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화 채화 거울 - seonghwa chaehwa geoul


아카이브
모든 지식의뢰 및 지식맨의 처리기록

등록된 기록 총 22,672,465 건

search

< >


문서번호 : 6,942,832

의뢰정보

의뢰일시 : 2009년 02월 05일 (목요일) 10시 15분

의뢰인번호 : 82855

의뢰경로(또는 유형) : SMS문자

의뢰비용 : 200원

의뢰내용 :

'성화채화경´이 뭡니까

처리정보

처리일시 : 의뢰일시와 동일함

처리유형 : -

처리자 : qx4764님 (-, 채택된지식 -)

처리내용 :

오목거울을이용해태양열을모아,성화채화봉에불을붙입니다.이때쓰이는이거울을한자'거울경'자를써서'성화채화경'이라부릅니다

출처1 :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3&dir...

검증결과 : 채택



안녕하세요. 과학 교육 전문가 안현정 입니다.
우리는 매일 거울을 통해 자신의 몸을 정돈하곤 합니다. 화장실에 걸린 거울이나 현관 앞 거울 화장대 거울 뿐만 아니라 손거울이나 엘리베이터에 걸린 거울 등등과 마주하게 되지요. 이밖에도 자동차 사이드 미러나 골목길 코너에 달린 거울 등 수많은 거울들이 우리의 모습을 비추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로 이 거울이 우리를 온전히 비춰주는 것일까요? 오늘 시간 거울의 원리와 종류에 따라 다르게 비치는 상에 대해서 만나보겠습니다.
 


[거울]

 :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까닭은 빛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이 물체에서 반사되어 우리 눈으로 들어오게 되면 우리는 그 물체를 ‘보인다’고 인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거울의 경우는 조금 다릅니다. 우리는 거울을 볼 때에 거울이라는 물체 자체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거울 앞에 놓인 물체가 비춰진 모습을 보게 됩니다. 우리는 이것을 ‘상’이라고 부릅니다. 즉, 거울은 빛의 반사법칙을 이용하여 다른 물체의 모양을 비추어보여주는 특이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거울의 원리]

 평면거울을 통하여 거울에 상이 비춰지는 원리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거울 앞에 놓인 물체가 있습니다. 물체의 한 점에서 여러 광선들이 나와 거울에 부딪치게됩니다.
 이 광선들은 반사 법칙에 따라 다시 반사되고 우리는 이 반사된 빛을 눈으로 인식합니다.
 우리의 눈은 ‘빛이 직진한다.’ 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빛이 반사되었다고 인식하지 못합니다
 때문에 이 반사된 광선의 연장선을 직선으로 그어 거울 뒤편에 초점을 만들고 그곳에 물체가 존재한다고 인식하게 됩니다.

다음 실험을 통하여 거울에 종류에 따라 상의 모습이 어떻게 다르게 보이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거울에 비친 상 :  평면 거울 / 볼록 거울 / 오목 거울

[평면거울에서의 상] : 실물과 크기가 같고 좌우가 반대인 상이 보인다.

- 평면거울과 물체의 거리가 멀 때 :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도 멀어진다.
- 물체에서 거울까지의 거리는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와 같다.
 

성화 채화 거울 - seonghwa chaehwa geoul

[볼록거울에서의 상] : 항상 실물보다 작고 바로 선 상이 보인다.

- 볼록거울과 물체의 거리가 가까울 때 : 실물보다 작고 바로 선 상이 보인다.
- 볼록거울과 물체의 거리가 멀 때 : 실물보다 작고 바로 선 상이 보인다.

성화 채화 거울 - seonghwa chaehwa geoul

성화 채화 거울 - seonghwa chaehwa geoul

[오목거울에서의 상] : 가까울 때와 멀 때 상의 모습이 다르다.

-오목 거울과 물체의 거리가 가까울 때 : 크고 바로 선 상이 보인다.
-오목 거울과 물체의 거리가 멀 때 : 작고 거꾸로 선 상이 보인다.

성화 채화 거울 - seonghwa chaehwa geoul

성화 채화 거울 - seonghwa chaehwa geoul

볼록 거울의 예

[볼록거울의 특징] : 볼록거울은 나란하게 입사한 빛을 거울면에서 넓게 퍼지게 반사시키는 특징을 지닌다.
 때문에 볼록거울은 주로 넓은 범위를 볼 때 사용한다.

1.자동차 사이드미러 : 자동차 사이드 미러에는 ‘사물이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음’이라는 주의 문구가 있습니다.
볼록거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체의 크기보다 항상 장은 상을 맺혀보이게 하기 때문입니다.
운전수가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볼록거울을 이용하고 잇습니다.

2. 코너 안전거울 : 도로 모퉁이 사각지대에 안전을 위해 설치한 거울로 넓은 범위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하여 교통사고를 방지합니다.

성화 채화 거울 - seonghwa chaehwa geoul

성화 채화 거울 - seonghwa chaehwa geoul

오목거울 예

[오목거울의 특징] : 오목거울은 나란하게 입사한 빛을 한 점으로 모아주는 특징을 지닌다. 때문에 오목거울은 빛을 모으거나 사물을 크게 볼 때 사용한다.

1. 치과용 거울 : 오목거울은 가까이 있는 사물 크게 보이게 만들기 때문에 작은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기에 용이하다.

2. 자동차 헤드라이트 거울 : 오목거울은 나란하게 입사한 빛을 한 점으로 모아주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곧 한 점에서 나온 빛을 평행하게 반사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자동차 헤드라이트는 이 원리를 응용하여 평행한 직선으로 빛을 반사시켜 주행 길을 밝히는 데에 이용한다.

3. 성화 채화 거울 :나란하게 입사한 빛을 한 점으로 모아 횃불에 불을 점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4. 반사 망원경 : 반사망원경은 부경과 주경이라불리는 두 가지 거울을 이용한다. 주경은 오목거울로서 평행하게 입사한 빛을 모아서 맞은편에 놓인 부경으로 반사시키고, 부경은 평면거울로서 주경에 비해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여 이 반사된 빛들을 한 점에 모아 초점을 만든다. 이 초점을 통해 우리는 멀리 있는 사물을 가까이 볼 수 있게 된다. 즉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오목거울을 통해 멀리 있는 물체의 상을 크게 바꾼다.
2) 오목거울을 통해 반사된 빛이 평면거울과 만나며 우리가 보고자 하는 곳에 초점을 맞춰진다.
  또 왜곡없이 바르고 똑바로 선 상을 만들게 된다.

 

성화 채화 거울 - seonghwa chaehwa geoul

성화 채화 거울 - seonghwa chaehwa geoul


출처= 이투스me 안현정 강사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에듀동아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