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 발전 교육 - jisog ganeung baljeon gyoyug

Skip to content

  • 지속가능발전교육이란?
  • ESD 인증제란?
  • ESD 인증제 현황

  • 지속가능발전교육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발전교육kncuedut12021-11-14T14:50:21+09:00

  • 지속가능발전교육이란?

  • ESD 인증제란?

  • ESD 인증제 현황

  • 지속가능발전교육이란?

지속가능발전교육이란?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이하 ‘ESD’)은 모든 연령대의 학습자들이 기후변화와 환경문제, 생태다양성의 손실, 빈곤, 불평등과 같이 상호연결되어있는 글로벌한 과제를 풀어가는 지식과 기술, 가치, 태도를 갖추도록 돕는 교육입니다. ESD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4번의 통합적 요소이자, 모든 SDGs에 직접 기여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발전교육 2030(이하 ‘ESD 2030)은 유엔 ESD 10년(2005-14), ESD 국제 실천 프로그램(2015-19)에 이은 유네스코의 ESD 실천 프로그램입니다. ESD 2030은 SDGs의 달성에 교육이 중추적으로 기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5개의 우선 실천 영역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정책 개선, 2) 학습 환경 변혁, 3) 교육자 역량 개발, 4) 청년의 권한부여와 참여, 5) 지역차원의 실천 가속화

  • 2021 유네스코 ESD 세계회의에서 도출된 베를린 선언문을 확인해보세요.

지속가능발전목표란?

지속 가능 발전 교육 - jisog ganeung baljeon gyoyug

  • ESD 인증제란?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2011년부터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공식프로젝트(ESD 공식프로젝트)인증제’를 통해 국내 기관/단체, 학교, 시민사회 등 한국사회 내 다양한 분야에서 실천하고 있는 ESD 우수 사례를 발굴·지원하고 있습니다. ESD 공식프로젝트는 주제적합성, 효과성, 만족도, 독창성, 포용성을 기준으로 심사평가단이 심사 후, 유네스코지속가능발전교육한국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인증됩니다.

  • ESD 인증제 현황

ESD 공식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Page load link

개념의 일반 정의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은 지속가능발전의 가치를 교육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활동이다. 지속가능발전은 미래세대의 필요(need)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현 세대의 필요(need)를 충족시키는 발전으로 정의하는데, 세대 내 형평성과 세대 간 형평성을 고려하는 발전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속가능발전의 가치를 확산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교육은 그러한 방법 중 가장 중요하며, 효과적인 방법이다. UNESCO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모든 사람들이 질 높은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와 사회 변혁을 위해 필요한 가치, 행동, 삶의 방식을 배울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하는 교육”(UNESCO, 2012)

지속가능발전교육은 단순하게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내용이나 원칙을 가르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교육 계획, 교육 정책 개발, 프로그램 시행, 교육 재정, 교육 과정, 교수학습, 평가, 행정을 포함하는 교육의 모든 측면과 관련되어 있다. 결국 교육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가는 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목표와 특징

지속가능발전교육이 교육의 전반적인 재구조화를 추구하며, 사회의 변화를 목표로 하는 만큼 기존 교육에 비해 몇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지속가능발전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은 상황 의존성,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학문적 접근, 체계적 사고, 평생학습, 실천역량, 다문화적 시각, 협력이다.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상황 의존성은 학습자를 둘러싸고 있는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고,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해 현실의 문제를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해 간다는 것을 뜻한다. ‘간학문적 접근은 다양한 학문들의 연계를 의미하며, ‘체계적 사고는 원인과 결과로 이어지는 선형적 사고가 아니라 종합적인 사고 방식을 의미한다.

평생학습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생애 전 과정의 교육이어야 한다는 것이고, ‘실천역량은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니라 현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문화적 시각은 지구적 관점으로 다양한 시각에서 현상을 바라봐야 한다는 것을, ‘협력은 다양한 주체들이 서로 연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뜻한다.

지속 가능 발전 교육 - jisog ganeung baljeon gyoyug

 

지속가능발전을 실현하기 위해서 교육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점차 강조되자, 200212월 제57차 유엔총회에서는 지속가능한 세계로 나아가는 데 있어 교육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 2005년부터 2014년까지를 지속가능발전교육 10(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ESD)’으로 지정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였고, 이를 추진하는 주무 기관으로 유네스코를 선정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 10(DESD)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 대중의 인식 증진 및 훈련 활동을 제공하여 보다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범세계적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교육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한국과학창의재단, 각종민간단체 등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환경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환경교육의 유사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환경교육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지하는 경우와, 환경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지하는 경우, 그리고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환경교육이 일부 겹치기는 하지만 다른 교육으로 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논의는 아직까지 결론이 나지 않았으며, 각자 교육자들이 어떤 부분에 강조점을 두고 교육을 진행하느냐에 따라서 두 교육의 관계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환경교육 사이의 논의는 두 교육을 보다 명확하게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되는데, 현재까지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환경, 경제, 사회라는 세 영역을 모두 포괄한 교육으로 환경교육보다 더 넓은 범주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있다.

참고문헌

박태윤, 성정희(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네스코(2013) 지속가능발전교육 렌즈: 정책 및 실행 평가도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이선경, 김남수, 김이성, 김찬국, 이재영, 이종훈, 장미정, 정수정, 정원영, 조우진, 주형선, 황세영(2014) 지속가능발전교육 10(DESD) 국가보고서 작성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조성화, 안재정, 이성희, 최돈형(2015) 교육과 지속가능발전의 만남 - 교사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북스힐.

Wals, Arjen E. J. (2013) 내일의 교육을 그리다: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2차 보고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UNESCO (2012) Shaping the Education of Tomorrow: 2012 Full-length Report on the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