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시각장애인 음성정보 지원을 위한 텍스트입니다>>

"병석에 누워계신 선생님을 찾아뵙고 싶어요"

1958년, 충남 논산 강경고 학생들은 병중에 계신 선생님을 위문하는 봉사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이 학생들의 따뜻한 마음을 계기로 스승의 날이 제정됐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청소년 적십자 단원이기도 했던 이 학생들은 그 후 별도의 날을 정해 퇴직한 선생님을 찾아뵙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1963년 충남 전체에서 9월 21일을 '은사의 날'로 기념하게 됐고, 그해 10월 대한적십사 전국협의회에서 전국 행사로 확대했습니다.

"선생님들의 노고를 바로 인식하고 존경하는 기풍을 길러 혼탁한 사회를 정화하는 윤리 운동에 도움이 되고자 이 '스승의 날'을 정한다" 1964.5.16 스승의 날 제정취지문 中

이듬해인 1964년부터는

은사의 날 => 스승의 날

9월 21일 => 5월 26일로 변경

이때부터 스승의 날이 기념되기 시작된 거죠.

"우리나라 문화와 교육발전에 남긴 업적이 가장 큰 세종대왕 탄신일을 스승의 날로 지정하게 됐다" 대한적십자 관계자

1965년 4월, 스승이 세종 대왕처럼 존경받는 시대가 됐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세종대왕 탄생일을 스승의 날로 지정했습니다. 그 날이 바로 5월 15일입니다.

1965년 5월 15일에 열린 스승의 날 행사에서 학생들은 선생님들에게 '스승의 날, 선생님 감사합니다'라고 적힌 리본이 달린 장미꽃을 꽂아드렸습니다.

오늘날과 같은 기념행사의 모습을 갖춘 겁니다.

"스승의 가르침은 마음의 등대, 스승의 보살핌은 사랑의 손길"

1966년, 윤석중 작사, 김대현 작곡 스승의 날 노래가 방송을 통해 널리 보급되면서 스승의 날이 전국 각지로 전파됐는데요.

스승의 날이 사라졌던 시기도 있었습니다.

1973년 3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스승의 날이 '국민교육헌장 선포 기념일'(12월 5일)로 통합되기도 했죠.

1982년 5월 법정기념일로 제정되면서 스승의 날이 부활했습니다.

그 이후로 30년 넘게 이어져 온 스승의 날은 올해로 제37회를 맞이했습니다.

"스승의 날은 스승 존경의 사회적 풍토를 조성하고 교권확립에 관한 국민적 인식을 높이기 위해 제정됐다" -국가기록원

교사가 스승의 날 폐지를 외칠 정도로 교권이 바닥으로 추락한 오늘날, 스승의 날이 가지는 진정한 의미를 되새겨 보는 건 어떨까요?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강혜영 장미화 인턴기자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8/05/15 09:00 송고

5월은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 광주민주화운동 등등 기억해야 할 날이 많다. 그 중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다. 본래 스승의 날은 5월 26일이었다가 5월 15일로 바뀌었다. 이날은 세종대왕 탄신일이기도 하다. 스승의 날이 세종대왕의 탄신을 기려 정해진 날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과연 세종대왕과 스승의 날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배경을 알기 위해서는 세종대왕을 알아야 한다. 세종대왕은 재임기간 중 과학과 음악, 인쇄술, 천문을 발전시켰고 4군6진을 개척, 국방도 튼튼하게 해 외세가 넘보지 못하게 했다. 뿐만아니라 궁궐 내 집현전을 설치해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고 이들로 하여금 제도개선, 역사기록업무를 맡겼다. 세종은 모든 일의 중심에 백성을 두고, 백성을 위하는 정치를 펴나갔고, 황희 정승처럼 청렴한 재상을 관리로 앉혀 깨끗한 정치를 한 인물이다.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의 위엄 ⓒ조시승

세종의 가장 훌륭한 업적은 ‘훈민정음’ 창제다. 왜 많은 업적 중에서 한글창제가 가장 손에 꼽는 업적이 된 걸까? 독일 언어철학자 훔볼트는 “언어는 민족정신을 의미하며 역사를 반영하고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고 했다. 다시말해 각국의 모국어는 특정한 민족정신과 역사를 발산한다는 의미다. 이렇듯 언어와 민족정신에 중요한 지주역할을 하는 ‘훈민정음’ 창제한 것이 우리 역사상 가장 뛰어난 업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일제가 한국어를 교육과정에서 빼버려 우리말을 말살하려 한 것도 조선의 역사와 민족정신을 말살하려는 의도였다.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경복궁역 통의동 세종대왕 탄신지에 세워져 있는세종마을 입간판 ⓒ조시승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한자를 사용했다. 양반들은 공부를 해 한자를 읽을 수 있었지만 일반백성들은 생업에 바빠 공부를 못했고 어려운 한자를 읽을 수 없었다. 세종은 백성들이 글과 말을 제대로 쓰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누구나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훈민정음’을 창제했다. 이는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1446년 집현전 학사들과 함께 선포한 훈민정음은 그 해설서와 함께 우리나라 국보 70호이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이촌동의 국립한글박물관, 한글의 역사와 가치를 일깨운다. ⓒ조시승

‘훈민정음’은 최만리 등 일부 학자들의 격렬한 반대로 한때 어려움에 처하기도 했다. 허나 세종대왕은 뜻을 굽히지 않고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 싶어도 그 뜻을 펴지 못한다. 내가 이것을 딱하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들었으니 사람들이 쉽게 익혀서 날마다 편리하게 사용하기를 바란다.”라고 설득했다. 뿐아니라 훈민정음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 훈민정음으로 쓴 ‘용비어천가’,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등 다양한 책을 펴내 백성이 읽고 접하기 쉽게 만들었다.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광화문광장 세종이야기 입구에 세종대왕 연보가 새겨져 있다. ⓒ조시승

원래 스승의 날 5월 26일은 그 유래나 배경이 없었다. 이에 훈민정음을 만들고 널리 배포한 세종대왕을 우리민족의 큰 스승이라고 생각해  1965년 그의 탄신일 5월 15일을 스승의 날로 다시 지정하게 된 것이다. 만백성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한글을 창제했을 뿐아니라 우리나라 역사상 최대의 위인을 기린다는 의미로 세종은 겨레의 큰 스승이 된 것이다.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한글박물관에 세종어제 훈민정음이 한글창제의 목적과 정신을 밝히고 있다. ⓒ조시승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교권이 무너진지 오래됐다고 느끼고 있다. 학생이 교사에게 욕설과 폭행을 하고, 학부모가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실에 찾아와 학생들이 보는 앞에서 교사를 모욕하는 사건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통인동 세종대왕 출생지를 알리는 표지석 ⓒ조시승

제자는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는 동방예의지국에서 왜 이렇게 안타까운 일이 벌어질까. 지금 우리사회는 사도(師道)가 땅에 떨어졌고 제자도 자기자리를 잃어버렸다. 서로가 믿지 못하는 교육에서 미래세대의 희망을 볼 수 없다. 교사가 흔들리면 교육도 흔들린다. “경서(經書)를 가르치는 선생은 만나기 쉽다. 그러나 사람을 인도하는 스승은 만나기 어렵다”는 사마광의 말처럼, 이제 교사들은 제자들에게 귀기울이고 진실된 교육으로 실추된 신뢰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스승의 날 세종 - seuseung-ui nal sejong

한글로는 통인동 경복궁역에서 자하문터널까지 1.9km구간이다. ⓒ조시승

또 제자도 교사들을 부모와 같이 따르고 존경해야 한다. 스승과 제자는 우리나라 미래를 함께 짊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우리나라 교육의 미래는 어둡기만 하다. 이번 ‘스승의 날’에는 사제지간 모두 뜻깊고 보람된 날이기를 소원해 본다.

▶ 더 많은 서울 뉴스 보기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하기
▶ 내 이웃이 전하는 '시민기자 뉴스'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