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소환사 영어로 - makeu sohwansa yeong-eolo

쉬움 난이도에서는 흉조I에 의해 발생할 경우 우민들의 무기에 마법부여가 전혀 없다. 흉조 II~V일 경우 낮은 단계의 마법부여가 있을 확률이 점점 올라간다. 각 웨이브마다 1/4 확률로 약탈자, 1/4 확률로 변명자가 하나씩 더 생성될 수 있다.


습격 등장 병력(자바 에디션 보통)

구성원

웨이브 1

웨이브 2

웨이브 3

웨이브 4

웨이브 5

추가 웨이브

약탈자

4~5

3~4

3~4

4~5

4~5

4~5

변명자

0~1

2~3

0~1

1~2

4~5

2~3

파괴수

1

1~2

마녀

0~1

3

0~1

0~1

소환사

1

1

파괴수에 탄 약탈자

1

  • 보통 난이도에서는 웨이브마다 1/2 확률로 약탈자, 1/2 확률로 변명자가 하나씩 더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3, 5 웨이브에서는 1/2 확률로 마녀가 하나씩 더 생성될 수 있다. 추가 웨이브에서는 1/2 확률로 파괴수가 하나 더 생성될 수 있다.


습격 등장 병력(자바 에디션 어려움)

구성원

웨이브 1

웨이브 2

웨이브 3

웨이브 4

웨이브 5

웨이브 6

웨이브 7

추가 웨이브

약탈자

4~6

3~5

3~5

4~6

4~6

4~6

2~4

2~4

변명자

0~2

2~4

0~2

1~3

4~6

2~4

5~7

5~7

파괴수

1

마녀

0~1

3

0~1

0~1

1~2

1~2

소환사

1

1

2

2

파괴수에 탄 약탈자

1

파괴수에 탄 변명자

1

1~2

파괴수에 탄 소환사

1

1

  • 어려움 난이도에서는 웨이브마다 1/2 확률의 추가 약탈자 생성 시도, 1/2 확률의 추가 변명자 생성 시도가 각각 두 번씩 이루어진다. 그리고 4웨이브를 제외한, 모든 마녀가 등장하는 웨이브에서 1/2 확률로 마녀가 하나씩 더 생성될 수 있다. 추가 웨이브에서는 1/2 확률로 파괴수에 탄 변명자가 하나 더 생성될 수 있다.


흉조 II부터는 추가 웨이브가 발생한다. 또, 흉조 레벨이 높을수록 마법부여된 무기를 들고 나올 확률이 높다. 흉조 II에서 10%로 시작해 흉조 V 에서 75%까지 올라간다.

습격대가 오는 방향에 다른 우민이나 마녀 등이 있다면 그들도 가담해서 마을을 공격한다. 마녀들은 공격뿐 아니라 우민들에게 투척형 재생, 치유의 물약으로 지원까지 한다.

자바 에디션에서는 게임 규칙의 disableRaids를 켜서 플레이하고 있는 세계에서 습격이 일어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습격 등장 병력(베드락 에디션)

구성원

웨이브 1

웨이브 2

웨이브 3

웨이브 4

웨이브 5

웨이브 6

웨이브 7

약탈자

4

3

3

3

5

변명자

2

4

2

6

파괴수

1

1

마녀

3

1

소환사

1

1

2

파괴수에 탄 약탈자

1

1

파괴수에 탄 소환사

1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흉조의 레벨과 등장 몹 수는 관계가 없고, 웨이브 수도 늘어나지 않는다. 쉬움 난이도에서 3 웨이브, 보통 난이도에서 5 웨이브, 어려움 난이도에서 7 웨이브까지 진행한다.

습격 시 생성되는 약탈자와 변명자들은 확률적으로 에메랄드와 마법부여된 책, 철 갑옷·도끼·삽·검을 떨어뜨릴 수 있다. 장비는 내구도가 많이 떨어진 상태이며 50%의 확률로 마법부여가 걸려있다. 이 아이템들도 약탈 마법부여의 효과로 드랍율을 높일 수 있다.

자바 에디션과는 달리 마녀들이 해로운 물약으로 공격만 하고 특별히 아군을 지원하지는 않는다.

습격대 몹들도 AI가 좋은 편은 아니라서 협곡이나 낭떠러지, 혹은 지상에서 멀지 않은 동굴에 빠져 보이지 않을 때도 있다. 지형을 잘 뒤지거나 종을 쳐서 위치를 찾는 것(JE)도 좋지만, 처음부터 평탄하고 고른 지형에서 습격을 시작하면 이런 일을 방지할 수 있다.

2. 목록[편집]

2.1. 변명자[편집]

변명자 (Vindicator)

마크 소환사 영어로 - makeu sohwansa yeong-eolo

공격력

무장: 7.5(쉬움), 13(보통), 19.5(어려움)
맨손: 3.5(쉬움), 5(보통), 7.5(어려움)

생명력

24

드롭 아이템

에메랄드(0~1개)

착용 아이템

철 도끼, 불길한 현수막(대장 한정, 처치시 100% 드롭)

경험치

5

히트박스

JE: 높이 1.95m, 너비 0.6m
BE: 높이 1.9m, 너비 0.6m

삼림 대저택이 생성될 때 특정한 방에 포함되어 생성되며 습격에서도 볼 수 있다.

평상시에는 주민처럼 손을 모으고 있다가, 적을 발견하면 철 도끼를 꺼내들고 빠르게 달려든다. 도끼를 사용하기 때문에 방패로 공격을 막으면 5초간 방패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적을 추적하는 범위는 12 블록까지이다.

습격에서 생성된 변명자는 보통 이상의 난이도에서 나무 문을 부술 수 있다. 자바 에디션이라면 부수기만 할 뿐 아니라 열기도 한다.

변명자는 지역 난이도에 따라 최대 25% 확률로 마법이 부여된 도끼를 들고 생성된다.

이름표, 이름을 바꾼 생성 알 등으로 "Johnny"라는 이름이 붙은 변명자를 생성하면 같은 우민과 가스트를 제외한 모든 몹(벡스, 파괴수(JE) 포함)에게 적대적으로 변해 마구잡이로 공격하는 이스터에그가 있다. 이는 영화 샤이닝에 등장하는 잭의 패러디다.

2.2. 소환사[편집]

소환사 (Evoker)

마크 소환사 영어로 - makeu sohwansa yeong-eolo

공격력

JE: 6
BE: 4(쉬움), 6(보통), 9(어려움)

생명력

24

방어 포인트

2(8%, BE)

드롭 아이템

불사의 토템 1개(100%), 에메랄드(0~1)

착용 아이템

불길한 현수막(대장 한정, 처치시 100% 드롭)

경험치

10

히트박스

JE: 높이 1.95m, 너비 0.6m
BE: 높이 1.9m, 너비 0.6m

소환사는 다른 우민들에 비해 적은 수가 생성된다. 삼림 대저택이 생성될 때 특정한 방에 포함되어 생성되며, 보통 난이도 이상의 습격에서도 볼 수 있다.

소환사는 12블록 이내에 있는 적을 두 팔을 올리고 주문을 외워 공격한다. 공격시 사용하는 주문은 다음의 두 가지이며, 어떤 주문을 쓰는지에 따라 다음 주문을 쓸 수 있는 대기시간도 달라진다.

하나는 소환사 송곳니(Evoker fangs)를 이용한 범위 피해 공격이다. 이 주문을 사용할 때 소환사의 손에서는 연보라색 입자가 나타나며 낮은 고동소리가 재생된다. 소환사 송곳니는 아주 잠깐 나타났다 사라지는, 히트박스 높이 0.8m·너비 0.5m의 개체(entity)로, 우민이 아닌 대상과 접촉하면 피해를 준다. 적과의 거리가 3블록보다 멀면 공격 대상에게 직선 방향으로 16개의 송곳니를 생성하고, 3블록 이내에 있으면 13개의 송곳니를 자신의 주변에 원형으로 생성한다. 송곳니는 물약처럼 마법 피해라 방어 포인트를 무시하며, 투사체가 아니기에 방패로 막을 수 없다. 이 주문을 사용하면 소환사의 주문 재사용 대기시간이 2초로, 송곳니 소환 주문의 대기 시간은 5초로 재설정된다.

또 다른 하나는 우민과 같은 편에서 싸우는 작은 몹 벡스를 세 마리 소환하는 것이다. 이 주문을 사용할 때 소환사의 손에서는 흰색 입자가 나타나며 높은 고동소리가 재생된다. 자신을 중심으로 16 블록 안에 벡스가 8마리 미만이면 벡스를 소환할 수 있다. 이 주문을 사용하면 소환사의 주문 재사용 대기시간이 5초로, 벡스 소환 주문의 대기 시간은 17초로 재설정된다.

자바 에디션의 경우 벡스를 소환하면서 재사용 대기시간과 무관하게 원형으로 송곳니를 생성하기도 한다. 대개는 벡스를 소환 중인 소환사를 플레이어가 가까이서 공격할 때 이런 일이 일어난다.

반경 10 블록 안에 플레이어가 있고 주문을 외는 중이 아니라면 소환사는 플레이어로부터 빠르게 거리를 벌려 안전을 확보한다.

아주 드물지만 습격에서 현수막을 달고 대장으로 생성되는 경우도 있다.

기본적으로 우민들이 공통으로 적대하는 대상 외의 다른 몹을 공격하지는 않지만, 플레이어를 향한 송곳니 공격에 좀비나 스켈레톤 같은 몹들이 휘말리게 될 경우 어그로가 끌려 싸움이 붙기도 한다.

16블록 이내에 있는 파랗게 염색된 양을 주문을 외워 빨갛게 바꾸는 이스터에그가 있다. 이 주문을 사용할 때 소환사의 손에서는 황토색 입자가 나타나며 '울룰루'하고 외치는 효과음이 재생된다. 이 주문을 사용하면 소환사의 주문 재사용 대기시간이 3초로, 양 색 변환 주문의 대기 시간은 7초로 재설정된다. 이러한 행동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의 성직자를 패러디한 것이다.

마인크래프트 던전스에서는 호박정원에서 보스로 등장한다.

2.2.1. 벡스[편집]

벡스 (Vex)

마크 소환사 영어로 - makeu sohwansa yeong-eolo
마크 소환사 영어로 - makeu sohwansa yeong-eolo

순서대로 평상시, 분노 상태

공격력

5.5(쉬움), 9(보통), 13.5(어려움)

생명력

14

착용 아이템

철 검

경험치

3

히트박스

높이 0.8m, 너비 0.4m

소환사가 불러내는 날아다니는 작은 몹이다. 'Johnny' 변명자가 공격하는 등 우민에 속하지는 않지만 상술했듯이 우민의 일원인 소환사가 소환하는 몹으로 여기에 서술한다.

벡스는 자신을 소환한 소환사가 지정한 대상, 또는 자신을 공격한 대상을 공격한다. 대상에게 돌진할 때는 울부짖는(shriek) 소리와 함께 몸의 붉은색 무늬가 빛나듯 떠오른다. 적이 없을 경우 자신을 소환한 소환사 주변 15×11×15 공간을 돌아다닌다.

자바 에디션의 경우 소환사가 소환한 벡스는 소환 후 30~119초가 지나면 피해를 입다가 죽는다. 명령어, 생성 알, 생성기 등으로 소환한 벡스는 이런 피해를 입지 않는다.

벡스는 기반암을 포함한 모든 블록을 통과할 수 있으며 질식과 불 피해에 면역이 있기에, 소환사에 소환 한정 등장및 낮은 체력에 가려져 잘 부각되지 않지만 마인크래프트 내에서 굉장히 상대하기 까다로운 몹으로 히트박스 역시 타 몬스터에 비해 작은데다 데미지 역시 무시못하기에 주위를 잘 살펴가며 근접전을 하고 근접전이 부담되면 활이나 쇠뇌를 이용한 원거리 공격을 사용해도 되나, 소환사는 벡스를 여러마리 소환하기에 딱히 추천하지 않는다.

벡스는 습격대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처치해도 보스바가 줄지 않으며, 벡스가 남아 있더라도 다른 몹들을 모두 처치하면 해당 웨이브가 종료된다.

대개 몹들은 플레이어나 길들인 늑대가 처치할 경우 낮은 확률로 착용 아이템을 드롭한다. 하지만 벡스의 철 검은 HandDropChances 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어 절대 드롭되지 않는다. 한편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낮은 확률로 드롭하나 약탈 마법부여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름인 'vex'는 성가시게 하다, 속 타게 하다 등의 의미로, 비슷하게 생긴 알레이와는 뜻이 상반된다.

2.3. 약탈자[편집]

약탈자 (Pillager)

마크 소환사 영어로 - makeu sohwansa yeong-eolo

공격력

쇠뇌

4(쉬움, 보통) 5(어려움)

맨손(BE)

3~4(쉬움), 4(보통), 4~5(어려움)

생명력

24

드롭 아이템

화살(0~2)(BE)

착용 아이템

쇠뇌, 불길한 현수막(대장 한정, 처치시 100% 드롭)

경험치

5

히트박스

JE: 높이 1.95m, 너비 0.6m
BE: 높이 1.9m, 너비 0.6m

약탈자 정찰대의 구성원이며 약탈자 전초기지에서도 밝기 레벨에 관계없이 다수가 계속 생성된다. 습격에서 등장하는 적들 중에서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정찰대와 전초기지 때문에 우민들 중 별다른 이벤트 없이 지속적으로 볼 수 있는 우민이다.

적을 보면 8m 정도 거리를 두고 쇠뇌를 장전한 후 3초 동안 조준하다가 발사한다. 적이 사거리 안에 있으면 가만히 서서 사격을 하며 거리를 벌리려 하지는 않는다. 목표를 추적하는 거리는 자바 에디션에서 64m까지, 베드락 에디션에서 16m까지이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약탈자가 실수로 변명자, 소환사, 마녀 등을 화살로 맞히면 그들이 반격을 하고 약탈자도 응전해서 싸움이 붙는다. 반면 자바 에디션에서는 해당 몹들이 약탈자에게 반격하지 않는다.

약탈자를 쇠뇌로 처치하면 '이제 누가 약탈자지?' 발전 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

약탈자는 지역 난이도에 따라 최대 10% 확률로 마법이 부여된 쇠뇌를 가지고 생성된다.

보기 어려운 일이지만, 자바 에디션에서는 화살을 계속 쏘다 보면 들고 있던 쇠뇌가 파괴된다. 이렇게 쇠뇌를 잃은 약탈자는 적을 공격하지 못하며 추격하지도 않는다.

쇠뇌 외의 다른 무기를 사용하는 인공지능이 없는 탓에 명령어 등으로 검이나 도끼 같은 다른 무기를 쥐어줘도 가만히 서 있기만 한다. 다만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물 속에서 근접 공격을 한다.

초기 컨셉에서는 해적과 비슷한 낡은 주황색 옷과 안대를 착용하고 있었다. #

2.4. 파괴수[편집]

파괴수 (Ravager)

마크 소환사 영어로 - makeu sohwansa yeong-eolo

근접 공격력

7(쉬움) 12(보통), 18(어려움)

포효 공격력

~6 (파괴수로부터 멀어질수록 피해 감소)

생명력

100

드롭 아이템

안장 1개(100%)

경험치

20

히트박스

높이 2.2m, 너비 1.95m

습격에서 나타나는 짐승 형태의 몬스터로 적은 수가 생성된다. 약탈자, 소환사, 그리고 자바 에디션이라면 변명자까지, 이 셋 중 하나가 파괴수를 타고 나타나기도 한다.

파괴수는 75%의 밀려남 저항 능력이 있다.

파괴수가 이동하는 경로상의 나뭇잎과 작물(밀, 당근, 감자, 사탕무)은 파괴된다.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꽃과 묘목, 호박과 수박 그리고 그 줄기, 연잎, 대나무, 사탕수수, 거북알, 달콤한 열매 덤불, 고사리, 긴 잔디, 죽은 덤불 또한 파괴된다.

파괴수는 32m 주위의 적에게 달려들어, 맞으면 큰 피해와 함께 멀리 밀려나는 근접 공격을 한다. 근접 공격이지만 약간의 사거리가 있어서 1블록 두께의 벽 너머, 또는 3.5블록 위에 있는 대상을 공격할 수 있다.

방패로 공격을 막으면 피해는 무효화되며, 밀려남 효과는 반으로 줄어든다. 이때 파괴수는 50%의 확률로 2초 동안 기절하는데, 기절이 풀리면 최대 광역 6의 피해와 밀려남 효과가 있는 포효를 내지른다. 이 포효는 파괴수와 가까울수록 큰 피해와 밀려남 효과를 주는데, 방패로 막을 수 있으나 막아도 꽤 멀리 밀려난다.

파괴수는 벡스와 마찬가지로 우민에 해당하지 않는다. Johnny라 이름이 붙은 변명자는 우민을 공격하지 않는데, 파괴수는 공격한다. 또한, 우민은 피해를 입지 않는 소환사의 송곳니 공격에 피해를 받는다. 이는 자바 에디션 한정으로, 베드락 에디션에서는 Johnny 변명자에게 공격받지도, 송곳니 피해를 받지도 않는다.

명령어로 우민이 아닌 다른 몹을 등에 태우면 파괴수는 아무 몹도 공격하지 않는다.

19w05a 스냅샷 전까지는 'Illager Beast'라는 이름이었다. 또, 토끼를 무서워하는 성향이 있었는데 18w44a 스냅샷에서 삭제되었다. 개발자 jeb_에 의하면 파괴수의 설정에 맞지 않아서 그랬다고 한다.# 그보다 더 초기의 컨셉에서는 최종안과는 매우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깨무는 것이나 박치기를 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1] 사실 이는, 마인크래프트의 설정 중 하나 인 자막을 키고 파괴수한테 대미지를 받으면 ' 파괴수가 물어뜯음 '[2]이라고 나온다. 즉, 파괴수는 물어뜯는 것이다.

3. 사용되지 않는 몹[편집]

3.1. 환술사[편집]

환술사 (Illusioner)

마크 소환사 영어로 - makeu sohwansa yeong-eolo

공격력

2~5(쉬움, 보통), 3~5(어려움)

주는 상태 효과

실명 20초

생명력

32

착용 아이템

착용 아이템

불길한 현수막(대장 한정, 처치시 100% 드롭)

경험치

5

히트박스

높이:1.95m, 너비:0.6m

소환 명령어

/summon minecraft:illusioner

JE에만 있는 몹으로, 명령어로만 소환 가능하다. 환술사는 적을 만나면 다음과 같은 행동 패턴을 보인다.

  • 우선, 주문을 외워 20초 동안 지속되는 실명 효과를 건다. 실명은 현장에 있는 한 같은 대상에게 연속으로 걸지는 않는다. 이 주문을 사용하면 환술사의 주문 재사용 대기시간이 1초로, 실명 주문의 대기 시간은 9초로 재설정된다. 이 패턴은 지역 난이도가 3 이상일 때만 보인다.

  • 주문을 외워 자신에게 60초간 지속되는 투명 효과를 걸어 모습을 감추고, 그와 동시에 자신의 환영을 4개 소환한다. 환영들은 피해를 받지 않으며, 진짜에 겹쳐있다가 진짜가 공격받으면 일제히 흩어져 시선을 분산한다. 투명은 지속 시간이 다 되면 다시 건다. 이 주문을 사용하면 환술사의 주문 재사용 대기시간이 2초로, 투명화 주문의 대기 시간은 17초로 재설정된다.

  • 활로 화살을 쏘아 대상을 공격한다. 플레이어가 가까이 오면 스켈레톤처럼 빠르게 뒷걸음질쳐 거리를 벌린다.


투명화를 써도 상태 효과의 입자 시각 효과는 보이므로 위치를 대강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먼저 몸에 불을 붙일 경우 불은 투명해지지 않으므로 위치를 알 수 있다. 낚싯대를 본체에 걸어서 움직이는 낚시찌를 공격하는 방법도 있다. 발광 효과를 거는 건 환영들에게 발광이 걸리고 진짜는 모습을 감추기 때문에 별 효과가 없다.

환영은 환술사의 공격 모션을 따라하지만 화살은 진짜 환술사에게서만 발사된다. 그러니 화살이 날아온 방향으로 공격하면 된다. 진짜는 보통 환영들 중간에서 화살을 쏘므로 이 중간을 가격하면 공격할 수 있다.

2018년 5월 27일에 출시된 공식 가이드북 '마인크래프트 마법과 물약 가이드' 책 표지에 다른 우민들과 함께 등장한다.

마인크래프트 던전스에서는 붉은 눈에 보라색 로브를 입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마크 소환사 영어로 - makeu sohwansa yeong-eolo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마인크래프트/몹

마인크래프트/몹

문서의 r4401 판

, 7.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마인크래프트/몹

마인크래프트/몹

문서의 r4401 판

, 7.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4. 여담[편집]

  • 모장 팀은 군사적인 느낌이 나는 몹을 만들기로 했고, 컨셉을 악의를 가진 나쁜 주민들(Ill Villagers)로 잡았다. 이후 개발자 토마소(Tommaso)가 'EVIL-agers'라는 명칭을 제안했고 최종적으로는 'Illagers'라는 명칭으로 정해졌다.# 한국어로는 'Villager'에서 첫 자음 'V'를 뺀 것처럼 '주민'에서 'ㅈ'을 뺀 '우민'으로 번역한 듯 하다.

  • MINECON 2016에서 CCO인 Jens Bergensten가 한 발표에 따르면 추방당한 주민의 무리라는 설정이 있다.#

  • 변명자와 약탈자, 그리고 자바 에디션에서의 소환사는 생성 알을 사용하여 소환할 때 낮은 확률로 습격 대장으로 생성되기도 한다.

  • 자바 에디션에서는 좀비화 피글린이나 늑대처럼 한 개체만 공격받아도 주변의 같은 종류의[3] 우민들 모두에게 어그로가 끌린다. 플레이어에게는 원래부터 적대적이어서 떼로 덤벼들기 때문에 알기 힘든 사실인데, 스켈레톤같은 몹이 화살을 잘못 맞히는 식으로 싸움이 붙으면 이런 행동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