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컴퓨터 부품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연상되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못지않게 정말 중요한, 빠져서는 안되는 중요한 부품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CPU 쿨러! CPU 쿨러는 냉각 방식도 다양할 뿐더러 각각의 환경에 맞는 수많은 제품들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는 사실은 앞서 간단히 소개해드렸었는데요. PC를 사용함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게되는 CPU의 발열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해소해주느냐가 쾌적한 컴퓨팅 환경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AMD Ryzen 번들 쿨러인 레이스 쿨러 시리즈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볼까합니다.

번들이라 하면 아무래도 제품을 구매했을때 그저 따라올 뿐인 제품으로 저렴한 소모품이라는 인식을 갖기 쉽습니다. 심지어 소위 초코파이 쿨러라 불리는 인텔의 번들 쿨러는 최근들어 기본제공이 아니라 별도판매되기까지 하면서 번들 쿨러가 설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AMD 레이스(Wraith) 쿨러는 모든 라인업에 기본 제공될 뿐만 아니라 성능과 튜닝의 세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멋진 번들 쿨러입니다.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The New AMD Wraith Coolers!

총 5종류에 이르는 레이스 쿨러의 가장 큰 매력이자 특징은 LED 라이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명 쿨러 제조사인 쿨러마스터에서 제조를 전담하였기에 번들 쿨러임에도 준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죠. 현재 피나클 릿지에 동봉되어 있는 AMD 라이젠 레이스 쿨러 시리즈는 1세대인 서밋릿지 시리즈에 제공될때에 비해 더욱 진일보하여 같은 제품이더라도 보다 향상된 발열 효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라이젠을 지원하는 메인보드라면 어떤 레이스 쿨러라도 모두 장착이 가능합니다.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1. 레이스 스텔스(Wraith Stelth)

가장 하위라인업을 맡고 있는 레이스 쿨러입니다.

알루미늄 방열판과 쿨링 팬으로 구성된 가장 기본적인 쿨러입니다. 때문에 크기도 가장 작고습니다. TDP 65W의 쿨링 성능을 제공합니다.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2. 레이스 스파이어(Wraith Spire)

레이스 스파이어 모델은 LED의 유무에 따라 있는 모델, 없는 모델로 나뉩니다.

두 모델간의 냉각 성능은 동일하며 구리 베이스와 알루미늄 방열판에 쿨러가 장착되어있습니다. 레이스 스텔스에 비해 더 높은 TDP 95W의 쿨링 성능을 제공합니다. LED 모델은 쿨러에 LED 링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제 쿨러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LED 튜닝을 할 수 있으며 메인보드와 연결시 싱크를 지원합니다.

쿨러 장착 방법

레이스 스텔스와 스파이어의 장착 방법입니다.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① 메인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CPU 소켓 양쪽의 쿨러 가이드를 제거

(만약 검은색 쿨러 가이드가 없다면 해당 과성 생략)

② 백 플레이트를 메인보드 후면에 결합

③ CPU 소켓 위에 쿨러를 올려놓고 나사로 백 플레이트에 고정

(이때 서로 대각선에 위치한 나사끼리 먼저 조여줌)

④ 쿨러의 4핀 커넥터 및 RGB 헤더를 메인보드의 해당 커넥터에 연결

(RGB 헤더의 경우 연결 시 극성에 주의)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3. 레이스 맥스(Wraith Max)

이전 세대의 가장 고성능 쿨링 솔루션이었던 레이스 맥스 쿨러입니다. 라이젠 5 1600X과 라이젠 7 1700X, 1800X 멀티팩 제품에서 만나볼 수 있었던 모델로 현재는 다음에 소개해드릴 레이스 프리즘 쿨러로 대체 되었습니다.

쿨링팬과 알루미늄 방열판과 더불어 구리 히트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큐브를 연상케하는 외형으로 스텔스, 스파이어 모델과 디자인에서도 차이를 보입니다. 그만큼 방열판 면적도 늘어났었구요. TDP 140W로 높은 쿨링 성능을 자랑합니다. LED가 포함되어 있으며 RGB 모드를 지원합니다. 메인보드와 연결할 경우 레이스 스파이어와 마찬가지로 싱크 모드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4. 레이스 프리즘(Wraith Prism)

현재 번들 쿨러의 끝판왕(?)으로 군림하고 있는 레이스 프리즘 쿨러입니다. 레이스 맥스에서 더욱 거대해졌으며, 그로인해 방열판은 더욱 넓어졌으며 구리 히트파이프는 CPU 코어와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것은 코어의 열을 더욱 효율적이고 빠르게 쿨러로 옮겨줄 수 있습니다. TDP는 레이스 맥스와 동일한 140W급이지만 쿨링 성능면에서는 맥스를 앞섭니다. 이외에도 반투명한 팬 날개, LED 링 외에 팬 중앙에도 LED 추가되었으며 소음 또한 39dBA로 비교적 정숙해졌습니다. 역시 RGB 모드와 싱크를 지원하며 LED를 아예 끄는 다크모드까지 지원합니다.

쿨러 장착 방법

마찬가지로 레이스 맥스와 프리즘의 장착 방법 입니다.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① 메인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CPU 쿨러 가이드 한쪽에 쿨러의 걸쇠를 연결

② 반대편의 걸쇠를 연결

③ 고정 레버를 반대편으로 꺾어서 장착 완료(이때 쿨러가 흔들리지 않아야함)

④ 쿨러의 4핀 커넥터 및 RGB 헤더를 메인보드의 해당 커넥터에 연결

(RGB 헤더의 경우 연결 시 극성에 주의)

지금까지 레이스 쿨러와 장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쿨러별 차이점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진으로도 한번 살펴보시죠.

좌측부터 레이스 스텔스, 레이스 스파이어, 레이스 프리즘 순입니다.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출처 - PC사랑

아래는 레이스 프리즘과 레이스 맥스의 비교 사진입니다.

좌측이 레이스 프리즘, 우측이 레이스 맥스입니다. 쿨러의 크기와 히트 파이프 접지면, LED 라이트등의 차이점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출처 - 네이버 AMD 카페 가가멜님

레이스 쿨러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각 쿨러의 스펙과 CPU별 제공되는 쿨러에 대해 간단히 표로 정리해보았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레이스 맥스 프리즘 차이 - leiseu maegseu peulijeum chai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을 통한 피드백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본 게시글은 AMD Ryzen CPU 앰베서더로 활동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으며, 일부 하드웨어를 지원 받아 작성되었음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