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라 데아 수태 - kalla dea sutae

칼라데아 - 칼라데아의 특성 및 재배법


명칭 
과 명 : 마란타과(Marantaceae)  
학 명 : Calathea 
영 명 : Calathea  

원산지 
남아메리카, 브라질  

종류 및 특성 
열대 아메리카 습한 정글의 지피식물로 약 100종 이상이 자생하고 있다. 서양에서는 공작초(peacock plants)나 방울뱀풀(rattlesnake plants)로도 부른다. 속명은 그리스어의 ‘바구니’라는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소형의 다년초로 잎은 근생엽(뿌리나 줄기에서 직접 땅위에 나온 잎)이다. 잎에 아름다운 색채 무늬가 있는 것이 많다. 칼라데아와 마란타의 구별은 꽃 구조상의 차이점뿐이고, 잎의 외관만으로는 구별하기가 어렵다. 성질이나 재배법도 비슷하다. 칼라데아에는 인기있는 품종이 많이 있다.  
  
-칼라데아 제브리나(Calathea zebrina Lindl.) 
브라질 원산이며 잎이 가장 큰 종류로 분 재배에서도 1m 정도까지 자란다. 경엽은 부드럽고, 잎의 폭은 10∼20cm, 길이 30∼60cm 정도로 되며, 잎의 표면에 벨벳 느낌의 광택이 있으며 여기에 암록색의 화살대 날개모양의 줄무늬가 있고 잎 뒷면은 자적색이다. 꽃은 짙은 보라빛으로 두상으로 모여서 핀다. 색깔이 약간 더 짙으며 키도 1.4m 정도로 자라는 것을 비노티이(C. zebrina cv. Binotii)라 부른다. 월동온도는 10∼13℃ 이다. 
  
-칼라데아 인시그니스(C. insignis Bulk.=C. lancifolia Boom.) 
브라질 원산이며 키가 20∼30cm 자라고 황록색 바탕에 주맥 좌우로 암록색의 반점이 비스듬히 들어있고 잎 뒷면은 자홍색이다. 가죽질 느낌이 나는 좁고 긴 이 식물의 잎은 40cm 전후로 자라며, 폭은 3∼4cm이고 전면에 요철이 있다. 잎은 직립이고 무늬가 넓게 들어 있으며 녹색의 타원형 반점이 있고 잎의 밑면이 밤색이다.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재배관리가 양호하면 90cm 정도로 크고 원산지에서는 2m정도 자란다. 꽃은 빈약하다. 꽃이 피면 잎은 윤기가 없어지고 생육이 정지된다.  
  
-칼라데아 마코야나(C. makoyana Nichols.)  
브라질 원산으로 잎이 공작 날개와 같이 아름답기 때문에 공작초(peacock plants)라고도 부른다. 키가 15∼30cm 정도 자라는 왜성종이며 근래 들어온 것 중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품종으로, 약간 작은 모양의 잎은 황록색 바탕에 농록과 갈색의 무늬가 주맥의 좌우에 선명하게 들어 있어서 아름답다. 잎의 아랫면은 자주색을 띤다. 생육적온은 18∼22℃이며 월동온도는 14℃ 이다. 주로 분주로 번식하며 5∼8개월 키워서 판매한다. 재배가 까다로운 편이며 봄∼가을에 출하한다.  
  
-칼라데아 트리칼라(C. tricolor Hort.) 
원종인지 원예종인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키가 30cm 정도로 자라며, 길고 가느다란 잎에 담록, 황백색, 백색 등의 무늬가 귀얄자국과 같이 들어 있고 잎 뒷면이 자홍색인 실생종이다.  
  
-칼라데아 비치아나(C. vietchiana) 
키가 크고 대조적인 색깔이 반달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는 오픈형 종이다. 
  
-칼라데아 크로카타(C. crocata E. Morr.& Joriss)  
대부분의 칼라데아는 꽃이 작고 빛깔이 엷지만 이 종은 그렇지 않다. 칼라데아로는 진기하게도 아나나스류의 네오레게리아 꽃과 비슷한 오렌지색의 깨끗한 꽃이 피는 종류이다. 잎의 길이 12cm, 폭 7cm 정도이고 성질 등은 칼라데아와 같다. 
  
-칼라데아 로우이제(C. louisae Gagnep) 
원산지와 특성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잎의 길이 20∼30cm 정도이며, 폭이 넓고 끝이 뾰족하다. 강건하여 잘 번성되고 다수 군생된다. 저온과 건조에도 좀 강한 편이다. 노란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아래 면이 자줏빛이 나는 소담스러운 품종이다. 
  
-칼라데아 로제오 리네아타(C. ornata cv. Roseo-lineata) 
남미의 기아나, 에쿠아도르, 콜롬비아 등지에 자생하는 오르나타종(ornata)의 원예품종이다. 색깔은 산데리아나종과 같으며, 잎은 길이가 20∼30cm, 폭 5∼10cm로 가늘고 길다. 핑크색 줄무늬가 있고 잎 뒷면은 광택이 있는 암적색이며 추위에 좀 약하다. 칼라데아 로제오픽타(C. roseopicta)처럼 대형분으로 재배되는 잎이 큰 품종이다.  
  
-칼라데아 산데리아나(C. ornata cv. Sanderiana) 
전종과 비슷하나 전종보다도 잎이 넓고, 선상무늬가 약간 굵고, 그 간격도 넓다. 응애는 전종보다는 덜 발생된다. 고온, 다습, 반그늘을 좋아하고, 월동온도는 15℃ 정도는 되어야 한다. 생장은 늦은 편이다. 
  
-칼라데아 로제오픽타(C. roseopicta Regel) 
키가 30cm 정도로 자라며, 그다지 크지 않는 종류로 옆으로 퍼지는 느낌이 있다. 잎은 길이 20cm, 폭이 15cm 정도로 좀 넓은 편이며, 잎의 가장자리는 파상이다.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월동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로제픽타종은 짙은 녹색에 붉은 주맥이 눈에 띄는 둥근 잎을 갖고 있다. 
  
-칼라데아 스프렌디다(C. splendida LeG.) 
브라질이 원산지이며 그늘에서 재배하는 칼라데아중 가장 초장이 크다. 엽병은 가늘고 길며 30∼50cm 되고, 엽은 타원형이고 광택이 있으며 길이 25cm, 폭 10cm 이상이며 농녹색 바탕에 회백색∼녹백색의 폭이 넓은 무늬가 들어 있다. 재배가 용이하며 분지재배에 적합한 실용종이 있다. 절엽으로 수요가 많다. 
  
-칼라데아 로제오 픽타(C. roseo-picta Hook.) 
브라질이 원산이며 초세는 중형∼소형으로서 엽육이 두껍고 실용종이다. 엽은 넓은 계란형으로서 둥글고 엽장은 20cm 내외이고 엽색은 암록색 바탕에 증륵과 엽연 근처에 자적색의 모양이 들어가고 엽 전체에 광택이 있어 아름답다. 고엽이 되고 생육이 나빠지면 광택이 없어진다. 
  
-칼라데아 미칸스(C. micans) 
인기가 있는 왜성 품종 중에서 칼라데아 미칸스(C. micans)는 잎의 끝이 뾰족하고 잎의 아래쪽은 회색빛이 나는 녹색이다. 
  
-칼라데아 언듀라타(C. undulata) 
잎이 넓고 아래쪽에 자줏빛이 난다.  

재배방법 
광과 온도 
적정광도는 재배품종에 따라 약간씩 다른데 대체로 15,000~22,000Lux 정도이다. 강한 광선에서는 일소현상이 생긴다. 칼라데아 리트제이(C. lietzei)는 광합성 최대량은 1.6mg co2/dm2/hr이고 광포화점은 17,500∼18,000Lux이고 광보상점은 300∼400 Lux이다. 
18.5℃이하의 온도나 32℃ 이상의 고온은 주의해야 한다. 칼라데아는 열에 약하다. 그러나 성숙한 식물체는 12℃정도에서는 견딘다. 
  
배양토 
칼라데아는 재배하기 까다로운 식물이다. 성공적으로 생산하고 싶다면 농장의 재배 환경과 영양 관리를 정확히 해야 한다. 식물의 상태에 따라 생장 조건을 바꾸면 잘 기를 수 있다. 배양토는 피트모스와 모래를 3:1 혼합하거나, 수태와 바크를 1:1로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라도 배양토는 배수가 잘되고 통기성이 좋게 만들어야 한다. 이 식물은 비교적 낮은 산도를 좋아하므로 pH는 5∼5.5가 적당하고 EC는 0.5가 적당하다. 그러나 관수 용수나 비료에 불소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pH를 6.5정도로 높여주어야 한다. 배지에 미량원소를 혼합하여 주는 것이 좋다. 
  
비료 
질소-인산-칼리를 300-70-250ppm으로 한 액비를 규칙적으로 주면서 생산하기도 하고, 또는 20-10-15나 비슷한 비율의 완효성 비료를 혼합하여 주기도 한다. 12cm의 화분에 19-6-12비율의 완효성 비료를 8g정도로 주면 적당하다. 루이제(C. louisae)와 와스퀴지(C. warscewiczii)는 약간 다비성이다. 
비료가 부족하면 엽색이 나빠지고 잎무늬가 잘 나지 않게 된다. 한편, 고칼슘비료는 색의 강도를 옅게 할 수 있다. 산성을 좋아하기 때문에 질소원으로 절반 정도는 요소나 암모니아비료를 쓰는 것이 좋다. 그리고 많은 재배 품종들은 용해성 염류가 많은 배지에 약하다.  
  
물관리 
습한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생육기에는 겉흙이 마르면 식물체 전체에 충분히 물을 준다. 공중습도를 높여 주고 2∼3일에 1번씩 관수한다. 공중습도가 낮으면 잎의 신장이 나빠진다. 지나치게 건조하면 뿌리가 상한다. 공중습도를 60%나 그 이상 유지하도록 한다.  
  
번식 
품종에 따라 칼라데아는 종자, 조직배양, 분주로 번식한다. 칼라데아는 지하줄기나 지하경에서 잎이 나온다. 픽츄라타(C. picturata), 반덴헤키(C. vandenhecki), 아르젠테아(C. argentea)종은 종자로 번식한다. 인기 있는 몇몇 재배 품종들은 조직배양이 점차 널리 보급되고 있다. 분주로도 재배될 수 있는데 잎을 4~5매 붙여서 모주에서 떼어낸 묘를 보통 10cm의 화분에 2~3개 모아서 심는다. 분주묘는 7,500~11,000Lux의 광도에서 미스트를 주기적으로 분무하면서 발근 시킨다. 어린 식물과 분주묘의 경우 온도가 적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되도록이면 밤에는 21℃정도를 유지하고 낮 동안은 28℃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1) 모주 선정
1,000본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모주는 250주이다. 예비적으로 250주 정도를 준비한다. 필요한 시설면적은 8㎡이고 실제 면적은 6.5㎡이다. 상품이 되기까지는 6개월이 걸린다. 
모주는 잎이 크고 엽수가 많은 주를 선택한다. 육묘 시기는 아무 때나 좋으며 육묘 용토로는 피트모스가 좋다. 
분에 심을 경우는 12cm크기 분에 4∼6개의 줄기를 붙여서 2∼3cm 깊이로 심는다. 분에 심은 후 3개월이 지나면 비료를 주도록 한다. 3.3㎡ 당 45개의 화분을 놓았던 것을 3.3㎡ 당 30화분 정도가 되게 공간을 넓혀 준다. 

2) 정식
정식시기는 9∼11월과 4∼6월이 가장 알맞으며 환경조건이 적당하면 어느 시기나 가능하다. 적정한 정식 용토를 사용하여 2∼3cm깊이로 심는다. 소요면적은 12cm크기 1,000본을 넣을 면적은 33㎡이며 실면적은 26㎡ 가 소요된다. 즉 30평당 12cm크기 3,800본을 생산할 수 있다. 묘의 상태는 본엽이 4∼6매 붙게 한다. 묘의 선택이 품질을 좌우하므로 엽수, 엽크기, 엽색 등을 잘 고려해서 선택한다.  
  
기타관리 
칼라데아를 기를 때는 불소농도가 낮은 배지재료를 사용해야 된다. 석회질을 혼합하면 불소의 흡수를 줄인다. 마코야나(C. makoyana)는 인시그니스(C. insignis)나 로제아-픽타(C. rosea-picta)보다 불소화물 저항성이 있다. 그리고 루이제(C. louisae)는 점무늬병(Helminthosporium sp.)에 비교적 저항성이 있다.
공기흐름이 좋으면 잎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병해와 불소 피해를 막기 위해 한낮에 관수해야 한다. 습도가 60% 아래로 떨어지도록 두면 안 된다. 
  
생리장해 
고온, 건조, 저온 장해를 주의한다. 염류인 Ca++, Mg++, Cl-의 과잉증상이 나타나기 쉬우며 마코야나는 Ca++과잉시 잎이 작게 되고 Mg++, Cl-의 과잉시는 엽면이 마르기 시작하면서 잎이 고사하여 낙엽이 진다. 
염소는 80ppm 이상이 되면 엽면이 갈변하여 생장하지 못하고 전체가 황화되고 결국은 낙엽이 되고 새잎이 발생하지 않으며 생육은 극도로 나쁘게 된다. 칼슘의 농도가 높으면 초기생육은 좋으나 320ppm이 되면 잎이 작게 되고 식물체가 작아진다. 마그네슘의 영향은 적으나 160ppm이 되면 신엽이 나오지 않는다. 
불소 중독은 칼라데아에 흔히 일어나는데, 오래된 잎의 끝과 가장자리가 타게 된다. 또한 괴사된 가장자리에 황색 줄무늬가 생길 수 있다. 고광도와 고온이 되면 이런 증상이 더 심해진다. 따라서 불소 함량이 낮은 비료를 사용하고 불소가 적게 포함된 물을 사용한다. 토양칼슘과 pH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고온을 피하고 무슨 일이 있더라도 수분 스트레스를 피해야 한다.
새잎의 백화현상은 보통 질소와 철 성분이 낮아서 발생한다. 뿌리 썩음은 병 때문이 아니라 용해성 염류의 농도가 높아서 발생할 수도 있다. 

병해충관리 
병해 
1) 뿌리썩음병(Pythium sp.)
칼라데아를 지나치게 습하게 재배할 경우 뿌리썩음병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염류가 높은 토양조건에서 뿌리상태가 불량하거나 식물체의 생육이 부진할 경우 뿌리가 썩어 식물체가 말라죽게 된다. 발병초기에 적용약제를 토양 관주처리해 주고 건조하게 관리해야 한다. 

2) 잿빛곰팡이병(Botrytis sp.)
잿빛곰팡이병은 서늘한 겨울철에 주로 발생하고 가장자리부터 잎이 마르게 된다. 주로 상처부위를 통해 감염이 이루어지므로 삽수채취 직후 약제를 살포한다. 잿빛곰팡이병도 저온 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건조하게 관리해야 한다. 

3) 점무늬병(Helminthosporium sp., Alternaria sp.)
 Helminthosporium에 의한 점무늬병은 옅은 갈색의 원형 점무늬병반이 잎에 생기는 병해로 품종에 따라 발생의 차이를 보인다. Alternaria 점무늬병은 잎에 갈색의 작은점무늬가 생기고 습도가 높을 때면 잎이 썩기도 한다. 곰팡이에 의한 점무늬병으로써 잎이 젖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4) 바이러스병
잎에 황색모자이크 증상이 생기며 매개해충에 의해 전염이 된다. 무병모주로부터 영양번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충 
선충에 의한 피해도 발생하며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발생이 심한 포장에서는 토양소독이 요구된다. 응애가 발생하면 잎이 지저분하게 피해를 받게 되고 먼지응애에 의해 피해를 받은 잎은 잎 가장자리가 수침상 병반이 생기며 괴사되는 병징이 나타나기 때문에 불소에 의한 피해증상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나방류의 애벌레가 잎을 가해하기도 하므로 나방이 눈에 보일 경우 약제를 살포하여야 한다. 
  
이용 및 출하  
출하적기 판정은 12cm 크기에서는 엽수가 20매 이상 되면 출하적기이다. 출하 전에 분주할 때의 잎은(4∼6매) 제거한다. 출하 때까지의 관리는 출하기가 추울 때에는 1주일 정도 낮은 온도에서 순화를 시키고 운송시에는 난방차를 이용한다. 부피가 큰 그루는 중간 크기의 화분을 사용하거나 2∼3그루를 함께 심는다. 
칼라데아는 낮은 빛 조건에서도 다양한 색감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유럽에서 인기 있다. 다른 관엽식물들은 너무 낮은 광도에서는 색감을 잘 나타내지 않지만 칼라데아는 꽃이 없어도 매우 화려하고 인기가 있다. 작은 품종은 7~10cm 크기의 포트에 재배하고 1m까지 자랄 수 있는 제브리나(C. zebrina)와 같은 품종은 25cm이상 크기의 화분에 재배하여 출하한다. 왜성품종은 테라리움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낮은 습도가 실내에서 칼라데아를 활용하는데 제한 요인이 된다. 

실내관리 
칼라데아는 다른 여러 관엽식물 보다 낮은 빛에서 잘 견딘다. 최소 광도는 1,600Lux 이다. 4,300Lux 이상 되면 색이 향상된다. 13℃정도의 온도에서도 저온 피해를 받기 바람이 잘 들어오는 곳에 두면 좋지 않다. 적절한 온도와 배수가 잘 되는 배합토에서 재배하면 오랫동안 즐길 수 있다. 배지가 과습하면 좋지 않으므로 물주기 전에 식물이 약간 마르도록 한다. 화분 받침에 물이 고여 있으면 안 된다. 24-8-16비율의 용해성 액비를 아주 가끔 준다. 물을 많이 주어 과습되거나 용해성 염류가 높아지는 것이 칼라데아에 손실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담당자연락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김형득, 031-290-6160 
  
※ 자료출처 : 농촌진흥청 농사로(http://www.nongsar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