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사진=게티이미지뱅크

“6개월 된 우리 아기가 모기에 물렸어요. 어떤 약을 발라주면 좋을까요?”

인터넷 맘카페에 요즘 많이 올라오는 질문입니다. 어른이라면 고민 없이 버물리(현대약품)나 써버쿨(녹십자) 같은 약을 바르겠지만, 아이의 피부는 성인보다 여리고 민감하기 때문에 초보 엄마들에겐 걱정거리일 겁니다. 맘카페에는 ‘아이가 가려워하면 리도멕스(삼아제약), 상처가 나면 에스로반(JW신약)을 발라주는 게 좋다’는 식의 답글이 주로 올라옵니다. 기저귀발진 등에 흔히 쓰는 비판텐(바이엘)도 리도멕스, 에스로반과 함께 아기가 모기 물렸을 때 바르는 약 ‘3대장’으로 꼽힙니다. 정말 이 약들은 버물리보다 아이가 모기 물린 데 발라주면 더 좋은 것일까요.

먼저 리도멕스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리도멕스는 지난해 일반의약품에서 전문의약품으로 전환됐습니다. 이 때문에 맘카페 일부 회원은 혼란을 겪고 있죠. 약국에서 손쉽게 살 수 있다는 분이 있는 반면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야만 구할 수 있다는 분도 꽤 됩니다. 딱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기존 리도멕스(리도멕스로션)는 전문의약품으로 전환됐으므로 의사의 처방전이 없으면 구할 수 없는 약이 맞습니다. 하지만 지난 4월 삼아제약은 성분 함량을 줄인 ‘리도멕스크림 0.15%’를 일반의약품으로 새로 내놓았죠. 처방전 없이 구할 수 있는 약이죠.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리도멕스는 벌레 물린 데를 포함해 습진, 피부염, 땀띠, 가려움 등에 연령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약입니다. 즉, 개월 수와 관계없이 영유아도 쓸 수 있다는 뜻이지요. 맘카페에선 이 약이 웬만한 다른 약보다 가려움증을 빠르게 가라앉혀 주는 약으로 통합니다. 하지만 가급적 단기간에만 사용하는 게 좋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입니다. 이 약의 주성분이 스테로이드이기 때문이지요. 스테로이드 제제는 장기간 사용하면 염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우려가 있습니다.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맘카페 엄마들이 추천하는 에스로반은 모기 물린 부위를 아이가 자꾸만 긁어 상처에 세균 감염이 일어난 게 아니라면 가급적 바르지 않는 게 좋습니다. 에스로반은 본래 항생제 성분의 연고제로, 상처에 고름이 생기는 등 피부에 세균이 감염됐을 때 사용하는 약입니다. 김명규 이화여대 약대 교수는 “잦은 항생제 사용은 내성균을 만들 우려가 있다”며 “아기 피부에 감염이 발생했을 때만 선별적으로 사용하는 게 적합하다”고 조언했습니다.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비판텐은 어떨까요. 덱스판테놀 단일 성분인 이 약은 가려움을 진정해주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대신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이에게 해로울 리는 없지만 모기에 물렸을 때 아주 적합한 약이라고는 보기 어렵죠.

그럼 어른들이 흔히 쓰는 버물리, 써버쿨 등은 어떨까요. 이 약들은 30개월 이하 영유아에겐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국소 마취 효능이 있는 디부카인염산염 등 일부 성분이 30개월 이하 유아에게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영유아를 위해 출시된 제품을 추천합니다. ‘버물리키드크림(현대약품)’ ‘물린디키드크림(신신제약)’ 등이 대표적입니다. 영유아에게 해로운 성분을 뺀 제품으로 생후 1개월 이상 소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약과 독은 한 끗 차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용도나 복용량의 차이에 따라 똑같은 약도 독이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모기 물림은 보통 며칠만 지나면 약 없이도 가라앉는 만큼 약을 과용하기보다는 알맞은 약을 현명하게 사용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우상 기자

㈜에스에스지닷컴에서 판매되는 상품 중에는 개별 판매자가 판매하는 오픈마켓 상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픈마켓 상품의 경우, ㈜에스에스지닷컴은 통신판매중개자로서 거래 당사자가 아니며, 입점 판매사가 등록한 상품정보 및 거래 등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에스에스지닷컴 사이트의 상품/판매자/쇼핑정보, 컨텐츠, UI 등에 대한 무단 복제, 전송, 배포, 스크래핑 등의 행위는 저작권법, 콘텐츠사업 진흥법 등에 의하여 엄격히 금지됩니다.

Copyright ⓒ SSG.COM Corp. All rights reserved.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일러스트 최승희

올 여름 살인적인 폭염으로 모기 수도 줄어든 듯 합니다. 하지만 모기는 섭씨 14도에서 41도에서 활동하는데다 물가나 숲 속 같은 휴가지에서는 더욱 기승을 부리지요. 기온이 조금씩 떨어지면서 모기의 공격이 거세질 전망이라고 합니다.

  모기는 말라리아·일본뇌염 같은 감염병의 원인이기도 하지만 끈질긴 ‘가려움증’으로 사람을 괴롭힙니다. 그래서 포털 사이트를 살펴 보면 모기 가려움증에 사용하는 민간 요법과 의약품·의약외품만 수십 건이 검색 되지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의 효과에 대한 정확한 차이를 모르고 사용합니다. 하지만 성인·어린이 등 대상에 따라 적합한 제품이 다르므로 이유를 알고 선별해 쓰는 게 중요합니다. 이번 약 이야기에서는 모기에 물린 뒤 가려움증을 해결할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모기에 물렸을 때 가려운 이유는 알레르기 반응 때문입니다. 모기가 사람을 물 때 혈액 응고를 막기 위해 ‘히루딘’이라는 성분을 주입하는데, 이 물질이 인체 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 히스타민을 분비하면서 가려움을 유발하는 것이죠.

  모기에 물린 뒤 가장 흔한 처치법은 ‘물파스’ 를 바르는 것입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잘 모르는 사실이 있습니다. 일반 물파스는 모기에 물려 가려울 때 큰 효과가 없다는 것이죠. 일반 물파스와 모기용 물파스는 주요 성분부터 다르기 때문입니다.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일반 물파스의 주요 성분은 진통제 기능을 하는 ‘살리실산메틸’입니다. 파스 특유의 시원한 느낌을 주는 성분이기도 한데요. 모기에 물린 뒤 사용하면 도움은 될 수 있지만 전용 제품에 비하면 효과는 떨어집니다. 게다가 이 성분은 자극성이 강해 민감한 사람은 심한 두드러기 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외국에서는 12세 이하의 경우 의사와 상의한 뒤 바르라고 안내하고, 국내에서는 생후 30개월 이하에게 추천하지 않습니다. 일반 물파스는 관절염 등의 통증을 줄이는 데 더 적합합니다.

  반면 모기용 물파스의 주요 성분은 ‘디펜히드라민’과 ‘디부카인’입니다. 항히스타민 성분인 디펜히드라민은 물린 부위가 빨갛게 부어 오르는 것과 가려움증을 가라앉히고, 국소 마취제인 디부카인은 짧은 시간에 강력하게 가려움증을 없애지요. 이외에도 모기용 물파스에는 멘톨·캄파 같은 성분이 들어있어 싸한 청량감을 줍니다. 모기에 물려 가려울 땐 전용 제품을 사용하는 게 훨씬 효과적인 이유입니다.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늦은 밤, 방 안에 모기 한 마리가 침입하면 함께 있는 어른은 멀쩡해도 아이들은 얼굴까지 엉망진창이 됩니다. 체온이 더 높고 신진 대사가 활발한 어린이들이 모기에 더 잘 물리기 때문인데요. 같이 물려도 아이들이 더 가려워한다고 합니다. 이미 모기에 많이 물렸던 성인은 민감도가 낮아져 가려움을 덜 느낀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

  어린이 중에서도 4세 미만의 소아가 모기의 희생양이 됐다면 바르는 약품을 잘 선별해야 합니다. 소아의 피부, 특히 얼굴에는 앞서 언급한 물파스 타입의 약은 좋지 않습니다. 시원한 느낌을 선호하는 어른과 달리 아이들은 따갑게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청량감을 주는 ‘캄파’ 성분은 생후 30개월 이전의 아이들에게 경련을 일으킨 사례가 보고됐기 때문에 사용을 피하는 게 좋습니다

  생후 1개월 이상 소아도 사용 가능한 키즈용 제품들은 연한 피부에 좋은 크림 타입입니다. 성인용 제품에 들어 있는 자극적인 성분(멘톨·캄파·살리실산메틸) 대신 피부 재생 효과가 있는 ‘덱스판테놀’ 같은 성분이 추가돼 피부를 보호해 줍니다.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모기 가려움증에 붙이는 패치 제품도 있습니다. 패치의 가장 큰 장점은 물린 뒤 바로 부착해 간편하면서도 더 이상 물린 부위를 긁지 않도록 막는다는 점입니다. 자신도 모르는 새 자꾸 물린 부위를 긁는 사람들에게 유용하지요.

  모기 패치의 주요 성분은 디펜히드라민(항히스타민)과 멘톨(청량감·마취 효과)로 일부 자극 성분(캄파·살리실산메틸)은 빠져 있습니다. 바르는 제품보다 약효 성분이 적게 들어 있는 이유는 피부에 밀착돼 약물이 더 세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패치 제품은 생후 30개월 이하의 소아에게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반면 똑같은 모기용 물파스처럼 생겼는데 ‘의약외품’인 제품도 있습니다. 바로 ‘벤잘코늄염화물’이 주요 성분인 ‘롤‘ 형태의 외용제인데요. 벤잘코늄염화물은 작은 상처를 소독하거나 빨갛게 부은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모기로 인한 가려움증 치료 효과는 전용 제품보다 미약한 편입니다. 잘 알고 사용하도록 하세요.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모기용 물파스·연고는 급성 가려움증 해결에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게 아니다 보니 지속 효과는 떨어지지요. 3~4일 뒤 물린 부위가 더 부풀어 오를 때도 있으니까요. 피부과 전문의들은 이럴 때 염증 억제 효과가 탁월한 스테로이드 연고 사용을 권합니다. 물린 부위에 바르면 금세 낫기 때문입니다.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바르면 피부가 얇아지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지만 모기나 벌레에 물린 정도로는 일주일 이상 바를 일이 거의 없습니다. 약한 스테로이드 로션보다 좀 더 강도가 세면서 항생제 성분까지 포함한 ‘세레스톤지’를 추천합니다.

  물린 부위가 많거나 너무 가려워 잠도 못 잘 정도라면 먹는 항히스타민제를 추가하는 것도 좋습니다. 부작용으로 졸릴 수 있다는 점만 주의하면 됩니다.

  진물이 날 정도로 긁었다면 항생제 연고를 발라 2차 감염을 예방합니다. 감염성 질환까지 막을 수 있는 ‘박트로반’과 ‘에스로반’ 연고를 추천하는데요. 가장 좋은 감염 예방법은 상처가 심할 땐 오염된 물에 들어가지 않는 것! 특히 공용 수영장에 들어갔다 농가진 같은 감염 질환에 걸려 한달 이상 치료를 해야 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야외에서 모기가 아닌 말벌 등에 쏘여 통증·붓기가 심하다면 당장 병원을 찾도록 하세요. 물린 부위에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는 게 가장 빨리 치료하는 길입니다.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자료: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도움말: 한양대병원 피부과 노영석 교수,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 운영자문위원 엄준철 약사

  ※ 약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메일로 보내주세요. 주제로 채택해 '약 이야기'에서 다루겠습니다.()

모기 물렸을때 바르는 연고 - mogi mullyeoss-eulttae baleuneun yeongo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