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니지 1.63 명령어 - liniji 1.63 myeonglyeong-eo

리니지, 단축키 버그? 이젠 12개의 단축키를 사용해보자!

  • 입력 2005.05.12 10:22

기자명 admin

리니지 인터페이스와 단축키의 변화....

초창기때의 인터페이스는 직접 명령어를 이용해 단축키를 지정해야 했지만 점차 나아가 게임사의 업데이트로 인해 명령어가 아닌 마우스를 이용해 누구든지 간단하게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아이템이나 마법을 쉽게 단축키로 지정할 수 있도록 설정 되었다.

과거의 인터페이스에서는 8개의 단축키만을 지원했지만 마법사와 요정의 신규 마법이 늘어나자 단축키의 부족함은 다양한 마법을 구하사려는 마법사, 요정에겐 8개의 단축키는 턱없이 부족하였다. 이런 유저들의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게임사는 F1, F2 ,F3 키의 셋트 창으로 단축키 지정이 가능했고 8개가 아닌 24개의 단축키를 사용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사냥이나 전투시에 F1의 셋트 단축창에서 F2의 단축창으로 넘어가려 할때 공격이 끊기는 단점이 있다. 마우스로는 이 단점이 보완되지만 긴박한 상황에선 키보드보다 더 빠른건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래서 지금부터 소개할 8개의 단축창이 12개로 쓰여지는 버그(?)같은 팁을 소개하려 한다.

위 그림의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시된 제일 끝자락에 마우스 포인터를 갖다 대고 더블클릭을 한다.(F12번에 지정된 아이템이나 마법의 이름이 나타나지 않을 정도로 끝 부분에 더블클릭)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생각될지 모르지만 자세히 보면 노란색 네모칸(휠 버튼)이 밑으로 내려갔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마우스의 휠을 돌려보면 밑의 네모칸이 움직이는 걸 확인 할 수 있다. 하지만 밑에는 단축키 지정이 안된상태로 보여주고 있다.

F2번 단축창의 셋팅모습이다.

F2번 단축창의 단축키는 F5: 리무브 커스, F6: 헤이스트, F7: 블레스 웨폰, F8: 이뮨 투 함 이다. 두번째 사진에서 숨겨진 4개의 단축키는 바로 F2번 단축창의 ′F5 ~ F8′번 단축키 인것이다. F2 셋팅창으로 넘어가지 않아도 F5 ~ F8번의 마법들을 사용할 수 있었다.

본 기자가 확인한 결과, 굳이 첫번째가 F1번 셋팅창이 아니더라도 F2, F3 셋팅창에서도 가능했으며 휠을 계속 돌려보니 노락색 네모칸은 사라졌지만 그것은 사라진것이 아니라 더 밑으로 가 있었던 것이다. 즉, F2, F3 셋팅창을 모두 사용 할 수 있지만 화면엔 모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 어디 단축키에 위치해 있는지 모르는 불편함이 있다.

이 버그를 제보해준 ′II′님을 인터뷰 해보았다.

평온: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한다.

II: 대전에 사는 22살 남자다.

평온: 이 버그는 언제 알게 되었는가?

II: F12번을 이용해 단축키 8개를 9개로 쓸 수 있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다. 그 후로 본인도 한번 사용해보려다가 안되는 것 같아서 마우스 휠을 돌려보니 밑으로 내려가 있었고 휠버튼을 눌러보니 마법이 시전되는 것이 계기가 되어 알게 되었다.

평온: 이 버그를 사용한 후로 많은 도움이 되던가?

II: 전혀 느끼지 못한다. 현재는 F1, F2, F3 셋팅창으로 자유로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 버그는 그냥 버그일뿐 필요성은 전혀 느끼지 못한다.

평온: 제보 감사하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해달라.

II: 엄마!나메스콤타써!!

단축키는 많으면 많을 수록 손이 바쁘기 마련이다. 모든 게임에는 단축키가 존재하며 그로 인해 게임을 플레이하는데 있어 좀더 수준높은 플레이가 가능하다.

지금 소개한 버그도 일종의 팁이라 생각 되지만 유저들에게 얼마만큼의 효율적인지는 사실상 알기 힘들다.

사소한 정보라도 언젠가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날이 올것이다. 비록 지금은 필요 없지만 남들이 알려주는 작은 정보라도 귀담아 들을 필요는 있다고 생각하며 이번 기사를 마친다.

기자명 admin
저작권자 © 게임어바웃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음 오늘은 리니지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겟습니다
읽고 추천 해주시면 감사 하고요 악성 리플이나 태클은 사양하겟으니 하실말있으시면 회원 메세지로 ^^

/getall(/나눠집기(줍기?))

화살 아덴등을 집을때 숫자를 선택해서 집는 명령어 입니다

화살을 바닥에 딸아놓고 할때나 공성때 물약을 집을때 쓰이는 명령어입니다 유용하죠 ㅅㅅ

풀고 싶을때는 명령어를 한번더 쳐주면 됩니다

/buddy

친구 목록을 볼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영어라 다소 생소하지만

클릭하기가 더 귀찮죠 ㅅㅅ;

한글 명령어도 있을지도 모르지만 저는 영어로만 알고 있습니다.

/누구 (아이디)

가장 알려져 있고 많이 쓰이는 명령어 입니다

서버내 접속자 수를 알아보는 명령어 이기도 하지만

어떤 사람이 접속했는지 혹은 그 사람의 소속 혈맹과 호칭을 보고싶을때 쓰이기도한답니다.

/누구 아이디 를하면 그 사람의 호칭과 성향 그리고 소속혈맹이 표시되고

접속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접속자수만 나온답니다

/차단 (아이디)

특정 사용자를 차단하고 싶을때 사용합니다

차단하면 귓말,편지,일반채팅등 모든것이 거부됩니다.

차단자 목록을 보고 싶으면 그냥 /차단 이라고만 치시면되죠

차단을 풀고 싶으면 한번더 /차단 (아이디) 하면됩니다

/귓말 켬,끔

귓말을 받고 싶지 않을때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다시 켜고 싶으면 /귓말 켬 이라고 하시면 됩니다

/include (아이디)

귓말을 끈 상태에서도 몇몇 특정한 사람의 귓말을 받고 싶을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하지만 아직 구현되지 않은것 같더군요 ㅅㅅ;

/채팅 켬,끔

다들 아시는 명령어라고 생각합니다 리니지를 시작할때 제일 먼저 배우게 되는 명령어죠 ㅅㅅ

채팅창에 대화를 보지 않는 명령어 입니다 켜고 싶으면 켬 하면됩니다.

/위치(영문:/loc)

리니지상의 좌표를 보는 명령어 입니다 좌표는 대각선을 기준으로 정립되어있으며

대각선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이면 한쪽만 숫자가 변하는것을 알수 있을겁니다.

/초대

상대방을 자신의 파티에 초대 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최초로 초대한 사람이 파티장이되며 파티장만이 초대가 가능합니다

마주보고 해야하는 명령어입니다.

파티원의 제한은 8명이며 타게임과 달리 경험치를 정확히 나누므로

리니지는 파티게임이 아닙니다 ㅅㅅ; 물론 파티원이 많을수록 또 군주가 파티장일때 약간의

경험치 상승이 있습니다만 미약한 정도입니다.

/파티추방

파티를 받아야하는데 파티원이 잠수중이라 탈퇴를 못할 경우에 주로 사용합니다

파티장만이 사용할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파티탈퇴

소속된 파티를 탈퇴하는 명령어 입니다

자칫 실수하여서 /탈퇴를 누르는 분들이 종종 계시는데 창피합니다

ㅡ ㅡ 참아주세요 ㅅㅅ;

/파티

파티장이 누구인지 파티구성원이 누구누구 인지 알수있는 명령어 입니다.

/말풍선

해보면 재미있는 리니지를 느낄수가 있습니다

예전에는 영어 명령어를 알고 있었는데 지금은 까먹었내요 ㅠㅠ;;;

다시 해제하고 싶으면 한번더 /말풍선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2set /3set

재미있는 명령어입니다 한때 이 명령어때문에 컴터 포맷도하고

해결을 못해서 이상한 말만 마구하다가 게임을 접는분들도 있었는데요 ㅅㅅ;;

연인이나 친구부들에게 좋은 명령어라며 /3set를 입력하라고 해보시면 당황하는 모습들 보실수 있을겁니다

이건 2벌식 키보드 세팅 3벌식 키보드 세팅을 해주는 명령어인데 2벌식 키보드에서 /3set를 입력하면

당연히 글이 제대로 안쳐집니다 하하..물론 영어로 다시 /2set를 누르면 워래대로 돌아간답니다 ㅅㅅ;

/lang english japanes korean chinese

이것 역시 재미있는 명령어 입니다

/lang english 입력후에 리스를 하시면은 리니지내 몇몇 npc들이 영어로 표기되며

변신 리스트 또한 영어로 변하게 됩니다 얼마전에 해보았을때

외국서버 변신 리스트에는 다크엘프가 렙이 낮을때 변신되던데

해보았자 공격속도가 느린 옛날의 다크엘프 이므로 별로 좋을것은 없습니다.

다시 원상태로 돌리려면 /lang korean 이라고 하시면 됩니다 다른 나라 언어도 마찬가지입니다

/문장확인 (파일이름.bmp)

리니지 폴더 내에 리니지 문장 파일을 복사한후에

이 명령어로 파일을 불러들이면 혈전때처럼 머리위에 문장이 뜨며 그문장이

리니지에 적용되면 어떻게 나오는지 알수가 있습니다

군주 접속할 필요없이 문장의 모양을 확일할수 있어 문장을

만드시는분들이라면 유용한 명령어라고 볼수 있겠내요 ㅅㅅ

/문장 (문장이름.bmp)

문장을 다는 명령어 입니다

혈맹원들은 문장을 단후에 리스를 해야 적용된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결투

결투 명령어 입니다 함부로 허용해서는 안되는 명령어 입니다

누가 걸면 거부하세요 만로풀이 아닐경우 전투에 패배하거나 텔을 하게되면 아이템이

넘어가기도 한다더군요 ㅅㅅ;;

/pk

pk모드로 변환하는 명령어 입니다

기사는 거의 사용할 일이 없고

마법사나 요정들이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마법 사용시 컨트롤을 누른듯한 효과가 납니다

캔슬 사용시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단점은 클릭미스시 몹에게 힐을 줄수도 있으니 사냥할때는 주의를 요합니다.

역시 pk모드를 해제하고 싶은 경우 다시 /pk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기억 (아무글)

그 장소를 기억하는 명령어입니다 축순 이반등을 사용할때 유용합니다

물론 던전이나 공성존은 기억이 되지 않습니다.

기억리스트를 보고 싶으면 /기억 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쓸데 없는 항목을 삭제하고 싶으면 기억리스트의 내용을 클릭하고 del키를 누르면 됩니다.

/f(5,6,7,8,9,10,11,12) (마법의 첫글자)

이해하기 힘든 개념일지도 모르겠지만

초창기 리니지는 마우스 드래그가 아니라 수작업으로 단축키를 지정했습니다

또한 처음에는 빨간 물약 하고 제대로 이름을 입력하고 한글자라도 틀리면

사용되지 않았지만 나중에는 첫글자만 입력하면은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f5 빨,빨,빨

이렇게 지정을 하면 한번에 빨간 물약이 3개 먹어졌죠

금방 패치되어서 하나씩만 먹어지게 되었지만 ㅡ ㅡ;;

현재는 리니지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 되면서

아이템은 그런 방식으로 지정이 안되지만 아직 마법은 그런방식으로 지정할수 있습니다

이 방법이 왜 유용하냐고 물으신다면 "이래서 그런다!" 라고 대답하드리겠습니다

힘업과 덱업은 모두 피로 시작하는 마법입니다 피지컬 인챈트 : 덱스 힘 이런식으로요

만약에

/f10 피 라고 입력하게 되면 기사의 경우 힘투를 착용할 경우 힘업이 신투를 착용할 경우 덱업이

첫글자가 중복되는 마법의 경우 그냥 피만 입력한다면 덱업이 지정되며

글작 차이가 나는곳까지 적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커스: 패럴라이즈는

커스: 패 까지 적어야 지정이 되니다

그러지 않고 커스 만 적으면 커스 포이즌이 단축키에 지정이 되어버린답니다 ㅅㅅ

/가입

가입을 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레벨 5이상만이 가입이 가능하다는건 누구든 알겠죠 ㅅㅅ?

/탈퇴

혈맹을 탈퇴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호칭 아이디 호칭내용

레벨 40이상은 자신에게 호칭을 줄수 있습니다(혈맹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애만)

또눈 군주들이 호칭을 부여할때 쓰는 명령어 입니다

/추방

혈원을 추방시킬때 쓰는 군주 전용 명령어 입니다

/혈맹

접속한 혈맹원을 확일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자신의 계급과 접속중인 사람이 나옵니다

/계급 아이디 부여할계급명

45이상의 퀘스트를 완료한 군주만이 사용한 명령어 입니다

수호기사 등의 계급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수련기사는 혈맹채팅을 사용하지 못하며 수호기사는 수호채팅을 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