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 일반공차 규격 - ks ilbangongcha gyugyeog

KS 고시의 목록

구분표준번호표준명
개정 KSB2332 제수 밸브
개정 KSB1531 나사식 가단 주철제 관 이음쇠
개정 KSB2331 수도꼭지
개정 KSB1533 나사식 강관제 관이음쇠
개정 KSLISO4787 실험실용 유리제품 - 부피측정용 유리제품 - 사용방법 및 용량시험방법
개정 KSLISO648 실험실용 유리제품 - 원 마크 피펫
개정 KSLISO4788 실험실용 유리제품 - 눈금있는 측정용 실린더
개정 KSB2342 수도용 새들붙이 분수전
개정 KSBISO3098-2 제품의 기술 문서(TPD) — 레터링 — 제2부: 로마자, 숫자 및 표시
개정 KSAISO1101 제품의 형상 명세(GPS) — 기하 공차기입 — 형상, 자세, 위치 및 흔들림 공차
개정 KSAISO1302 제품의 형상 명세(GPS) — 제품의 기술 문서에서 표면의 결에 대한 지시
개정 KSB0435 자유 단조품의 기계 가공 여유
개정 KSBISO286-1 제품의 형상 명세(GPS) — 선 치수의 공차에 대한 ISO 코드 시스템 — 제1부: 공차, 편차 및 끼워맞춤의 기본
개정 KSBISO3040 제품의 형상 명세(GPS) — 치수와 공차의 표시 — 원뿔
개정 KSB0501 촉침식 표면 거칠기 측정기
개정 KSB0506 광파 간섭식 표면 거칠기 측정기
개정 KSAISO5455 제도 — 척도
개정 KSBISO2768-1 일반 공차 — 제1부: 개별 공차 지시가 없는 선 치수와 각도 치수에 대한 공차
개정 KSBISO3611 제품의 형상 명세(GPS) — 치수 측정 장비: 외측 마이크로미터 — 설계 및 계측 특성
개정 KSAISO128-21 제도 ― 표시의 일반 원칙 ― 제21부: CAD에 의한 선의 준비
개정 KSAISO6428 제도 — 마이크로카피 요구사항
개정 KSA0804 인쇄 용어 — 기본 용어
개정 KSLISO4797 실험실용 유리제품 - 원추형 갈아맞춤 이음부가 있는 플라스크
개정 KSA0203 기계 조각용 표준 서체(아라비아 숫자와 로마자)
개정 KSAISO9175-1 트레이싱 용지에 잉킹할 때 사용하는 수작업용 먹물 펜의 관(튜브) 팁 — 제1부: 정의, 치수, 명칭 및 표시

KS규격이란 무엇이고 어떤것이 있을까????

전 대학생이지만..!!

BASIC 중학생을 위한 기술 가정 용어사진으로 이해 하겠습니다 ㅋㅋㅋㅋㅋ

다읽으셧나요?? 

대중.. 기업마다 다 다르고 하면 호환성의 문제가 생기고 머하나사면 제품 하나하나다 바꿔야되니깐...

그래서 생긴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ㅋ!!

이게 메인이 아니기때문에 ㅋㅋㅋㅋㅋ

본론으로 가겠습니다!!!

<KS규격은?!>

KS A기본

 KS B기계 

KS C전기

등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그중에서 저희가 살펴 볼것은?!

ks b 0412

입니다..!!!

규격번호 규격명
KS B 0001 기계 제도
KS B 0002 기어 제도
KS B 0003-1 제도-나사 및 나사 부품-1:통칙
KS B 0003-2 제도-나사 및 나사 부품-2:나사 인서트
KS B 0003-3 제도-나사 및 나사 부품-3:간략 도시 방법
KS B 0004-1 구름 베어링 제도-1:일반적인 간략 도시 방법
KS B 0004-2 구름 베어링 제도-2:상세한 간략 도시 방법
KS B 0005 스프링 제도
KS B 0006-1 제도-배관의 간략 도시방법-1:통칙 및 정투영도
KS B 0006-2 제도-배관의 간략 도시방법-2:등각투영도
KS B 0006-3 제도-배관의 간략 도시방법-3:환기계 및 배수계의 끝부분 장치
KS B 0007 제도-치수 및 공차의 표시방법-비강성 부품
KS B 0008 제도-스플라인 및 세레이션의 표시 방법
KS B 0008-1 치수공차 및 끼워맞춤 방식-1:공차, 치수차 및 끼워 맞춤의 기초
KS B 0008-2 치수공차 및 끼워맞춤 방식-2:구멍 및 축의 공차 등급과 치수 허용차의 표시
KS B 0009 제도-문자-0:통칙
KS B 0009-1 제도-문자-1:로마자 숫자 및 기호
KS B 0009-2 제도-문자-2:그리스 문자
KS B 0146 보통공차-2:개별적인 공차의 지시가 없는 형체에 대한 기하공차
KS B 0147 제도-공차 표시 방식의 기본 원칙
KS B 0148 제도-기하공차 표시 방법:위치도 공차 방식
KS B 0161 표면거칠기 정의 및 표시
KS B 0162 표면거칠기 용어-1:표면 및 거칠기 매개변수
KS B 0242 최대 실체 공차 방식
KS B 0243 기하공차를 위한 데이텀
KS B 0401 치수공차 및 끼워맞춤
KS B 0412 보통공차-1:개별적인 공차의 지시가 없는 길이 치수 및 각도 치수에 대한 공차
KS B 0425 기하편차의 정의 및 표시
KS B 0608 기하공차의 도시 방법
KS B 0610 표면 파상도의 정의와 표시
KS B 0617 제도-표면의 결 도시 방법
KS B 0618 센터 구멍의 도시 방법
KS B 6081 제도 기계
KS B 6082 제도 기계용 스케일
KS B 7090 CAD 용어
KS B 7091 CAD 제도
KS B ISO5845-1 제도-체결 부품의 조립 간략 표시-1:일반 원칙
KS B ISO5845-2 제도-체결 부품의 조립 간략 표시-2:항공용 장치의 리벳
KS B ISO6411-1 제도-센터구멍의 간략 도시 방법
KS B ISO8015 제도-공차 표시의 기본원칙
KS B ISO9222-1 제도-씰(동적환경에 적용)-1:일반 간략 표시
KS B ISO9222-2 제도-씰(동적환경에 적용)-2:상세 간략 표시

[출처] 제도 관련 KS규격 |작성자 도도짱

KS B 0412 : 개별적인 공차의 지시가 없는 길이 치수 및 각도 치수에 대한 공차

라고 표시 되있습니다.!!!

무슨 망아지 같은 소리일까요??????

보통허용차

general dimension tolerance ]

도면 상에 길이나 각도 및 위치를 나타내는 치수에 치수공차가 지시되지 않은 경우, 허용되는 치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은KS에서 규정한 치수공차에 의하여 결정된다.이것을 보통허용차라고 하는데, 보통의 공장에서 보통의 노력에 의하여 얻어지는 정밀도를 표준화한 것이다. 기업에 따라서는 KS에 규정된 보통허용차보다 엄격한 치수공차를 사내 규격으로 채용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통허용차 [general dimension tolerance, 普通許容差] (두산백과)

이해하셧나요????

그럼 규격이 어찌 되어있나 볼까요???????

규정은 위글과 같은 사내 규격과 KS규격 2종류입니다

사내 규격이 KS규격보다 엄격하다고 하네요~ 

몰랐는데....ㅋㅋ.

.

.

             보통 허용차 (사내규정, KS규정)         

 1.사내규정 (생산기술 센터)

    <p align="JUSTIFY"> </p>

치 수 구 분

1급

2급

3급

비 고

0.5 이상 6이하

±0.05

±0.10

±0.20

-관련규정:KS B 0412

단)1급 →정밀급(F)

   2급 →보통급(M)

   3급 →거친급(C)

<ISO 2786>

ㆍF: Fine Series

ㆍM: Medium Series

ㆍC: Coarse Series

6 이상 30이하

±0.10

±0.20

±0.50

30이상 120이하

±0.15

±0.30

±0.80

120이상 315이하

±0.20

±0.50

±1.20

315이상 1000이하

±0.30

±0.80

±2.00

1000 이상

±0.50

±1.20

±3.00

모  따  기

0.3

0.5

1.0

-관련규정: 자체임의규정

각      도

±0.3

±0.05

±1.0

평  면  도

0.10

0.15

0.20

직  각  도

0.10

0.13

0.20

Hole-Pitch

±0.15

±0.20

±0.30

             <비고> 절삭, 판금, Frame 가공에 한하며, 도면내 공차의 별도 지시가 없을 경우에 적용함.


 2.KS규정

               2-1. 절삭가공의 보통허용차(KS B 0412)

               2-2. 금속프레스 가공품의 보통 허용차 (KS B 0413)

                                   <블랭킹, 굽히기 및 드로오잉 치수의 보통 허용차>              단위: ㎜

등급

치수의 구분

A급

B급

C급

D급

E급

30이하

±0.1

±0.15

±0.25

±0.4

±0.6

30 초과 120 이하

±0.15

±0.25

±0.45

±0.7

±1.1

120 초과 315 이하

±0.2

±0.4

±0.6

±1

±1.6

315 초과 1000 이하

±0.3

±0.7

±1.1

±1.8

±2.8

1000 초과 2000 이하

±0.5

±1.1

±1.8

±3

±4.5


                             <굽힘각도의 보통 허용차>                         단위:도

                 등급

      종류

B급, C급

D급, E급

직각굽히기

±1

±2

기타의 굽히기

±1.5

±3

            <비고> ① A급에 대하여 굽힘 각도의 보통 허용차는 규정하지 않는다.

                   ② 지시방법 例: KS B 0143, A급

출처-http://www.sindoils.com/FaManual078.htm

확실히 사내 규정이 KS보다 더 엄격하기는 합니다~!!!

결론은 KS B 0412란???

KS에 규정되어 있는 치수공차에 의하여 결정되는 허용치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