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광질 좌표 - makeu gwangjil jwapyo

반응형

자원 분포

석탄 : Y 0~127 

 :  Y 0~63 

구리: Y 4~63

: Y 0~31 Y 32~80 (악지 지형 바이옴) Y 10~117 (네더)

청금석 : Y 0~30

에메랄드 : Y 0~32

레드스톤 : Y 0~15

다이아몬드 : Y 1~15 (Y 11에서 광질 추천)

고대잔해 (네더라이트): Y 8~119 (네더 / Y 15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Y 8~22까지 정규분포함)

  • Y좌표 11~13 사이는 모든 광물이 다 나옴

기타 블록 분포

베드락(기반암) : Y 0~4

자갈 : Y 5~56

흙, 잔디, 균사체 : Y 5~80

모래 : Y 43~63

물 : Y 48~62

용암 : 

월드생성시 Y 1~10에서 동굴이나 골짜기에 있는 공기블록을 대체하며 생성

지상에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네더 용암바다에서 용암면의 높이는 Y 22~ Y 32 까지 

반응형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 파인(Pine) 공략지도  (0) 2021.05.09
마인크래프트 만들기 - 사우루스시티 - 티라노 사우루스를 만들었습니다.  (0) 2021.01.18
에픽게임즈 이번주 무료배포 게임  (0) 2020.09.11
AR기술·RC카 융합한 '마리오카트' 최신작 등장  (0) 2020.09.09

마인크래프트에서는 다양한 광물이 등장합니다. 석탄, 철, 금 같은 우리에게 익숙한 광물부터 레드스톤, 청금석같은 다소 생소한 광물까지 말이죠. 그리고,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꼭 필요한 광물 또한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마인크래프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광물을 좀 더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드리기 위해 찾아와보았습니다.

마크 광질 좌표 - makeu gwangjil jwapyo

그래서, 광질을 하기에 적합한 위치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그에 대한 답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광물이 출현하는 좌표를 확인해보면 모든 광물이 등장하는 황금 좌표가 있는데요. 그 좌표는 11~13입니다. 아래에 광물을 흭득할 수 있는 좌표를 확인해보면 모든 광물이 Y11~13에서 채굴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석탄 y 5 ~ 66

y 2~58

y 4~29

청금석 y 11~17

에메랄드 y 4~29

레드스톤 y 4~13

다이아몬드 y 4~13

베드락(기반암) y 0~4

마인크래프트 좌표 확인하는법

마크 광질 좌표 - makeu gwangjil jwapyo

마지막으로 F3를 누르면 좌표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뜨게 됩니다. 그이외에도 여러가지 정보가 떠 초보자 분들은 좌표가 어디있는지 찾기 힘들수도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좌표는 XYZ: 옆에 있는 숫자들로 광물이 등장하는 좌표는 위 아래를 뜻하는 Y좌표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중앙에 표시해둔 숫자를 참고하셔셔 광물 좌표를 확인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마인크래프트 (Minecraft)의 각광물의 Y 좌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하단의 표를 보시면 석단은 암석의 모든 구간에서 젠이 되고,  철과 구리는 Y 63 좌표 까지, 다이아몬드는 1~15 구간에서 나타납니다. 다이아몬드의 경우 많은 유저들이 Y11을 추천합니다.

이유는 아마 용암의 Y10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다이아몬드가 용암 근처에서 많이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채광할 광물의 스폰 Y 좌표를 파악하셨다면 나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 저는 다이아몬드를 채굴할 예정이니 Y11로 이동해보겠습니다. 

1. F3 버튼을 누르고 나의 Y 좌표를 확인합니다. (현재 73)

2. 다이아 몬드가 존재하는 Y11로 이동하기 위해 땅 아래로 내려갑니다. 

3. 아래로 내려오셨다면 용암이 있고, 넓은 공간이 나오는 곳까지 일직선으로 다시 채굴을 시작합니다. 

4. 용암 근처 잘 살펴보면 다이아몬드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한 번에 3개나 다이아몬드를 발견했습니다. 다이아몬드를 채굴하기 위해서는 철 곡괭이 이상 등급의 곡괭이가 필요합니다. 철곡괭이 만드는 방법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마인크래프트 (Minecraft) 철 풀셋 만드는 방법 : (검, 곡괭이, 삽, 도끼, 괭이, 투구, 흉갑, 바지, 신

마인크래프트 (Minecraft)에서 철 풀셋을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철 풀셋을 만들기 위해서는 메인 재료로 막대기, 석탄, 화로, 철블록(철괴)가 필요합니다. 모두 철괴를 얻는 과정

medical8282.tistory.com

채광 기법은 크게 2칸 높이, 1칸 너비로 일자굴을 파는 형식과 동굴을 들어가 광물을 파밍하는 형식으로 나뉜다.

먼저 일자굴 형식으로 파는 법을 서술하겠다. 일자굴 채광은 y좌표 몇에서 파냐가 중요하다. y64 이상이면 석탄밖에 안나오고, y5 이하면 기반암이 있어서 통행이 방해된다. 또 y11 이하에선 용암이 생성되어 위험하다. 가장 좋은 높이는 y11로, 11 좌표는 모든 광물이 가장 많이 나오는 곳이다. 용암을 만나 빠져도 용암의 수위가 최대 y11이므로 광산 바닥과 용암의 수위가 같아서 다시 올라올 수 있다. 다이아몬드도 이 좌표에서 가장 잘 나온다.

일자굴 채광은 몬스터를 만날 일이 없어서 안전한 광질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얻는 광물 또한 적어서 후술할 동굴 파밍보다 수입은 적다. 위험 부담 없이는 뭐든 못 하는 법.

동굴 파밍은 위험요소도 많지만, 얻는 광물도 많고 재미도 있다. 일자굴 팔 때는 느끼지 못하는 긴장감이 있어서 게임 플레이를 재밌게 해준다. 그러나 동굴 안의 몬스터를 얕볼 수는 없다. 돌검 한두 개만 들고 들어갔다가는 갑툭튀하는 스켈레톤이랑 크리퍼를 막기엔 역부족이며, 동굴은 어두워서 주위의 몬스터를 살피기 어려워 기습 공격에도 대비하기 위한 방패도 없으면 안된다.

그리고 곡괭이에 효율이 붙어 있으면 대각선으로 파는 것도 효율적으로 좋고 실험을 해본 결과 대략 40분에 10정도의 다이아를 얻을수 있다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소개

부매니저

Karn(qkrehf2) 구조물고인(structur…) 알칩(letsdoit…)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1.18 광물 분포

ㅇㅇ(221.166)

마크 광질 좌표 - makeu gwangjil jwapyo
2021.12.01 15:45:04

조회 45438 추천 64

(※ 공기 노출 감소 : 광석 블록이 생성될때 공기에 노출된 상태면, 일정 확률로 생성이 취소됨)

석탄

- 생성 범위 : y좌표 0~256

* y좌표 0~192에서는 공기 노출 감소

- 생성 범위 : y좌표 -64~72와 80~256

- 최대 생성 : y좌표 16과 232

* 낮은 확률로 응회암을 따라 철 거대광맥이 생성됨

구리

- 생성 범위 : y좌표 -16~112

- 최대 생성 : y좌표 48

* 점적석 동굴에서 생성 개수가 증가함

* 낮은 확률로 화강암을 따라 구리 거대광맥이 생성됨

청금석

- 생성 범위 : y좌표 -64~64

- 최대 생성 : y좌표 0

* y좌표 -32~32에서 생성되는 광맥 일부는 공기 비노출

- 생성 범위 : y좌표 -64~32

- 최대 생성 : y좌표 -16

* 공기 노출 감소

* 메사 지형은 y좌표 32~256에서 추가로 생성됨(공기 노출 감소x)

레드스톤

- 생성 범위 : y좌표 -64~16

- 최대 생성 : y좌표 -54~-59

다이아몬드

- 생성 범위 : y좌표 -64~16

- 최대 생성 : y좌표 -54~-59

* 공기 노출 감소

에메랄드

- 생성 범위 : y좌표 -16~256

- 최대 생성 : y좌표 232

* 산악 지형에서만 생성됨

추천 비추천

64

마크 광질 좌표 - makeu gwangjil jwapyo
10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내부 검색

오른쪽 컨텐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