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의 화환 문구 - joui hwahwan mungu

누구나 언젠가는 떠나야 할 세상이지만, 남겨진 이들에겐 커다란 슬픔으로 남기 마련입니다. 조의를 표하며 근조화환문구와 함께 일반적인 3단으로 구성된 화환을 보내곤 하지요. 종교에 따라 다른 문구로 표현을 하니 알아두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목차 숨기기

1 <근조화환문구 종교에 따른 구분>

1.1 이 글 공유하기:

<근조화환문구 종교에 따른 구분>

조의 화환 문구 - joui hwahwan mungu

종교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조의를 표함에 있어 유족들이 따지지는 않습니다. 다만, 잘 맞춰서 근조화환문구를 써 준다면 더 고맙고 위로가 조금이라도 더 되겠지요.

1. 가장 보편적인 문구
– 謹弔 : 근조
– 삼가 故人의 冥福을 빕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 기독교 or 천주교
위의 보편적인 문구는 불교식 표현에 가깝습니다. 우리나라는 불교 역사가 정말 깊은 곳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기독교이거나 천주교일 경우 그에 맞게 수정해주는 게 좋습니다.
– 삼가 弔意를 표하며 故人의 冥福을 빕니다. : 삼가 조의를 표하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천국에서 편히 쉬소서
– 삼가 弔意를 표하며 하나님의 위로가 함께하기를 기원합니다.
– 召天 (소천) : 하늘의 부름을 받았다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표현하는 근조를 대신할 수 있는 단어입니다.

3. 불교
기본 문구가 불교식이긴 하지만, 별도의 근조화환문구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 極樂往生發願 : 극락왕생발원
– 極樂往生하소서

이 외에 추모(追慕), 도석(悼惜)이라는 표현을 하기도 합니다. 죽은 이에 대한 슬픔을 표현하는 문구입니다.

마음을 담아 근조화환 보내는 건 유족을 위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찾아가서 한마디 따뜻하게 위로해주고, 한 번 안아주는 게 더 큰 위로가 되겠지요.

[도움되는 글]

장례식장 절하는 법, 예절

여름 장례식 복장, 기본 예의 갖추기

이 글 공유하기:

  • 페이스북에 공유하려면 클릭하세요. (새 창에서 열림)
  • 트위터로 공유하기 (새 창에서 열림)

우리나라의 경우 종교의 자유로 인해 장례식에서도 다양한 장례문화를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근조화환에 문구를 작성할 때,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명복과 같은 단어는 불교 용어, 소천과 같은 단어는 기독교, 천주교 용어이기 때문에 사용 시 유의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종교별로 근조화환에 사용할 수 있는 문구에 대해서 알아보고, 화환을 보낼 때 알아둬야 할 내용과, 근조 바구니, 근조 문자 보내는 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교별 근조화환 문구 쓰는 법

기본적으로 근조화환에 쓰이는 문구는 위로와 애도의 마음을 담은 것이라면 모두 괜찮습니다. '근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와 같이 기본적으로 쓰이는 문구가 있지만 종교장으로 이뤄는 장례에서는 삼가야 하는 단어가 있으니 아래글에서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특히 명복을 빈다는 표현은 심심치 않게 쓰이는 단어이지만 엄밀히 말하면 불교용어입니다. 사후세계에서 받는 복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독교 장례식에서는 유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 기독교, 천주교

기독교와 천주교는 같은 그리스도를 믿는 종교로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근조에서 사용되는 단어는 동일하게 적용해도 됩니다. 소천, 근조, 천국, 하나님, 주님과 같은 단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장례가 기독장인지 꼭 확인하시고 문구를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 소천(天) : 하늘의 부름을 받아 돌아간다는 뜻

- 근조(謹弔) : 죽음에 대하여 삼가 슬픈 마음을 나타내는 뜻

- 추도(追悼) : 죽은 사람을 생각하며 슬퍼함

- 천국에서 편히 쉬소서

- 하나님 품에 평안히 안식하소서

- 소천을 애도합니다.

- 주님의 위로가 함께하시길

 

  • 불교

우리나라의 경우 오래된 불교의 역사로 인해 장례의 문화에서도 불교장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명복이라는 뜻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이지만 불교에서 '죽은 뒤 받는 복'을 의미함으로 장례의 성격에 맞게 잘 사용하셔야 합니다.

 

 

- 극락왕생 발원(極樂往生發願) : 극락왕생 - 죽어서 극락에서 다시 태어남,

                                               발원 - 실이나 부처에서 소원을 빎, 극락에서 다시 태어나기를 부처에게 비는 뜻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명복 - 불교에서 죽은 뒤 받는 복덕을 의미함

- 극락왕생하소서(極樂往生)

 

 

근조화환 보내는 방법과 알아두면 좋은 것

근조화환을 보낼 때에는 화환 왼쪽에는 보내는 이를 나타내는 이름이나 단체, 회사명을 작성하고 오른쪽에는 애도와 위로의 뜻을 담은 근조 문구를 작성하여 보내면 됩니다. 근조 문구의 경우 꽃집에서 작성시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선으로 이야기를 하기보다는 직접 타이핑을 통해서 화환을 주문하시길 추천드립니다.

 

  • 왼쪽은 성함 또는 단체, 회사명(ex : oo전자 대표 ooo, ooo회원 일동, 친구 ooo)
  • 오른쪽 애도와 위로의 마음을 담은 근조 문구

 

조의 화환 문구 - joui hwahwan mungu
근조 화환 예시

 

다음으로 근조 화환을 정확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장례식장, 빈소 호실, 상주 전화번호, 상주 이름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근조화환도 택배와 같기때문에 정확한 주소와 보내는 이를 정확히 전달해야 신속하게 배달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화환은 장례식장 별로 세워두는 시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미리 체크하셔서 배송이 빨리 되는 업체를 통해 신속하게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 장례식장, 빈소 호실, 상주 전화번호, 상주 이름을 미리 알아두기
  • 화환은 세워두는 시간이 정해져 있어 배송이 빨리되는 곳 찾기
  • 배송 전후, 화환 품질 꼼꼼히 체크하기

 

마지막으로는 화환의 품질은 보내는 이의 마음을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재활용 꽃을 사용하는 곳인지 체크하셔야 합니다. 화환을 처음 신청할 때 화환을 보내기 전, 배송 후 사진을 요구해서 제대로 배송이 됐는지 품질은 괜찮은지 판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배송 전 품질이 좋지 않은 것이 판단이 되면 수정사항을 요청하여 제대로 된 조의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근조 바구니 보내는 법

최근의 근조 화환이 반입되지 않는 장례식장이나 교회, 성당이 늘어남에 따라서 화환 대신 근조 바구니를 보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근조 바구니는 영정 양쪽에 2개를 배치하는 경우가 많고, 근조화환 달리 1단으로만 하고 있습니다. 근조 문구와 같은 경우는 근조화환과 똑같이 작성하시면 됩니다. 

 

  • 영정 양쪽 2개 배치, 화환은 1단으로만
  • 근조 문구는 근조화환과 동일

 

 

근조 문자 보내는 법

근조 문자를 보내는 경우에는 최대한 간결하고 정중한 표현을 사용해서 진심 어린 마음을 전달해야 합니다. 또한 문상을 갈 수 있는 상황이라면 굳이 문자를 보내지 않고 방문하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또 장례절차가 진행되는 중에는 슬픈 마음으로 인해 정신이 없기 때문에 전화는 삼가는 것이 좋고, 사이가 애매한 경우에는 문상이나 문자를 보내지 않고 향후 만날 일이 있을 경우에 애도에 마음을 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에는 근조 문구 예시를 넣어놨는데, 개인에 맞게 수정을 하시거나 진심을 담은 마음을 추가하셔서 보내시길 권장드립니다. 

 

  • 00의 별세를 애도하오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평소 고인의 은덕을 마음에 깊게 새기며 심심한 애도의 뜻을 표합니다.
  • 먼 곳에서나마 큰 슬픔을 위로하며 직접 찾아뵙지 못해 죄송합니다.(불참의 경우)
  • 부득이한 사정으로 조문치 못하여 진심으로 죄송하오며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불참의 경우)
  • 고인이 주님의 소망한 가운데에서 위로받길 기원합니다.(기독교)
  • 삼가 조의를 표하며 서반 정토 극락세계에서 왕생하시길 빕니다.(불교)

 

 

 

카카오톡 qr체크인 오류시 대처 방법

카톡으로 QR 체크인을 하시는 분들 중에 인식이 잘 안되시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요. 화면 밝기, 와이파이 상태 체크, 카카오톡 업데이트 확인, 아이폰 업데이트 오류, QR 인식 기기의 오류 등 몇

doryongnyong.tistory.com

 

60대 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직업

60대가 되어 퇴직이나 경력의 공백으로 인해 할 수 있는 직업을 찾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현실적으로 하실 수 있는 직업들이 몇 가지 있는데요. 사회복지사, 반찬 어머니, 전통시장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