 찬공기를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상승에 의해서 구름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이 구름은 주로 수평으로 발달한 구름으로 이런 구름에서는요. 

이슬비와 같은 지속적인 비가 넓은 지역에 걸쳐서 내리게 됩니다.

우리가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에서 살펴본 것처럼요. 

전선에서는 성질이 다른 두 공기가 만나게 되면 밀도가 작은 공기,  

즉 따뜻한 공기가 상승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서 구름을 형성하게 되는데요. 

각각 적란운과 층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죠. 

즉 구름의 형태가 다른 양상을 띄게 됩니다. 

한랭전선에서는 수직으로 발달한 구름, 우리가 이런 구름을 적운이라고 하구요. 

적운중에서도 천둥, 번개를 동반한 소나기를 내리는 구름을 우리가 적란운이라고얘기하게 됩니다.

이와 다르게 온난전선에서는 수평으로 발달한 구름.  

이런구름을 모두 통틀어서 층운이라고 하는데 층운중에서도 지속적인 비.  

이슬비와 같은 비를 내리는 구름을 난층운이라고 하게 되는 것이죠.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에서 살펴볼 점은요.모두 따뜻한 공기의 상승은 나타납니다.  

하지만 한랭전선에서는 찬공기가 들어닥치기 때문에 따뜻한 공기의 상승이 일어난 것이구요. 

온난전선에서는 그냥 따뜻한 공기가 그냥 찬공기를 타고 올라간 것이죠.  

즉 능동적으로 이동한 공기가 찬공기, 따뜻한 공기임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전선의 이동한번 살펴보도록 하겠는데요.  

생님이 우리나라 주변의 전선을 모식적으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전선이 있는데 이 전선이 이동합니다.

우리나라는 편서풍대에 속하는데요. 

편서풍, 서풍계열의 바람입니다. 

즉 편서풍이 불게 되면 서해에서 동으로 전선이 이동하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전선이 통과하는 즉 한랭전선통과 온난전선 통과후 각각의 기온이 어떻게 변할까요?

네,한랭전선에서는 따뜻한 공기보다 찬공기이동이 더 능동적이라고 했죠? 

따라서 기온의 하강이 일어나구요. 

온난전선에서는 따뜻한 공기가 이동했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통과후의 기온이 상승하게 됩니다. 

기압은 기온과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기온이 상승하면 밀도가 작은공기, 따뜻한공기가 되겠죠. 

따라서 그 지역을 벗어나게 된다, 공기의 양이 적다, 기압이 낮아진다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자 앞서 선생님이 편서풍에 의해서 서서히 이동한다라고 했는데요.  

한랭전선이 온난전선보다 이동속도가 빠릅니다. 

따라서 두 전선이 겹쳐지게 되면 폐색전선을 형성하게 되는데요.

이 전선에서는 구름을 형성하고 강수현상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 강수대가 주로 찬 공기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즉 한랭전선같은 경우에는 전선 뒤쪽에 찬 공기가 포진하고 찬 공기쪽에서 강수현상이 나타나게 되구요.

온난전선같은 경우에는 앞쪽에 찬 공기가 위치하게 되구요. 

이 찬공기 쪽에서 강수현상이 내리는 것이죠. 

폐색전선같은 경우에는요. 

넓은 지역에 걸쳐서 구름을 형성하게 되고 전선 앞뒤쪽에서 모두 넓은 지역의 강수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자 또다른 유형 한번 살펴보도록 하면은요. 

오호츠크해 기단, 공기덩어리입니다. 

찬 공기군요. 

북태평양 기단,이 공기덩어리는 따뜻하군요. 

차고 따뜻한 공기가 만났습니다.
전선을 형성하게 되구요. 

찬 공기가 있는 쪽, 즉 북쪽에서 바로 강수현상이 내리게 되겠죠. 

자 이런전선을 바로 우리가 뭐라고 하냐면 정체전선이라고 얘기하게 됩니다. 

즉 우리나라 초여름에 오호츠크해 기단과 북태평양기단의 세력이 비슷할때는 정체전선. 

자 이렇게 해서 이번시간에는 전선 그리고 전선과 강수지역까지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EBSi 5분과탐] 페이지 바로가기

지구과학1 전선 전면 후면 어떻게 구분 - jigugwahag1 jeonseon jeonmyeon humyeon eotteohge gubun

지구과학1 전선 전면 후면 어떻게 구분 - jigugwahag1 jeonseon jeonmyeon humyeon eotteohge gub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