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 뜻 - seonglyeong tteus

성령 뜻 - seonglyeong tteus

하늘의 삼위일체 가운데 비둘기로 성령이 아들의 성육신을 통하여 땅의 삼위일체에 연합하는 그림, 1677년 무릴로 작품.[1]

기독교의 성령 (Holy Spirit in Christianity)은 기독교에서 삼위일체 하느님가운데 제 3위이시다. 대부분의 기독교 교파 들에게 성령 혹은 성신은 삼위 일체의 3위 ( hypostasis)이다 : 삼위 일체의 하느님은 성부 하느님 , 성자 하느님, 성령 하느님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하느님은 각 각의 인격으로 계신다.[2][3][4] 삼위 일체 교리를 거부하는 비삼위일체론자들은 주류 기독교와 성령에 대한 그들의 신앙 이 크게 다르며 일반적으로 유니테리언니즘, 비니테리안, 양태론 및 다른 여러 이단들이 이 범주에 속한다. 일부 기독교 신학자들은 성령을 유대인 성경에 있는 Ruach Hakodesh (하코데쉬의 영), Elohim (하느님의 영 ), Ruach YHWH (야웨의 영), Ruach Hakmah (지혜의 성령 ) 등과 동일한 분으로 본다.[5][6] 신약 성경에서 그분은 그리스도의 영, 진리의 영, 보혜사 및 성령과 동일하다.[7][8][9]

신약은 예수의 지상의 삶과 사역 중에서 성령과 사이의 긴밀한 관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10] 마태와 누가의 복음서와 니케아 신조는 예수님은 " 마리아로 부터성령에 의해서 잉태되었다고 진술한다.[11] 성령은 예수가 침례를 받는 동안 비둘기처럼 그에게 내려 왔으며 최후의 만찬이 끝난 후 그의 작별 담화에서 예수님은 떠나신한 후에 성령을 제자들에게 보내겠다고 약속 하셨다.[12][13]

성령은 니케아 신조 (Nicene Creed)에서 "주님, 생명의 주"라고 불리며, 많은 기독교 교단이 지니고 있는 몇 가지 핵심 신념을 요약한다. 개종의 삼자 일체 성령에 성령의 참여는 마태 복음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제자들에 대한 예수님의 부활 후 마지막 가르침에서 분명하다 ( 28:19 ).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성부와 성자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 와 " 두세 사람이 내 이름으로 함께 모인 곳에 나도 그 가운데 있다 "라고 말했다.[14] 1 세기 이래로 그리스도인들은 삼위 일체 공식 "아버지, 아들, 성령"의 이름으로 기도와 용서, 축복에서 하느님께 구했다.[15][16] 사도 행전의 책에서 성령의 강림은 그리스도의 부활 후 50 일째에 일어났고 현재 오순절의 절기를 맞아 그리스도교 국가에서 기념되고 있다.

기독교 신학에서 성령론은 성령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어원학 및 사용법[편집]

코이네 헬라어 pneûma ( πνεῦμα , pneuma )은 신약 성서에서 약 385 번 발견되며 일부 학자는 3-9 번 차이가있다.[17] Pneuma는 4 개의 정경 복음서에서 105 번, 사도 행전에서 69 번, 바오로 인 서신서에서 161 번, 다른 곳에서 50 번 나타난다.[17] 이러한 용도는 다양하다 : 133 건의 경우, 일반적인 의미의 "정신"과 153 가지의 "영적"을 의미한다.   약 93 번, 성령에 대한 언급[17] 때때로 pneuma라는 이름으로 그리고 때로는 명시 적으로 paûûma tò Hagion ( Πνεῦμα τὸ Ἅγιον ). (경우에 따라 단순히 바람 이나 삶 을 의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7] 그것은 일반적으로 벌 게이트 역에서는 영(Spiritus) 및 성령(Spiritus Sanctus)으로 번역되었다.

영어 용어 "성신"과 "성령"은 완전한 동의어이다: 하나가에서 유래 고대 영어 가스트 과에서 다른 라틴어 외래어의 spiritus . 프뉴마처럼, 두 용어는 호흡, 애니메이션 힘 과에 영혼을 언급한다. 고전 영어 용어는 다른 모든 게르만 어 (예: 독일 가이스트 비교)와 비슷하지만 좀더 오래되었고, 킹 제임스 바이블(King James Bible)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하였으며 20세기의 성경 번역들은 "성령"을 압도적으로 선호한다. 일반적인 영어 용어 "유령"은 점점 더 죽은 사람의 정신만을 언급하게 되었다.[18][19][20]

이름[편집]

유대인 성경[편집]

출처 :[5]

  • וְר֣וּחַ קָדְשׁ֑וֹ (Ruah qadesow) - 성령 ( 이사야 63:10)[21]
  • וְר֣וּחַ קָ֝דְשְׁךָ֗ (Ruah qadseḵa) - 성령 ( 시편 51:11)[22]
  • וְר֣וּחַ אֱלֹהִ֔ים (Ruah Elohim) - 하나님의 영 ( 창세 1 : 2)[23]
  • נִשְׁמַת-ר֨וּחַ חַיִּ֜ים (Nismat Ruah hayyim) - 생명의 생명의 숨결 (창세 7:22)[24]
  • ר֣וּחַ יְהוָ֑ה (Ruah YHWH) - 영의 영 (이사야 11 : 2)[25]
  • 지혜의 영 (이사야 11 : 2)[25] 지혜의 영 (눅 11 : 2)
  • ר֤וּחַ עֵצָה֙ וּגְבוּרָ֔ה (Ruah esah ugeburah) - 변호의 정신과 능력 (이사야 11 : 2)[25]
  • 지식의 정신[26]과 야웨의 두려움 (이사야 11 : 2)[25]

신약 성서[편집]

  • πνεύματος ἁγίου (Pneumatos Hagiou) - 성령 (Mt 1,18)[27]
  • πνεύματι θεοῦ (Pneumati Theou) - 신의 정신 (Mt 12,28)[28]
  • ὁ παράκλητος (Ho Paraclētos) - The Intercesor (Jn 16,7)[29]
  • πνεμμα τῆς ἀληθείας (Pneuma tēs Alētheias) - 진리의 영 (Jn 16, 13)[30]
  • Πνεῦμα Χριστοῦ (Pneuma Christou) - 그리스도의 영 (1 Pt, 11)[31]
  • πνεμμα (Pneuma) - 성령(Jn 3,8)[32]
  • Πνεύματος (Pneumatos) - 성령(Jn 3,8)

성령 뜻 - seonglyeong tteus

  • 성령의 숭배
  • 이슬람의 성령
  • 유대교의 성령
  • 성령의 중보
  • 기적
  • 하나님의 일곱 영

참고 문헌[편집]

  1. Millard J. Erickson (1992).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Book House. 103쪽.
  2. T C Hammond, Revised and edited by David F Wright (1968). 《In Understanding be Men:A Handbook of Christian Doctrine.》 six판. Inter-Varsity Press. 54–56 and 128–131쪽.
  3. Grudem, Wayne A. 1994. 조직 신학 : 성경 교리 개론. Leicester, 영국 : Inter-Varsity Press; Grand Rapids, MI : Zondervan 페이지 226.

  4. ↑ 가 나
  5. Parsons, John. “Hebrew names for God”. The Holy Spirit as revealed in the Brit Chadashah
  6. Acts and Pauline writings by Watson E. Mills, Richard F. Wilson 1997 ISBN 0-86554-512-X, pages xl–xlx
  7. Grabe, Petrus J. The Power of God in Paul's Letters 2008 ISBN 978-3-16-149719-3, pp. 248–249
  8. Spirit of Truth: The origins of Johannine pneumatology by John Breck 1990 ISBN 0-88141-081-0, pages 1–5
  9. Jesus in Trinitarian Perspective: An Introductory Christology by Scott Horrell, Donald Fairbairn, Garrett DeWeese and Bruce Ware (Oct 1, 2007) ISBN 0-8054-4422-X pages 208–213
  10. Millard J. Erickson (1992).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Book House. 267–268쪽.
  11. John by Andreas J. Köstenberger 2004 ISBN 0-8010-2644-X, page 442
  12. The Gospel of John: Question by Question by Judith Schubert 2009 ISBN 0-8091-4549-9, pages 112–127
  13. Lord, giver of life (Lona) by Jane Barter Moulaison 2006 ISBN 0-88920-501-9 page 5
  14. Vickers, Jason E. Invocation and Assent: The Making and the Remaking of Trinitarian Theology. Wm. B. Eerdmans Publishing, 2008. ISBN 0-8028-6269-1, pages 2–5
  15.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Trinity by Peter C. Phan 2011 ISBN 0-521-70113-9, pages 3–4
  16. ↑ 가 나 다 라 Companion Bible–KJV–Large Print by E. W. Bullinger, Kregel Publications, 1999. ISBN 0-8254-2099-7. Page 146.
  17. Robin W. Lovin, Foreword to the English translation of Karl Barth's The Holy Spirit and the Christian Life (1993 ISBN 0-664-25325-3), page xvii
  18. Millard J. Erickson, L. Arnold Hustad,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Academic 2001 ISBN 978-0-8010-2250-0), p. 271
  19. “Norfolk schools told Holy Ghost 'too spooky'”. 《The Guardian》 (London). 2005년 4월 11일. 2010년 5월 4일에 확인함.
  20. ↑ 가 나 다 라
  21. “Strong's Hebrew: 1847. דָּ֫עַת (daath) -- knowledge”. 《biblehub.com》. 2019년 1월 4일에 확인함.

출처[편집]

  • Martínez-Díez, Gonzalo; Rodriguez, Felix (1992). 《Colección canónica hispana》 5. Madrid: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 Meyendorff, John (1989). 《Imperial unity and Christian divisions: The Church 450-680 A.D.》. The Church in history 2. Crestwood, N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 Wilhite, David E. (2009). “The Baptists "And the Son": The Filioque Clause in Noncreedal Theology”.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44 (2): 285-302.
  • Phillips, Andrew (1995). 《Orthodox Christianity and the English Tradition》. Frithgarth, UK: Anglo-Saxon Books.
  • Burgess, Stanley M. (1989). 《The Holy Spirit: Eastern Christian Traditions》. Peabody, Mass.: Hendrickson Publishers.
  • Kärkkäinen, Veli-Matti (2002). 《Pneumatology: The Holy Spirit in Ecumenical, International, and Contextual Perspective》. Grand Rapids, MI: Baker Academic.
  • Kärkkäinen, Veli-Matti, 편집. (2010). 《Holy Spirit and Salvation: The Sources of Christian Theology》.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 Charles Williams, The descent of the Dove: a short history of the Holy Spirit in the church (1950) Faber, London
  •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CHAPTER THREE. I BELIEVE IN THE HOLY SPIRIT (nos. 683–686); ARTICLE 8. "I BELIEVE IN THE HOLY SPIRIT" (nos. 687–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