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 평균 용돈 - jung1 pyeong-gyun yongdon

중학생 용돈 한 달 기준 금액이 얼마나 되는지 각 리서치 통계 조사 사이트와 각 단체별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학생 자녀를 두신 부모님들이거나 곧 중학교로 올라가는 자녀를 두신 분들이라면 자료를 보시고 참고하셔서 자녀분들에게 용돈을 주시면 되겠네요.

목차
1. 엘리트 교복 브랜드 조사 결과
2. 대학생 기자단 설문조사 결과
3. 교육 콘텐츠 회사 조사 결과
4. 교육 전문기업 설문조사 결과
중1 평균 용돈 - jung1 pyeong-gyun yongdon
중학생 평균 용돈

▼ 세금 공제에 필요한 교육비 납입증명서 발급 문제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교육비 납입증명서 온라인 발급 방법(중학교, 고등학교) 관련 홈페이지 이동하기 ▶▶

엘리트 교복 브랜드 조사 결과

2020년에 엘리트 교복 브랜드 회사에서 엘리트 교복을 구매하는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었습니다.

10대 청소년 중 중학교에 다니는 청소년의 대상자가 가장 많았는데요. 중학생이 생각하기에 월평균 용돈 액수가 얼마나 적당하냐라는 설문 조사 질문에

55% 이상은 2만 원 ~ 5만 원 사이, 26% 이상은 6만 원 ~ 10만 원 사이, 10%의 학생들은 11만 원 ~ 15만 원, 나머지 16만 원 이상이 9%를 차지했습니다.

해당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의 절반 가까이는 월에 한 번씩 받는 한 달 용돈을 지급받는다는 응답을 했네요.

▼ 중학생 자가격리 지원금 신청 방법은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중학생 자가격리 지원금 신청 관련 정보 홈페이지 이동하기 ▶▶

대학생 기자단 설문조사 결과

한 대학교의 기자단에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달 평균 용돈을 얼마나 받는지? 에 대해 설문조사를 했었습니다.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용돈을 안 받는다고 응답한 학생이 35%, 그리고 5만 원 미만의 용돈을 한 달 용돈으로 받는다는 응답이 40%

5만 원 ~ 10만 원은 5%, 10만 원 이상이 20%로 조사됐습니다. 엘리트 교복 브랜드 회사처럼 용돈을 받느냐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에는

약 35% 정도만 용돈을 받지 않는다고 응답했네요. 근데 청소년이 알바를 할 수 있는 것도 좀 제한되는데 용돈을 안 받으면 어떻게 생활을 하는지 궁금하네요.

▼ 2022년 기준 학자금 대출 관련 정보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2022 학자금 대출 신청기간 및 불가능 대학 정리 관련 홈페이지 이동하기 ▶▶

교육 콘텐츠 회사 조사 결과

한 청소년 교육 콘텐츠 전문 회사도 2020년에 초중고 학생들을 위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요. 중학생 기준으로 한 달 용돈 평균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먼저 한 달 평균 용돈이 얼마냐? 에 대한 설문조사에 200여 명의 청소년이 응답했는데요. 중학생 기준 한 달 용돈 평균 금액은 2 ~ 3만 원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한 달 평균 용돈 설문조사에 응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달 평균 희망하는 용돈 금액은 얼마인지? 에 대한 설문조사에는

평균 4만 원 ~ 5만 원이 청소년이 생각했을 때 적당한 용돈 금액이라고 응답을 했습니다. 참고로 고등학생은 8만 원 이상을 희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네요.

▼ 초등학교 위장 전입 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한 정보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해 보세요.

초등학교 위장전입 관련 정보 홈페이지 이동하기 ▶▶

교육 전문 기업 설문조사 결과

한 청소년 교육 전문 기업에서도 중학생 평균 용돈에 대한 조사를 했습니다. 근데 이번에는 중학생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했는데요.

용돈을 주는 시기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에는 초등학교 1학년 ~ 2학년이 적당하다가 34.2%, 3학년 ~ 4학년이 32%, 5학년 ~ 6학년부터가 22%, 그리고 11%는 중학생부터 주는 게 맞다고 응답했습니다.

그리고 중학생 기준으로 한 달 용돈이 얼마나 적당 한 지에 대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1만 원 ~ 2만 원이 28%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2만 원 ~ 3만 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오늘 이렇게 중학생 평균 용돈 한 달 기준 얼마나 적정한지? 에 대해 각 조사 전문기관 및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통계를 내려드렸는데요.

대략 중학생부터는 4만 원? 이 가장 적정한 한 달 평균 용돈이 되겠고 고등학생 때부터는 6만 원 ~ 8만 원이 가장 적정하다고 결과가 나온 것 같네요.

함께 보면 좋은 관련 포스팅

▼ 미성년자 증여 계산 방법

미성년자증여 계산방법

미성년자증여는 증여세가 얼마나 나올까요? 오늘은 미성년자에게 증여시 증여세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성년자증여 는 왜? 하는걸까요? 이유야 많겠지만 대표적

dhhdc1.tistory.com

중1 평균 용돈 - jung1 pyeong-gyun yongdon

하나銀, 50만명 이용 플랫폼 분석

초등생은 1만7500∼2만2300원
학년 올라갈수록 월 단위로 수령
청소 등 가정 알바로 용돈 충당도

중1 평균 용돈 - jung1 pyeong-gyun yongdon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우리 아이 용돈은 얼마나 줘야 할까. 딱히 어디 물어보기 뭣한 부모들의 작은 고민을 해소할 수 있는 흥미로운 분석 결과가 나왔다.

26일 하나은행의 Z세대를 겨냥한 체험형 금융플랫폼인 ‘아이부자앱’의 장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의 월평균 용돈은 6만4000원, 중학생 4만원, 초등학교 고학년생(4학년 이상) 2만2300원, 초등 저학년은 1만750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수치는 지난해 6∼12월 6개월간 만 20세 미만 앱 사용자의 실제 용돈 수령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출됐다. 구글 앱스토어에서만 부모를 포함해 약 50만명이 해당 앱을 내려받아 사용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수의 실제 사례를 분석한 결과라는 게 관계자의 귀띔이다.

지금까지 10대 이하의 금융 실태 조사는 이렇다 할 객관적 데이터가 없어 대부분 설문을 통해 이뤄졌다. 앱과는 별도로 추가 용돈을 받았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실제 10대 금융 서비스 이용자의 정기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라는 점에 이번 조사의 의미가 있다.

정기적인 용돈 외에도 자녀들은 추가적인 ‘가정 내 아르바이트’를 통해 생활비를 충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고학년과 중학생은 가정 내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 각각 지난 12월 평균으로 △애완동물 돌보기 2150원, 7667원 △청소 1939원, 2657원 △공부하기 8515원, 1만4554원 △책 읽기 1567원, 1840원 △요리 4823원, 6153원을 받았다. 가장 많이 하는 아르바이트는 청소였다. 고등학생의 경우 가정 내 아르바이트 단가는 더 높지만, 실제 실행 건수는 많지 않았다.

중1 평균 용돈 - jung1 pyeong-gyun yongdon

고학년이 될수록 용돈을 받는 주기가 길어지는 특성도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금전 관리를 더 잘할 수 있게 되는 영향으로 분석된다. 초등 저학년은 월 단위로 용돈을 받는 비율이 29%, 주 단위 비율은 67%였다. 월 단위 용돈 비율은 초등 고학년 37%, 중학생 54%, 고등학생 71%로 점점 증가했다.

지난해 6월 출시된 아이부자앱은 부모가 기술을 활용해 자녀를 가르치거나 돌보는 ‘페어런트테크’(Parent Tech)를 표방한 국내 첫 앱으로, 용돈을 받거나 카드·제로페이로 사용할 수 있고 증권 투자도 체험해 볼 수 있다. KB국민은행이 Z세대를 겨냥한 ‘리브 넥스트’앱을 출시하는 등 은행권은 10대를 포함하는 소위 Z세대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아직 경제력은 약하지만 향후 디지털 세대의 핵심 고객층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KB금융 보고서에 따르면, MZ세대가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21%에서 2030년에는 55%로 확대될 전망이다.

엄형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