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라면 물 온도 - keoblamyeon mul ondo

인앤아웃 100℃ 끓인 물 정수기
버튼 누른 후 5초만에 물 나와
커피·컵라면 등 편리하게 이용
작년 4분기 판매량 137% 껑충

컵라면 물 온도 - keoblamyeon mul ondo

종합가전 기업 쿠쿠홈시스의 '인앤아웃 100℃ 끓인 물 정수기'가 코로나19 시대 홈쿡·홈카페족의 필수 가전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12일 쿠쿠홈시스에 따르면 인앤아웃 100℃ 끓인 물 정수기는 지난해 4분기 판매량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37% 급증했다. 2020년 10월 출시된 이 제품은 업계 최초로 '끓인 물' 버튼을 누르면 대략 5초 안에 100도로 끓여진 물이 나오는 기능을 탑재했다. 커피·전통차 등 각종 음료와 컵라면 등 간편식 등을 조리할 때 편리하다. 기존 정수기에서 나오는 온수로 컵라면이나 밀키트 등을 조리하면 물 온도가 낮아 재료가 잘 익지 않거나 제맛이 나지 않던 단점을 보완했다. 실제로 100도보다 온수 온도가 낮은 정수기로 컵라면을 조리할 경우 면이 익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그사이 면이 퍼질 수도 있지만, 100℃ 끓인 물 정수기는 이 같은 우려가 없다.

물 온도가 중요한 분말 커피나 믹스 커피를 만들 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커피뿐 아니라 잎 차, 분말 차, 과일청 등 각종 음료도 따로 물을 끓일 필요 없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이외에 열탕 소독이 필요한 젖병이나 유리병도 끓는 물로 간편하게 소독할 수 있다. 마시는 목적 외에 온수가 필요한 다양한 상황에서 따로 물을 끓이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렌탈 관리를 원하는 소비자 수요를 고려해 '원터치 필터 교체 시스템'을 탑재한 것도 인기 요인이다. 필터 도어를 열면 누수가 자동 방지되는 기능을 탑재해 매니저 방문 없이 누구나 쉽게 필터를 교체할 수 있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정지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전자레인지로 끓이는 컵라면

입력2017.11.27 19:23 수정2017.11.28 05:23 지면A19

농심 '신라면블랙사발'
봉지라면처럼 진한 맛 내
편의점 식사족 겨냥 출시

컵라면 물 온도 - keoblamyeon mul ondo

컵라면은 끓여 먹는 라면과 다르다. 맛도, 씹는 느낌도 차이가 난다. 농심이 이런 맛의 차이를 크게 줄인 컵라면을 내놨다. 편의점에서 끓인 라면을 먹고 싶어하는 젊은 소비자를 겨냥한 제품이다.

농심은 기존 ‘신라면블랙컵’을 전자레인지로 조리할 수 있는 용기면에 담은 ‘신라면블랙사발’(사진)을 출시했다고 27일 발표했다. 신라면블랙사발 용기는 전자레인지로 조리해도 녹지 않는 특수 재질로 만들어졌다. 물이 끓는 온도인 100도 안팎으로 오랜 시간 가열해도 용기 재질에 변화가 없어 안전하다. 전자레인지가 없을 때는 일반 컵라면처럼 끓는 물을 부어 먹을 수도 있다. 가격은 편의점 판매가 1600원이다.

면발과 국물 등 맛과 품질도 개선했다고 농심은 설명했다. 두 가지 조리법에 적합한 면으로 개발해 식감이 더 쫄깃하고 건더기 양도 2배 이상 늘었다. 농심 관계자는 “기존 컵라면은 용기 재질 때문에 80도 온도의 물을 부어 먹는 게 기본이었다”며 “전자레인지로 조리하면 마이크로파 진동이 라면 면발에 골고루 침투해 식감이 좋아지고 끓인 라면처럼 국물 맛이 진하고 깊어진다”고 설명했다. 용기에 끓는 물을 부어도 물 온도가 떨어지면서 면이 익는 기존 컵라면과 달리 새 제품은 전자레인지에서 계속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면이 익는 게 차이점이란 얘기다.

농심은 10~20대 등 라면의 주 소비층이 자주 찾는 편의점 시장을 집중 공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용기면이 가장 많이 팔리는 곳이면서 전자레인지가 대부분 설치돼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연간 용기면 매출 가운데 48%가 편의점에서 발생했다. 2위 대형마트(15%)와는 큰 차이가 난다.

1982년 농심 육개장사발면을 시작으로 35년간 국내 용기면(컵라면) 시장은 300배 이상 커졌다. 현재 7700억원 수준이다.

김보라 기자

당신이 좋아할 만한 뉴스

  1. 1

    "오늘도 집이 하나 사라졌습니다"…GS 쇼핑백 문구의 비밀

    “오늘도 집이 하나 사라졌습니다. 기후 위기, 다음은 우리 차례입니다.”GS리테일이 지난달 선보인 종이 쇼핑백에 담긴 문구다. 유통 업체 쇼핑백에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브랜드 아이덴티티(BI)와 가맹점 창업 안내, 모바일 앱 홍보 문구 등은 모두 없앴다. ‘걸어 다니는 광고판’ 역할을 하는 쇼핑백에 자사 BI를 뺀 이례적인 시도다. 업계에선 ‘ESG 경영(환경·사회·지배구조)’에 대한 GS리테일의 진심이 반영된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회사 홍보 대신 환경 캠페인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GS리테일은 지난달부터 편의점 GS25와 슈퍼마켓 GS더프레시에서 일회용 비닐봉지를 대체할 종이 쇼핑백을 활용 중이다. 이 회사는 오는 24일부터 시행되는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 금지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8개월 전부터 종이 쇼핑백을 준비했다.남극과 북극의 해양 생태계 등을 연구하는 극지연구소와 협업해 북극곰 이미지와 환경 보호 메시지를 쇼핑백에 담았다. GS리테일에서 ESG 추진위원장을 맡은 허연수 GS리테일 부회장(사진)이 “외형적 성과를 내세우기보단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마음으로 실질적인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자”며 변화를 독려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매일 700만 명이 방문하는 GS25와 GS더프레시에서 1년에 사용하는 일회용 비닐봉지는 약 2억 장에 달한다. 회사 관계자는 “일회용 비닐봉지 한 장은 생산부터 폐기까지 과정에서 약 47.5g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며 “연간 2억 장에 이르는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량을 줄이면 약 1만t가량의 온실가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가맹점주도 ESG 동참GS리테일은 이번 협업을

    컵라면 물 온도 - keoblamyeon mul ondo

  2. 2

    2년 만에 '소셜벤처 메카'로 부상…청년 몰리는 KT&G '상상플래닛'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자리한 공유오피스 상상플래닛이 청년 창업가들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다. KT&G가 운영하는 이 공유오피스에 사회 혁신을 꿈꾸는 창업가 200여 명이 모여 잇달아 성과를 내면서 개관 2년 만에 ‘소셜벤처 메카’로 급부상했다.8일 KT&G에 따르면 성수동 상상플래닛에는 현재 70여 개 스타트업과 200명이 넘는 벤처인이 입주해 있다. 입주율은 90% 이상이다. 2020년 7월 개관한 이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8층으로 연면적 4000㎡ 규모의 공유 오피스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때에 문을 연 탓에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젊은 창업인들 사이에선 ‘입주하고 싶은 공간’으로 유명하다.상상플래닛은 단순한 공유오피스가 아니다. 일단 임차료가 일반 공유 오피스의 절반 수준으로 싸다. 독립 사무공간뿐 아니라 스튜디오, 카페, 휴식 라운지, 샤워실 등 대기업 수준의 인프라를 갖췄다. 입주인 대부분이 소셜벤처인이라는 점에서 사업 시너지도 꾀할 수 있다. 소셜벤처는 영리 목적으로만 기업을 꾸리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업을 펼친다.증강현실(AR) 앱 ‘파라버스’를 운영하는 이매지니어스는 가상세계에서 유통되는 창작물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최근 정부 지원금을 받아냈다. 자금이 없어 학교 창고에서 창업했다는 김진성 이매지니어스 대표는 “정부 지원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가운데 이를 민간 기업이 보완해주면서 벤처생태계가 발전하고 있다”고 했다.특히 KT&G가 지원하는 사회혁신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상상 스타트업 캠프’는 2017년 시작해 벌써 7기를 모집중

  3. 3

    "미식이 새 먹거리"…호텔, 식음료 R&D센터 연 까닭

    3만5000원짜리 랍스터 샌드위치(사진), 20만원짜리 초밥, 3만2000원짜리 짬뽕…. ‘맛집’ 애호가들에게 잘 알려진 ‘마이클바이해비치’ ‘스시 메르’ ‘금룡’에서 판매하는 메뉴의 가격이다. 가격이 비싸다는 점 외에 이 식당들은 공통점이 있다. 모두 호텔이 운영하는 곳이라는 점이다.요즘 호텔업계는 식음·외식 사업에 진심이다. 면세점 사업이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 이 사업이 ‘효자’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주요 호텔은 연구개발(R&D)센터를 따로 마련하고, 매장에서 판매하는 음식을 가정간편식(HMR)으로 만들어 판매하는 등 시장 장악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롯데호텔의 식음료 매출은 2017년 1825억원에서 2019년 2079억원으로 증가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여파로 1254억원으로 쪼그라들었지만, 이듬해 1583억원으로 회복했다. 신라호텔의 식음부문 매출 역시 2020년 1059억원에서 지난해 1176억원으로 불어났다.요즘 식음사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대표적 업체로 현대자동차그룹 호텔 계열사인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가 꼽힌다. 해비치는 지난 6월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음식료 R&D센터 ‘스패출러’를 오픈했다. 이전까지 해비치호텔앤드리조트 제주에서 운영한 연구 관련 부서 ‘푸드랩’을 확장한 것이다.이곳에서는 해비치 호텔 업장을 비롯해 외식 사업 브랜드인 마이클바이해비치 등에서 선보일 신메뉴를 개발한다. 센터 오픈 초반에는 카리브해 음식을 개발했고, 지난달부터 중식 메뉴를 개발하기 시작했다.조선호텔앤리조트는 식음·조리 부문 임원을 전무급으로 임명해 관련 조직

    컵라면 물 온도 - keoblamyeon mul o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