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보드 드래그 - kibodeu deulaegeu

반응형

컴퓨터공학과를 다니는 학생인데 교수님이 아래처럼 드래그를 하시는데 컨트롤 알트 시프트??? 누른다고 들었는데 제가 잘못 들었는지 그게 아닌가 봅니다. 엑셀에서 셀 선택하는 단축키로도 해봤는데 잘 안돼요. ㅠㅠㅠ 키보드로만 사용해서 드래그하시던데 키보드로 일부만 선택하는 단축키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키보드 드래그 - kibodeu deulaegeu
키보드 드래그 - kibodeu deulaegeu

드래그 단축키: 키보드로 일부만 선택하는 방법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방향키 → 나 ↓ 키를 눌러 블록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컴퓨터, 노트북, 모바일 및 it 기기에 대한 모든 노하우를 제공합니다.

결론 : Ctrl + A 버튼을 누르면 된다.

검색창, 메모장 같은 곳에서 텍스트를 쓰고 키보드의 Ctrl 버튼과 A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바로 전체선택이 된다.

(그것을 일일이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전체 선택하는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필자는 검색창에 글자를 쓰고 그걸 바로 복사하고 싶으면 Ctrl + A, Ctrl + C 를 순서대로 눌러서 바로 복사한다.

한줄, 두줄 같이 자신이 쓴 그 글자덩어리를 바로 선택할 수 있어서 엄청 유용하다.

다만!! 이미 여러줄로 쓰여진 텍스트에서는 전체선택의 특성상 모든 텍스트가 선택되므로 이때 특정 한 줄만 골라서 복사하고 싶으면 그때는 마우스 드래그를 써야한다.. (근데 키보드로 하는게 그때부터는 더 복잡해지는지라.. 유용하진 않을 듯하다.

키보드 드래그 - kibodeu deulaegeu
이렇게 바로 검색창에 입력한 것을 키보드로만 복사해서 붙여넣기 할 수 있다.

이상 글자선택 단축키, 모두선택 단축키, 한줄복사 단축키, 마우스 없이 키보드로 드래그하는 방법, 마우스 안쓰고 키보드로 텍스트 전체선택하는 방법이었다. (이걸 뭐라고 검색해야되는지 애매해서 여러 키워드를 나열해두었다 ㅋㅋ)

키보드로 마우스 클릭 드래그 - 키보드 마우스 손목 통증 개선기 #2

이전글  [장바구니/공산품] - 키보드 마우스 손목 통증 개선기

왼손에 트랙볼을 사용할때 가장 큰 불편한점은 왼손 버튼 클릭이다.

왼손의 손바닥만 사용하여 트랙볼을 움직이기만 하는게 좋다. 움직이고 버튼까지 클릭하면 왼손에 반드시 무리가 온다.

그냥 마우스 커서만 움직이면 된다. 그 정도면 충분하다.

왼손으로 클릭할 필요가 없으니 심리적으로도 왼손에 전해지는 스트레스가 없다.

움직이고 클릭을 해야하는데 오른손으로 키보드 마우스 클릭을 하면 완벽한 조합이 된다.

보통 키보드의 오른쪽 하단의 Ctrl키와 Alt키는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 키보드를 클릭 & 드래그 버튼으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키보드 드래그 - kibodeu deulaegeu

위 키는 한영전환키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필자는 한영키는 Shift + Space로 사용한지 오래되어서 위 키를 선택하게 되었다.

사용 방법에 대해 먼저 설명하자면

오른쪽 Alt는 기본적으로 클릭을 담당하게 된다.

  * 먼저 Mac OS 를 사용한다면 아래 Steer Mouse 앱을 사용하는 것 을 추천한다.
  https://plentycom.jp/en/steermouse/
  위 앱을 사용하면 더욱 더 섬세한 클릭작업도 셋팅가능하게 되고 Mac에서의 불펀한점은 전부 해결되었다.
  예) 클릭을 누르고 있으면 드래그 효과를 그대로 낼 수 있다.

오른쪽 Ctrl은 드래그 시작 버튼으로만 사용된다.

창의 상단바를 잡아 위치를 옮기거나 텍스트의 특정 부분을 드래그한다거나 일반적으로 마우스의 왼쪽버튼을 누른상태가 된다.

드래그 시작 버튼이 별도로 있다는건 생각보다 굉장히 편리하다.

드래그를 하려면 마우스 버튼을 길게 누르고 있어야 하지만 그럴 필요가 없음으로 손가락이 편하다.

원하는 위치까지 왼손으로 트랙볼을 굴린 다음 오른쪽 Alt를 누르면 끝나는 것이다.

이제 설정법을 알아 보겠다.

Mac OS 기준

Window, Mac OS에서 키는 scancode로 관리된다.

우선 사용하고자 하는 Mac 에서의 스캔코드를 확인해 보자.

https://developer.apple.com/library/archive/technotes/tn2450/_index.html

키보드 드래그 - kibodeu deulaegeu

Mac key scancode

각 키보드의 ID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Keys can be remapped via the command-line tool hidutil. For example, use the hidutil command-line tool to remap the 'A' key to the 'B' key as shown in Listing 1. The map array consists of two key/value pairs that contain the source (HIDKeyboardModifierMappingSrc) and destination (HIDKeyboardModifierMappingDstKey) of the key remapping. The keys take a hexadecimal value that consists of 0x700000000 or’d with the desired keyboard usage value (see Table 1 for usage values).

hidutil 을 통해서 매핑을 다시 구성 할 수 있다고 설명이 나와있고, 0x700000000 16진수값으로 사용하라고 나와있다.

hidutil을 직접 커맨드라인에 입력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은 OS 재부팅시 매번 입력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니 영구적용하는 법을 아래에서 살펴보자.

// 아래 파일을 수정한다.
$ vi ~/Library/LaunchAgents/com.nanoant.KeyRemapping.plist

com.nanoant.KeyRemapping.plist 입력내용

<?xml version="1.0" encoding="UTF-8"?>
http://www.apple.com/DTDs/PropertyList-1.0.dtd">
<dict>
<key>Label</key>
<string>com.nanoant.KeyRemapping</string>
<key>ProgramArguments</key>
<array>
  <string>/usr/bin/hidutil</string>
  <string>property</string>
  <string>--set</string>
  <string>
    {"UserKeyMapping":
      [
        {"HIDKeyboardModifierMappingSrc":0x7000000E6,"HIDKeyboardModifierMappingDst":0x70000005D}, 
        {"HIDKeyboardModifierMappingSrc":0x7000000E4,"HIDKeyboardModifierMappingDst":0x700000062}
    ]}
  </string>
</array>
<key>RunAtLoad</key>
<true/>
</dict>
</plist>

위 코드에서 설명할 내용은 ( 해피해킹 키보드 기준 )

right_alt -> 0xE6 -> 0x7000000E6
right_gui -> 0xE7 -> 0x7000000E4
Keypad 5 -> 0x5D -> 0x70000005D
Keypad 0 -> 0x62 -> 0x700000062  
HIDKeyboardModifierMappingSrc":0x7000000E6,"HIDKeyboardModifierMappingDst":0x70000005D
right_alt 키를  Keypad 5키로 매핑
HIDKeyboardModifierMappingSrc":0x7000000E4,"HIDKeyboardModifierMappingDst":0x700000062
right_ctrl 키를 Keypad 0키로 매핑

눈치챈 분도 계시곘지만 넘버키로 매핑하는 이유는 

모든 OS에서는 키보드로 마우스 클릭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넘버키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

키보드 드래그 - kibodeu deulaegeu

numberpad mouse

그럼 OS에서 넘버패드로 마우스 제어 설정을 해준다.

키보드 드래그 - kibodeu deulaegeu

이제 키매핑 및 키보드로 마우스 클릭 드래거 설정이 완료 되었다.

추가로 한영키를 Shift + Space 로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한영키 : shift + space 
-> 환경설정 - 키보드 - 단축키 - 입력소스 - 입력 메뉴에서 다음 소스 선택 shift + space, 이전 입력 소스 선텍 ctrl+alt + space
-> ~/Library/Preferences/com.apple.symbolichotkeys.plist 이 파일(Binary)을 열고, ’61’의 세번째 integer 항목을 131072 로
Windows 기준

우선 레지스트리 파일로 등록하는 방법이다.

파일이름.reg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8042prt\Parameters] "LayerDriver KOR"="KBD101C.DLL" "OverrideKeyboardType"=dword:00000008 "OverrideKeyboardSubtype"=dword:00000005 "OverrideKeyboardIdentifier"="PCAT_101CKEY"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Keyboard Layout] "Scancode Map"=hex:00,00,00,00,00,00,00,00,04,00,00,00,4C,00,1D,E0,52,00,5C,E0,53,00,38,E0,\ 00,00,00,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8042prt\Parameters] "LayerDriver KOR"="KBD101C.DLL" "OverrideKeyboardType"=dword:00000008 "OverrideKeyboardSubtype"=dword:00000005 "OverrideKeyboardIdentifier"="PCAT_101CKEY"

 위 내용은 한영키를 Shift + Space로 바꾸는 내용이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Keyboard Layout] "Scancode Map"=hex:00,00,00,00,00,00,00,00,04,00,00,00,4C,00,1D,E0,52,00,5C,E0,53,00,38,E0,\ 00,00,00,00

위 내용은 오른쪽 하단키를 넘버키로 바꾸는 내용이다.

직접 윈도우 실행 파일을 열고  regedit를 실행 시켜 수정하는 방법도 있다. 

스캔 코드 값에 대해선 구글에 keyboard scan code specification - microsoft 값으로 검색하면 관련 PDF등을 볼 수 있다

4c 00 키패드5 - 클릭
38 e0 RAlt
52 00 키패드0 - 드래그
5c e0 Rwindow
35 e0 키패드/ - 마우스클릭키변경
4a 00 키패드-
00 00 00 00 00 00 00 00
04 00 00 00 4c 00 38 e0
52 00 5c e0 35 e0 4a 00
00 00 00 00

위 패턴에 대해 설명하자면 
00 00 00 00 00 00 00 00 -> 시작 규칙 패턴
04 00 00 00   -> 총 매핑 될 키의 갯수 + 1
4c 00 38 e0 -> 키패드5는 오른쪽Alt 사용
52 00 5c e0 -> 키패드0은 오른쪽Window 사용
35 e0 4a 00 -> 키패드/는 키패드- 사용

이제 Windows OS에서 마우스키 사용 설정을 하면 끝이다.

접근성 -> 접근성 센터 -> 마우스를 사용하기 쉽게 설정 -> 키보드를 사용하여 마우스 제어 ( 마우스 키 켜기 )

위 키보드 스캔코드값 들은 키보드의 키배열 특성도 고려해야 함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키보드의 스캔코드 값으로 적절히 매핑하여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