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터급 바이크 추천 - liteogeub baikeu chucheon

쿼터급 추천글 보고 삘 받아서 리터급 레플리카 내가 아는 선에서 모델별 특징 정리해봤음
저중에 직접 타본건 파니갈레 뿐이라 나머지는 여러 전문 리뷰 종합해서 정리했음

전자기기같은 경우는 리스트에 있는 애들은 C-ABS, C-TCS, 퀵쉬프터는 언급 안 해도 기본적으로 있다고 보면 되고 없거나 다른 바이크에 없는 기능 있는 경우엔 따로 씀

실제 오너중에 다르게 생각하는 부분 있으면 댓글로 지적 바람
그리고 디자인 관련한 부분은 사람들이 주로 디자인 관련해서 언급 많이 하는 바이크들에만 써뒀는데 디자인은 갠취니까 그렇게 중요한 부분은 아님

1. BMW S1000RR

999cc 직렬 4기통 엔진
마력: 205HP @ 13,000rpm
토크: 113Nm @ 11,000rpm
공차중량: 197kg, 194kg (M Pack)
가격: 2,700만원 (M Package: 3,130만원)

BMW 마크랑 꽤잘 빠진 디자인 덕분에 인지도도 높고 인기도 높은 바이크
성능도 당연히 리터급 알차인 만큼 부족할건 없고, 슈퍼바이크 시장에 전자장비 열풍을 가져온 BMW답게 전자장비도 충실함
크루즈 컨트롤, 열선 그립은 기본이고 알차 주제에 힐 스타트 컨트롤까지 달려있음
M Pack 적용 시 M 배터리, M 스포츠 시트, 흰빨파 데칼, 카본 휠 장착돼서 카본뽕 라이더에겐 필수

장점: BMW 마크, 퀄리티 높은 전자장비, 카본 휠 옵션
단점: 중위권 출력, 은근 흔함, 브렘보/올린즈 미적용, 엔진열

특징: 전자장비 완성도가 가장 높다고 평가되는 바이크, 관련 기능 가장 많음, 브레이크는 BMW 박혀있지만 닛신 캘리퍼 추정

2: BMW M1000RR

999cc 직렬 4기통 엔진
마력: 212HP @ 14,500rpm
토크: 113Nm @ 11,000rpm
공차중량: 192kg
가격: 4,580만원

S1000RR의 레이싱튠 버전이라고 보면 됨
조금 더 화려해진 데칼이랑 카본 윙렛 외에도 엔진 회전수 15,100RPM까지 높임
조금 더 비싸고 빠른 S1000RR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레플리카 처음 타보는 사람도 탈만하게 만든 S1000RR이랑 다르게 M1000RR은 본격적인 레이싱용이라 전체적으로 더 거친 등 특성이 많이 다름
일반인들이 공도에서 편하고 재밌게 타는 바이크보단 레이싱 팀에서 구입해서 자기들 입맛에 맞게 튜닝할 수 있도록 만든 바이크
브렘보/올린즈는 이번에도 안 들어갔지만 성능상 딱히 떨어지는 부분은 없음
레이스용 모델인 만큼 규정에 맞추기 위해 서스펜션은 오히려 전자식에서 기계식으로 변경

장점: BMW M, 희소성, S1000RR에서 추가된 디자인 디테일, 상위권 출력, 추가 유료 옵션 없음
단점: S1000RR이랑 너무 비슷한 디자인, 다루기 힘들어짐, 엔진열 여전함, 4580만원

특징: BMW 최초의 M 바이크, 고회전 엔진

3. 혼다 CBR1000RR-R

999cc 직렬 4기통 엔진
마력: 214HP @ 14,500rpm
토크: 113Nm @ 12,500rpm
공차중량: 201kg

가격: 3,147만원 (SP: 3,540만원)

트리플알로 유명한 CBR1000RR-R
역시나 레이스에 더 집중한 바이크로써 상당한 고회전형 엔진
다만 혼다답게 리스트에 있는 바이크 중엔 제일 무거움
그런데 또 혼다답지 않게 현행 파니갈레보다도예전파니갈레에 가까운, 다시 말해서 꽤 사나운 바이크라고 평가 받음
역시 전자장비는 빵빵하고 큰 위화감 없이 잘 작동하는 편

장점: 혼다 AS, 상위급 레플리카 중 가성비 최고, 고회전형 엔진, 가변 배기, 올린즈/브렘보
단점: 고회전 엔진+가변 배기 때문에 저RPM 빠따 낮음, 거친 특성, 201kg

특징: 규제 때문인건지 미국 모델은 188마력으로 제한돼서 경쟁 바이크들 중에 출력은 최하에 무게는 최대라 살 이유가 사실상 없음
특징2: 전면 헤드라이트 사이에 커다란 에어덕트 때문에 키 박스를 사이드로 옮겨둠

4. 야마하 R1

998cc 직렬 4기통 엔진
마력: 198HP @13,500rpm
토크: 113Nm @11,500rpm
공차중량: 200kg

가격: 2,280만원

친숙한 이름 R1
남이 조언을 하면 최소한 듣는 척은 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는 안타까운 사건도 있었듯이 리터급 알차중엔 가격이 낮아서 접근성이 좋은 편

성능은 리터 알차중엔 최하위권이지만 그래도 리터 알차라서 다른 바이크보단 훨씬 빠르고, 전자장비 퀄리티는 충분히 괜찮은 정도이나 BMW나 두카티보단 살짝 성능이 떨어지는 편

장점: 2,280만원, 있을건 다 있음, AS 접근성, 중고 매물 구하기 쉬움, 여러모로 무난한 리터알차
단점: 비교적 낮은 성능, 시트고 855mm, R6랑 비슷하게 생김, 브렘보/올린즈 당연히 미적용이며 성능차이 있음, 아주 뛰어나진 않은 전자장비

특징: 크로스플레인 엔진이라 배기음이 일반적인 알차랑 조금 다름

5. 야마하 R1M

998cc 직렬 4기통 엔진
마력: 198HP @13,500rpm
토크: 113Nm @11,500rpm
공차중량: 200kg
가격: 3,150만원

R1에서 카본 떡칠을 해놨으니 더 가볍겠지? 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오히려 새 카울은 공기저항 감소용이고 무게는 똑같음
서스펜션 올린즈 적용, 추가로 설정 가능한 전자장비 정도가 가장 큰 차이

장점: R1에서 조금 더 화려해진 디자인, 카본 카울, 올린즈, 전자장비 소폭 업그레이드
단점: 가격 약 900만원 상승, 무게 동일, 출력 동일, 시트고 860mm

6. 스즈키 GSX-R1000/R

999cc 직렬 4기통 엔진
마력: 200HP @13,200rpm
토크: 118Nm @10,800rpm
공차중량: 202kg (R: 203kg)
가격: 2,099만원 (R: 2,399만원)

신품 기준 리터 알차중에 제일 저렴하면서도 역시 필요한 기능은 대부분 가지고 있어서 인기가 높은 바이크
동급 경쟁자들과 비교 시, 성능이나 전자장비같은 부분에서 떨어지긴 하지만 그만큼 가격도 낮음
중고로 구하면 미들급보다 싼 경우도 많음

장점: 가격, 리터 알차 중엔 편한 편인 포지션
단점: 성능, 무게를 포함해서 전체적인 사양이 더 고가의 경쟁 바이크에 비해 떨어짐, R 버전을 구입해도 무게는 오히려 1kg 증가

7. 아프릴리아 RSV4 1100 / 팩토리

1078cc 65도 V4 엔진
마력: 217HP @13,200rpm
토크: 122Nm @11,000pm
공차중량: 199kg
가격: 18,999달러 (팩토리: 25,999달러)

아프릴리아의 V4 바이크
아직 국내 정식 가격은 없고, 해외 가격 기준으로 보면 대충 트리플알하고 비슷한 가격대로 생각하면 됨
출력 확보를 위해 1000cc를 살짝 넘는 배기량이고, 팩토리 모델 구입 시 브렘보/올린즈 적용
높은 출력답게 주행 성능도 뛰어나지만 전자장비의 개입 타이밍이나 강도가 조금 부자연스러워서 가끔 방해된다고 함

장점: 217마력, V4, 브렘보/올린즈
단점: 전자장비 완성도, 신형 출시 안 됨, 경쟁 모델 중엔 무거운 편인 중량

특징: 1000cc 초과 오버리터급

8. 두카티 파니갈레 V4/S

1103cc 데스모세디치 스트라달레 90도 V4 엔진

마력: 215.5HP @ 13,000rpm
토크: 124Nm @ 10,000rpm
공차중량: 197kg (일반), 195kg (S)

가격: 3,630만원 (일반), 4,560만원 (S)

파니갈레가 다른 바이크와의 경쟁을 따라가기 위해 2기통에서 4기통으로 늘어나면서 출시된 파니갈레 V4의 3세대 페이스리프트 모델
이론상 진동을 상쇄할 수 있는 90도 V4 구조에 윌리 방지하는 역회전 크랭크, 밸브를 스프링 대신 크랭크의 움직임으로 직접 닫는 방식인 데스모드로믹 시스템 등 엔진 부분에선 리터 알차 중 가장 MotoGP에 가깝다고 볼 수 있음
그 외에도 점화 타이밍을 조정해서 2기통이랑 비슷한 느낌 내는 트윈펄스 점화 시스템까지 두카티 MotoGP 바이크랑 동일하게 구현

트리플알이나 M1000RR과 달리 매립형이 아니라 돌출형 윙렛을 사용해서 다운포스는 가장 높음 (MotoGP에선 안전상 금지된 형태)
S 모델 구입 시 올린즈 전자식 서스펜션, 단조 휠, 머드가드 색상 변경
내 바이크인 2세대와의 차이점은 윙렛 및 하부 카울 형상 변경, 1.5마력 상승 정도
개인적으론 2세대 디자인이 제일 예쁜거 같음
전자장비 완성도도 BMW 수준으로 높고, 온갖 주행 안정성 관련 전자장비는 죄다 들어가있지만, 크루즈 컨트롤이랑 연료 게이지가 없음
대신 연료 경고등 들어오면 30~50km정도 주행 가능하니까 주유소 찾아가면 됨
두카티가 에코바이크로 알려져 있긴 하지만 신형으로 갈 수록 완성도가 높아졌는지 자잘한 고장이 거의 없어져서 매뉴얼대로 정기점검만 받으면 고장날 일은 잘 없음

장점: 디자인, 상위권 출력, 상위권 무게, 두카티, 브렘보/올린즈, 퀄리티 높은 전자장비, 두카티 서비스
단점: S 모델 4,560만원, 두카티 서비스, 엔진열, 크루즈 컨트롤, 연료 게이지 없음

특징: 두카티 퍼포먼스 아크라포빅 풀배기 적용 후 맵핑 시 228마력
특징2: 공식 파츠로 건식 클러치 적용 가능
특징3: S 모델이 4,560만원이라 M1000RR보다 싸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게 깡통 가격이라 카본 파츠 하나만 달아도 넘음
특징4: 이름에 R 안 들어가는 유일한 리터알차
특징5: 이게 최고성능 모델이 아님

9. 두카티 파니갈레 V4R

998cc 데스모세디치 스트라달레 R 90도 V4 엔진

마력: 221HP @ 15,250rpm (레이스 킷: 234HP @ 15,500rpm)
토크: 112Nm @ 11,500rpm
공차중량: 193kg (레이스 킷: 186.5kg)

가격: 5,100만원 이상

이미 파니갈레 V4S로도 M1000RR, 트리플알이랑 경쟁이 가능하지만 1000cc 미만 클래스에 맞춰서 나온 두카티의 레이스 호몰로게이션 모델
순정 기준으로도 리터 알차 최대출력, 최저중량인데 풀배기 장착되는 레이스 킷 적용 시 234마력, 186.5kg이라는 정신 나간 스펙으로 바뀜
서스펜션도 규정에 맞춰서 전자식 대신 올린즈 기계식으로 바뀌고, 레드라인이 16,500RPM이라는 미들급 알차 수준의 고회전형 엔진으로 변경
사실상 배기량, 출력, 회전수가 전부 바뀌는지라 다른 엔진으로 보는게 맞음
일반 V4, V4S랑 달리 1세대V4부터 저 디자인으로 유지됐음

장점: 고출력, 경량, 고회전 엔진, 아크라 슬립온 기본 적용
단점: 상당히 높은 가격, 엔진 점검 주기 약 3,000km, 엔진열, V4에 비해 공도 주행 조금 더 빡세짐

10. 가와사키 ZX-10R/RR

998cc 직렬 4기통 엔진
마력: 203HP @13,200rpm (RR: 204HP)
토크: 115Nm @11,400rpm (RR: 112Nm @ 11,700rpm)
공차중량: 207kg
가격: 약 2,200만원 (RR: 트리플알과 비슷한걸로 추정)

WSBK에서 우승 휩쓸고 있는 가와사키니까 당연히 리터급 알차도 잘 만들거 같지만 의외로 레이스에만 너무 집중해서 그런지 ZX-10R은 공도용으로나 트랙용으로나 S1000RR, 파니갈레, 트리플알 등의 바이크에 비해서 평가가 낮음
거기다 디자인 면에서 스즈키보다 구리다는 평이 대부분이라 더더욱 인기가 없지만 가격 자체는 좋은 편이라서 가와사키가 타고 싶다거나 디자인이 맘에 드는 사람들은 구입하기도 한다
리터급 알차들도 전자장비와 엔진 조율로 타기 쉽게 만드는게 트렌드지만 ZX-10R의 경우 그런 부분에서 언급이 적은걸로 보아 원래 가와사키 이미지 그대로 따라가는 걸로 보임

장점: WSBK 단골 우승 바이크, 가격, 가와사키 AS
단점: 브랜드가 우승을 자주 한다고 모든 바이크를 잘 만든다는 뜻은 아님, 207kg, 알차 입문용 바이크는 아님

스페셜. 두카티 슈퍼레제라 V4

998cc 90도 V4 엔진

마력: 224HP @ 15,250rpm (레이스 킷: 234HP @ 15,500rpm)
토크: 112Nm @ 11,500rpm
공차중량: 173kg (레이스 킷: 167kg)
가격: 1억 5000만원

V4R 기반으로 엔진에 들어가는 부품들 볼트 하나하나까지 거의 다 티타늄으로 바꾸고 풀카본 카울에 휠 포함한 온갖 파츠들도 죄다 카본으로 갈아치우면서 경량화에 집중한 500대 한정 바이크
레이스 전용과 공도용 바이크의 격차를 설명할 때도 예외로 두고 얘기할 만큼 스펙이 일반적인 공도용 바이크와는 넘사벽
무게 감량에 올인했다는게 농담이 아니라 리터 알차 중에 최고출력 가진 바이크가 R3, 닌자 400보다 가벼움
다운포스 상승을 위해 윙렛은 2겹으로 변경하고 서스펜션 및 브레이크 실린더도 최상급으로 업그레이드, 건식 클러치 기본 사양
레이스 킷 장착한 경우 출력만 따져도 H2보다 높고, 무게는 64kg이나 차이 남
출력도 출력이지만 무게 때문에 공도 주행 가능한 순정 바이크끼리 비교하면 실력이 같을 때 도로에서든 트랙에서든 잡을 수 있는 바이크는 없다고 보면 됨
그만큼 가격도 압도적이라 1억 5천만원이라는 스즈키 R1000 7대 사도 돈이 남는 가격

장점: 넘사벽 희소성, 공도 최고성능, 풀배기/건식 클러치 기본 포함, 풀카본 파츠
단점: 가격, 가격, 가격, 가격, 가격, 그 외에도 V4R과 단점을 공유하지만 저 가격 감당할 수 있는 사람한텐 다른 단점은 문제도 안 된다

심심해서 쓰기 시작했다가 또 2시간 잡아먹혔네 야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