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인물 분석 - soseol inmul bunseog

초록 열기/닫기 버튼

With relation to Park, Kyung-ri’s Choinron, we can find three peculiar types of characters in her novels. (1) A complete overman who crossed the border between the ordinary person and the overman, (2) an incomplete overman who lives as an ordinary person but has inner properties of the overman and sometimes exposes its property as an overman, and (3) a marginal man who wants to be an overman but lives as an ordinary person because he/she could not cross the border. The complete overman is a self-closed being who confines him/herself to his/her desire, and is a self-confiding being who has absolute trust in his/her way of life and way of existence. By using this type of characters, Park, Kyung-ri succeeded in exposing universal property of human-being and asserting credibility of exceptional individuals who cannot associate with the outer world, and the strangers. However, this self-closed and self-confiding being restricts relationship with strangers and the outer world. Therefore, with only this type of characters, the world will be intense but can be only mono-cultured and narrow. With this point of view, incomplete overman and marginal man/woman are more realistic, and are more efficient in describing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human-being and the world.

박경리의 소설 목록에는 대하소설 「토지」, 장편 11편(미완의 장편 「나비야 청산 가자」 포함), 작품집 3권 등이 들어 있다. 1955년에서 2003년까지, 50년 가까운 세월 붓 한 자루로 지어 올린 큰 집이다. 이 집에 거주하는 수많은 인물은 저마다 개성적이어서 작가의 인물 창조력, 형상화 능력이 얼마나 뛰어난가를 보여주고 있으며, 끊임없이 새로운 인물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 내며 나아온 작가의 창조 정신을 증거하고 있다. 박경리가 창조한 인물 가운데는 실제 현실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매우 독특한 개성을 지닌 인물이 적지 않다. 이 독특한 개성의 인물은 관점에 따라, 강렬한 성격을 추구하는 작가의식이 낳은 ‘현실성이 부족한 인물 성격’이라 비판될 수도 있고, 현실 너머를 지향하는 작가의식이 낳은 ‘낭만적 인물 성격’이라 옹호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다른 관점에서 이 독특한 개성의 인물을 이해할 수도 있다. 작가의 에세이 「작가의 가치관」 등에서 개진한 ‘초인론(超人論)’이 그 열쇠이다. 박경리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초기 단편 「쁘로하르친 씨」를 읽고 주인공인 쁘로하르친의 인물 성격을 자세하게 분석하면서를 그를 초인이라 불렀다. 박경리에 의하면 이 초인은 1) ‘고독’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그 고독을 선택한 존재이고, 2) 형식의 관습을 넘어 자신의 진실에 솔직한 존재이고, 3) 그는 자신의 진실에 충실함으로써 자기 내면의 완벽한 세계를 만들고 그 속에서 절대적인 자유를 누리는 존재이고, 4)선악을 넘어선 존재이다. 박경리의 소설에는 이 같은 초인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 개성의 인물이 많이 등장한다. 초인론은 박경리 소설에 특징적인 이 개성의 인물 성격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박경리의 초인론을 바탕으로 박경리 소설 곳곳에 등장하는 독특한 개성의 인물들을 해석하고자 한다. 먼저 박경리의 초인론을 검토한 뒤, 초인론으로 설명 가능한 인물들을 몇 유형으로 나누고 그 각각에 해당하는 인물들을 하나하나 검토하고자 한다. 박경리의 모든 소설이 검토 대상이다. 이 작업을 통해 우리는 박경리 소설의 특성을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 우리 소설 전체를 대상으로 한 인물 성격론를 위한 발판 하나를 놓을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박경리 소설, 초인론, 완전초인, 불완전초인, 경계인

피인용 횟수

  • KCI 2회

  • 333 회 열람
  • KCI 원문 미리보기
  • 원문 찾아보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1�� ����

2�� ����
1. �赿��
2. ������

3�� ���

<�赿�� ��ǥ ������>  i.����  ii.����  
1.�赿��
1)����
2)��ǰ ����
3)����-
3.�������⡻
iii.���  i.����  
����� ���� ������ �ϻ��� �׸� �Ҽ� �����ڡ��� ���� �۰� ���赿�Ρ��� �츮 ���п� ���� �ڸ� ��� �ִ�.�ѱ����п� ������ ���� ���� ����� ������ �����ڡ��� ������ �ҳ�Ÿ��, ������ �꡻���� ��ǰ�� �ǹ����������� ���������� ���ϰ� �Ǹ鼭 ������ ���� �����ϰ� �ִ�.
�׷���, �츮�� �������� �����ϴ� �������� ���� ��ǰ�� �۰��μ� ���赿�Ρ��� ����ϱ⿡ ��ġ�� �ʰ�, ���л��� �� �帧���� �Ҽ��� ���ڼ��� ��â���� ���� ���������� �������� ������ �⿩�� ���� ����� �� ���������� ���ָ� ����ؾ� �� ���̴�.
�ٴ�κ��� �Ѹ� ������ ������ �������, ����� ����� ���� ������ �������� �̱����� ������Ƿκ��� ��Ż�� �õ��ϰ�, ������ �̳信�� ��� ������ �������� ������ �巯�� ���� Ȱ���� ���л��� ���ǿ� ������ �������κ��� �ʷ��� ���������μ� �赿���� ������ ���� �ٽñ� Ȯ���ϰ� ä��, ��1920Ҵ�� ������ʫ��ϼ��, ��ҷ��, 1978.p.21.
, �۰� �赿���� ���ֿ� ��ǰ�鿡 ���� �м������ν� �츮�� �� �ð��� ���� �۰� �赿���� Ž�� �غ����� �Ѵ�.
ii.����  
1.�赿��
1)����

�赿���� 1900�� 10�� 2�� ��翡�� �¾��. �ƹ����� ����� ���ȣ���� ��ο���

1907�⿡�� 1912����� �������б����� ����, 1912�� �����б��� �����ߴ�. ���� ��, 1914�� �Ϻ������� ����, �����п� ���кο� �����Ѵ�

1915�� �����п��� ��� ���� �������п� ���к� 2�г⿡ �����Ѵ�.

1917�� �ƹ����� ������� �Ͻ� �ͱ��� ���� ������ ��ӹ޾Ҵ�. ������ �п� ���� �� ���� �̼��б� ���͹�Ÿ ȭ���� ����, �����ø� �������� ���ϻ��� �ȴ�

�� ���ƺ��� ���а��θ� ���������� �ϰ� �ȴ�.

1919�� 2�� �Ϻ� ���쿡�� �ֿ����� ���������� �ѱ������� ������������<â��>�� â��, �����Ҽ� <���� ���� ����>�� ��ǥ�� ����ߴ�. �� �� �ͱ������� ���ǹ� ���� ���Ƿ� ������ ü��, ���ݵǾ� 4������ �����ȴ�

��� �� <������>(1921), <����>(1925), <�����ҳ�Ÿ>(1929)�� �����Ҽ��� ��ǥ�ߴ�.

1920��� �Ĺݺ��� ������ ���� ������ ��ź���鼭 �Ź�����Ҽ��� �Ŵ޷ȴ�. �����Ϻ��� <���� �׵�>(1930), �����Ϻ��� <�������� ��>(1933)�� �����߰� 1935����� �ߴ�縦 �μ��� ������ <�ߴ�>�� �߰��ߴ�   (���� ����)

�ı��ۼ�����ı⸦ �ۼ��Ͻø� �������� 100 point�� ������ �帳�ϴ�.

����� ����������

����ı� (0)

��ϵ� ���䰡 �����ϴ�.

ù��° ���� �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