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짠지 소금 비율 - mujjanji sogeum biyul

무짠지 좋아하세요?
재래시장에 가면 약간 노란빛이 도는 무짠지 1개에 2000~2500원씩 팔지요?
요즘 다발무중 큰거 묶은 다발무 1다발 사서 소금물에 담가 6~7개월 보관해보세요!!!
담가 놓고 그냥 잊어버리다가 내년 초여름쯤 먹으면 좋은 든든한 무짠지~~~
만들어볼까요??

재료: 무6개(1개당 1500g정도).   천일염9컵. 물3L (약16컵).  고추씨2컵
=> 저의 계량은 종이컵 1컵이 1컵입니다.
=> 고추씨가 들어가야 방부효과를 한답니다.
     고추씨는 재래시장이나 동네 방앗간에 마른고추 빻을때 고추씨를 따로 달라고 하셔도 좋고요..
     요즘은 고추씨만 따로 판매를 하는 방앗간도 많답니다.

무짠지 소금 비율 - mujjanji sogeum biyul

1. 다발무 1단을 구입하세요.. 무를 좀 큰것으로 구입합니다.
   깨끗한 수세미로 씻어서 무청부분만 제거해줍니다.
 ==> 무짠지에 넣는 무는 껍질채 넣는겁니다. 칼로 흠집을 넣으면 안되요!!!

2. 큰 그릇에 천일염 3컵을 넣고 무를 굴려가면서 소금을 묻혀준후 항아리에 차곡차곡 담아줍니다.
    항아리에 담은후 그릇에 남은 소금을 무위에 모두 뿌려주세요!!!
    이 상태로 뚜껑을 덮고 상온에서 딱 2일 보관합니다.
==> 항아리가 없을때는 김치통에 하세요.
==> 보관할때는 시원한 베란다같은 곳에서 보관하세요.

3. 2일 상온에 놓은 항아리에 자연스럽게 무에서 물이 나왔을겁니다..보이세요??
    여기에 고추씨 2컵을 팍팍 넣어주시고요..
    천일염 6컵을 더 넣어주시고요.. 물3L를 넣어준후 
    무가 뜨지 않게 잘 눌러준후...
    ( 볏짚이 있다면 볏짚으로 눌러주면 좋아요.)
    항아리를 밀봉후 뚜껑덮고... 이대로 서늘한 곳(베란다같은곳)에 보관하세요.
    겨울철에는 베란다같은곳에 보관하다가 따뜻한 봄이 되면 김치냉장고속에 넣어도 좋습니다.
    이 상태로 6~7개월 보관후 꺼내서 드시면 되는데요..
    꺼낼때보면 하얗게 뭔가 끼어 있을겁니다. 괜찮아요. 무짠지만 꺼내서 찬물에 짠기를 살짝 뺀후
    무쳐서 드시면 됩니다.

**** 무짠지 무치는 방법 바로가기 ==> http://hls3790.tistory.com/447

무짠지 요즘 무가 맛있을때 한번 도전해보세요!!!
간장물에 담그는 무장아찌는 작년에 도전후 실패했답니다. 나중에 성공하면 소개하겠습니다.
즐거운 수요일 보내시고요.. 승리하는 하루 보내세요~
오늘 세번째 책에 대한 공지글 소개하겠습니다.

*

무짠지 소금 비율 - mujjanji sogeum biyul

구름달빛입니다

무짠지는 겨울이되면 김장철에 쓰고 남은 무를 소금에 절여 짠무라고 하지요 무짠지는 옛날 전통음식으로 요즘은 흔히 볼수 없는 음식중에 하나인거 같아요 봄이되면 찬물에 담가 짠기를 빼고 채썰어 무쳐 먹거나 냉국으로 반찬을 해먹곤 합니다 반찬거리가 귀한 시절에는 무짠지로 밑반찬을 대신하고 했는데요 요즘은 무짠지를 담가 먹는 레시피는 요즘에 어울리지 않는 조리법 같다는 느낌이 들 정도인데요 무짠지는 담그는 방법도 쉬울 뿐만 아니라 한번 만들어 놓으면 여름까지 즐겨 먹을수 있으니 그게 매력인거 같아요 무짠지 담그는법 알려릴께요

무짠지를 담글때 무는 동치미 무를 사용하시는분들이 많으시네요 저는 마트에서 세일하는 무로 준비했습니다 무짠지를 담그는 무는 단단한 것이 좋습니다 무가 크기가 큰만큼 두개만 준비해서 무짠지를 만들었어요 1인가구 기준으로 따지면 무짠지를 만드는것보다 사먹는 편이 시간 절약이나 경제적으로 이득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지만 맛있는 무짠지를 맛보기위해서는 직접 담아놓음 무짠지가 훨씬더 맛이 있어요

무 짠지를 만들기위해서는 무를 깨끗하게 씻어주세요 겉에 묻어있는 이물질이나 흙을 깨끗하게 씻어주고 줄기 쪽에는 살짝 칼로 잘라 깔끔하게 만들어주시고 껍질째 준비합니다 씻은 무는 물기가 있는 그대로 굵은 소금을 전체적으로 묻게 돌돌 굴려주시면 됩니다 무짠지를 담글때 무를 토막내어 담그는 방법도 있지만 무 그대로 담가 놓은 무짠지가 더맛있어 저는 이런 방법으로 조리하네요

무짠지 소금 비율 - mujjanji sogeum biyul

굵은 소금을 묻힌 무는 김장용 비닐에 넣어 밀봉한뒤 서늘한 곳에 이틀간 절여줍니다 옛날 전통으로 담그는 무짠지는 항아리에 넣고 굵은소금을 묻힌 무를 무거운 돌로 눌러 절이는 과정이랍니다 굵은 소금을 묻힌 무는 물을 넣지 않고 소금으로만 절여줍니다 이틀간 절인무는 물이 생기는데요 무가 소금물에 잠길만큼 소금물을 만들어 부워 줄거예요 소금물을 만드는 비율을 레시피마다 조금씩 다르다고 봅니다 저같은 경우 물 500ml에 소금 종이컵 한컵 기준으로 준비했습니다 물500ml 6번을 넣고 종이컵을 소금 6컵을 넣어 살살 녹여줬습니다 

이렇게 소금물을 만들면 이틀간 절여놓은 무에 소금물을 넣어 무가 잠길정도로 넣어줍니다 고추씨 70g 두컵을 준비해서 넣어줍니다 고추씨는 방부제 역할을 한다고 하지요 곰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주고 무짠지 색을 곱게 물들이는 것을 도와줍니다

식초 2큰술을 넣어 골마지 방지를 막아주니 잊지마시고 식초 2큰술을 넣어주세요 간을 봤을때 짜다는 맛이 들정도면 무짠지 담그는법이 끝이나는데요  전통 무짠지 만들때는 항아리에 굵은 소금을 묻혀 물없이 이틀간 절인뒤 소금물과 고추씨 식초를 넣고 볏짚을 덮어 무거운 돌로 눌러 절이는 방법이 전통 조리법 인거 같습니다 지금 현시점에서는 볏짚이 흔하지 않아 무거운돌로 눌러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 좋을거 같네요 김장비닐을 돌돌말아 서늘한 곳에 보관해두고 갯수가 적어 무거운 돌이 필요가 없어 중간중간 김장비닐을 뒤적뒤적거려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따뜻하지면 김치냉장고에 넣어 보관하면 됩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무짠지 담그는법 정말 쉽다고 느껴지는데요 이렇게 담아놓은 무짠지는 무기력하고 더운 여름철에 든든한 밑반찬이 탄생하는데요 입맛을 살리는데는 무짠지만한 밑반찬이 없다고 생각이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