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맞춤법 오류 - nyuseu majchumbeob olyu

한국어는 맞춤법이 참 어렵습니다. 그래서 글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언론에서조차 이런 실수들은 비일비재하죠. 그럼 어떻게 써야 하는지, 우리가 자주 틀리는 맞춤법 사례를 모아봤습니다.

뉴스 맞춤법 오류 - nyuseu majchumbeob olyu

1. 안 된다(O) / 않된다(X)

많은 사람이 ‘안’과 ‘않’의 차이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쓰고 있습니다.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안’을 ‘아니’로, ‘않’을 ‘아니하’로 바꿔보세요. 어떤 것이 자연스러운지 살펴보고 쓰면 됩니다.

그건 말이 안 된다. -> 그건 말이 아니 된다. (O)
그건 말이 않된다. -> 그건 말이 아니하된다. (X)

자신감을 잃지 안되 -> 자신감을 잃지 아니되 (X)
자신감을 잃지 않되 -> 자신감을 잃지 아니하되 (O)

여러분만 틀리는 건 아닙니다. 언론도 많이 틀리고 있으니 자신감을 가지세요!

2. 돼었다(X) / 되었다(O)

‘돼’와 ‘되’는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요? 이 맞춤법도 상당히 많이 틀리는데요, 위에 나온 ‘않’과 비슷한 원리를 적용하면 됩니다. ‘돼’를 ‘되어’로 넣어보세요. 그리고 말이 되면 쓰면 되고, 말이 안 되면 ‘되’로 쓰면 됩니다.

돼지가 돼었다.
-> 돼지가 되어었다. (X)
-> 돼지가 되었다. (O)

문제가 돼고 있다.
-> 문제가 되어고 있다. (X)
-> 문제가 되고 있다. (O)

이런 건 처음 듣는다고요? 괜찮아요. 언론도 다 틀리는걸요!

3. 어떻해(X) / 어떡해(O)

솔직히 이런 건 틀리지 맙시다. ‘어떠하게 해’를 줄이면 ‘어떻게 해’가 되고, 이걸 한 번 더 줄이면 ‘어떡해’가 됩니다. ‘어떻해’는 없습니다. 영어의 ‘how’를 뜻하는 ‘어떻게’는 있습니다. 틀리지 마세요. 이건 틀리면 창피한 겁니다.

어머 나 어떻해? (X)
어머 나 어떡해? (O)

어떻해 이걸 틀릴 수 있지? (X)
어떻게 이걸 틀릴 수 있지? (O)

이런건 기자님들도 틀리지 마세요. 정말 이러시면 어떻게 해.

4. 웬지(X) / 왠지(O)

이제 난이도가 올라갑니다. 여기서부턴 틀리는 것도 이해가 됩니다. 저도 헷갈리거든요. ‘웬’을 ‘어찌 된’으로 놓고 말이 되나 보세요. 말이 되면 맞는 것이고, 말이 안 되면 틀린 겁니다. ‘왠지’는 하나의 완성된 단어로 ‘왜 그런지 모르게’의 준말이니, ‘왠지’가 헷갈리신다면 ‘왜 그런지 모르게’를 넣어보세요.

웬일이니? -> 어찌 된 일이니? (O)
오늘은 웬지 느낌이 좋아. -> 오늘은 어찌 된지 느낌이 좋아. (X)
오늘은 왠지 느낌이 좋아. -> 오늘은 왜 그런지 모르게 느낌이 좋아. (O)

어렵죠? 그래서 그런지, 언론도 참 많이 틀리는군요. 그러니 걱정하지 마세요.

5. 어의없는(X) / 어이없는(O)

‘어이없다’는 ‘어처구니가 없다’의 준말입니다. 잘 보면 어처구’니’의 ‘니’가 ‘ㅣ’로 끝나죠? 그래서 어’이’없다로 외우시면 되겠습니다. 어이없나요?

나 참 어이가 없어서 (O)
나 참 어의가 없어서 (X)

참고로 ‘어의’는 허준이 궁궐에 들어가 얻은, 조선 시대 의원이 얻을 수 있던 최고 직책입니다. 그럼 허준이 없는 매체들을 한번 살펴보죠.

6. 불리우다(X) / 불리다(O)

많은 사람이 헷갈려 잘못 쓰고 있는데, ‘불리우다’는 틀린 말입니다. ‘불리다’가 맞는 말입니다.

이진혁은 천재라고 불리운다. (X)
이진혁은 천재라고 불린다. (OOOOOOOO)

어려워서 언론에서도 많이 틀리네요.

7. 담배를 피다(X) / 담배를 피우다(O)

‘피다’는 자동사입니다. 네. 영어 배울 때 많이 배웠던 그 자동사입니다. 즉 목적어 없이 주어와 동사만으로 문장을 완성할 수 있을 땐 ‘피다’를 써도 되지만, ‘담배’와 같이 목적어가 들어가는 경우에는 ‘피우다’가 맞습니다.

강남대로에서는 담배를 피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X)
강남대로에서는 담배를 피우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O)

꽃이 피다. (O)
꽃이 피우다. (X)

확실히 이 맞춤법은 어려웠는지 여러 유력매체에서도 많이들 틀리게 쓰고 있군요. 여러분은 틀리지 마세요!

보너스. 낳다 / 낫다 / 낮다

글을 쓰며, 이것저것 찾다, 언론에서 이것까지 틀릴 줄은 몰랐습니다. ‘낳다’와 ‘낫다’는 워낙 틀리는 사람이 많아 그럴 수 있었지만 ‘낮다’와 혼동할 건 아닌데 말이죠. 슬슬 화가 나려고 하지만 그래도 친절하게 ^,.^ 설명해드리면요. 아기나 결과물을 새롭게 생산해낼 때는 ‘낳다’를 쓰고, 건강상태가 호전된다는 의미 혹은 두 개체를 비교할 때는 ‘낫다’를, 고저(高低)에서 저(低)를 뜻할 때는 ‘낮다’를 씁니다.

그 정책은 참담한 결과를 낳았다. (O)
어제 아내가 공주님을 낳았다. (O)
여러분이 기자보다 낫다. (O)
기사들의 수준이 참 낮다. (O)

경기가 낳아졌다. (X)
경기가 낫아졌다. (X)
경기가 낮아졌다. (X)
경기가 나아졌다. (O)

시작하면서 말했듯, 한국어 맞춤법은 어렵습니다. 언론도 대부분은 꼼꼼히 봤을 겁니다. 그래도 항상 틀린 곳이 나오기 마련이죠. 슬로우뉴스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 글을 쓰면서 검색을 해보니 슬로우뉴스에도 맞춤법이 틀린 기사가 있었습니다. 혹시 저희가 잡아내지 못한 슬로우뉴스의 틀린 맞춤법은 제보해주시면 고칠게요. (이런 건 슬로우하지 않고 퀵퀵하게요) 제보는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플러스, 혹은 이메일 중 편하신 곳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여러분도 한번 다른 매체들이 얼마나 맞춤법을 잘 맞춰 쓰는지 검색해보세요.

  • 슬로우뉴스 페이스북 계정으로 제보하기
  • 슬로우뉴스 트위터 계정으로 제보하기
  • 슬로우뉴스 구글 플러스 계정으로 제보하기
  • 이메일로 제보하기

틀린 맞춤법 검색하는 법

1. 네이버 뉴스에서 맞춤법에 틀린 단어를 검색해봅니다. (*필자 주: 검색어를 따옴표로 감싸면 검색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2. 네이버와 검색제휴가 되지 않은 매체라면 구글에서 “site:”연산자를 이용해 검색하면 됩니다. 슬로우뉴스에서 ‘왠지/웬지’를 잘 쓰고 있나 보려면, site:slownews.kr "웬지" 를 구글 검색창에 입력해보세요.

일반적으로 국어교사나 작가, 신문 방송에 관련된 사람들이 아니면 한글 맞춤법에 크게 관심도 없고

맞게 쓰는 일도 어려울 게다.

반대로 우리말 우리글을 다루는 사람들은 일반인 보다는 훨씬 더 정확해야 한다. 최전선에 있는 이들이

신문과 방송인데 방송중에 나오는 자막은 맞는 맞춤법보다 틀린 맞춤법이 훨씬 많으니 일반인 보다도 못한 수준이다.

그러나 신문은 정확성이 높고 교열기자들의 실력이나 자부심도 남다르다.

예전에는 신문기사에서 틀린 글자를- 오타든 맞춤법 실수든 - 찾기 어려웠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틀린 글자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신문사 교열부가 제대로 일을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여러 신문을 보고있는데 최근에는 유독 중앙일보의 지면에서 오타가 잦다.

실수인지 실력부족인지는 모르겠다.

뉴스 맞춤법 오류 - nyuseu majchumbeob olyu

정말 놀라웠다.

1면 캡션인데 이런 초보적인 실수를 하다니. 기자가 기사를 쓰면서 "때우다"와 "떼우다"를 구별 못한 것일까.

교정팀은 왜 발견하지 못했을까. 그사람들도 "떼우다"가 맞다고 생각할리는 없을텐데.

뉴스 맞춤법 오류 - nyuseu majchumbeob olyu

기사제목과 날짜를 확인하기위해 찍은 사진

뉴스 맞춤법 오류 - nyuseu majchumbeob olyu

성대결은 남녀간 성(性) 대결인데 성씨를 뜻하는 姓으로 잘못 썼다.

설령 기자가 잘못 썼어도 교정팀에서 바로 잡았어야 한다.

뉴스 맞춤법 오류 - nyuseu majchumbeob olyu

뉴스 맞춤법 오류 - nyuseu majchumbeob olyu

유래와 유례를 혼동하는 경우는 정말 많다. 근데 기자도 그럴줄은 몰랐다.

이건 한자를 섞어 쓰면 단박에 해결될 문제다.

네이버 사전을 찾아보면

유래 由來 : 사물이나 일이 생겨남 또는 사물이나 일이 생겨난 바.

유례 類例 : 같거나 비슷한 예, 같은 말;전례 前例

이런 기사가 보인다.

SK하이닉스 최대 영업이익, 반도체 유례없는 호황 영향

과거에 그런 비슷한 예가 없었다는 의미다.

반면 유래는 그 연원이나 기원이라는 의미니까

위 신문기사에서 송나라가 주변 약소국에 끌려다닌 것은

과거에 그런 비슷한 사건이 없었는데 송나라가 처음이라는 의미이므로

유례로 써야 맞는다. 전례로 대체하면 의미가 더 명확하다.

설날 떡국의 유래, 차례상의 유래 등등 기원을 찾을때 유래라는 말을 쓴다.

모든 사람들이 다 맞춤법을 알 수는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언론이나 말글을 다루는 사람들만 조심하면 된다.

프랑스는 자국의 언어에 대해 엄격한 관리통제를 가하기로 유명하다는데

우리나라 국립국어원이 보다 더 열성적으로 활동했으면 좋겠다.

방송사에 권해서 자막을 좀 충실하게 관리만 해도 맞춤법 오류는 상당히 줄어들 것 같다.

중앙일보의 오타는 단순한 오타같지 않고 기자들이 실제로 그렇게 생각할까봐 염려된다.

요새는 틀린 글자를 지적하면 지적질이나 선비질 한다고 비난받는다고 한다. 어처구니 없는 말이라 생각한다.

SNS세상이니 자기의사를 글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오류가 있으면 지적하는 사람이 있어야

반성이든 발전이든 가능하다.

글을 올리고 난 직후에 발견했다.

뉴스 맞춤법 오류 - nyuseu majchumbeob olyu

상당히 어이없다.

이쯤되면 중앙일보 편집부와 교열부에 큰 문제가 있다고 봐야하겠다.

본문을 읽어보면 귀양이라는 단어가 거푸나온다. 그러니 귀향으로 제목을 단 편집 교열팀의 잘못에 틀림 없다.

대체 중앙일보 왜이러나.

★추가

나는 신문을 꼼꼼히 보지 않는다.

제목만 우선 읽고 흥미가 가는 기사만 본다. 즉 대충 읽는다. 그런데도 오타가 보인다.

심각하다 중앙일보

뉴스 맞춤법 오류 - nyuseu majchumbeob olyu

이건 몇일자 신문인지 모르겠다. 기록해 놓지 않았다. 초보적인 실수다. 묶다와 묵다를 구분 못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