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장 된장 차이 - tojang doenjang chai

‘백일된장’은 합성첨가물 없이 콩, 천일염, 청정지역 암반수만을 사용해 100일 동안 발효시켰다. 사계절 내내 된장을 익혀 먹던 전통 숙성 방식에서 착안해 사계절의 온도로 장을 숙성시키는 ‘온도리듬숙성’ 기법을 적용하여 맛이 더욱 깊다. 또한 전통 절구 방식으로 메주를 만들어 집된장과 같은 구수한 맛을 구현해냈다.

‘시골집 토장’은 더 맛있는 찌개를 만들기 위해 간장을 빼지 않고 ‘토장’을 해먹던 옛 선조들의 방식을 재현한 제품으로, 간장의 맛 성분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 맛이 진하다. 고춧가루, 마늘 등 기본 양념이 되어 있어 별도의 양념 없이도 깊고 진한 찌개를 끓여낼 수 있다. 무침, 쌈 등의 요리에도 활용할 수 있다.

신제품 된장 2종에는 이중 라벨이 적용되어 패키지의 라벨 스티커를 열면 제품 맛의 비결을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다. 소비자가격은 백일된장 5230원, 시골집 토장 5650원이다.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저장

이 시각 추천뉴스

농축산단체 “무리한 양곡관리법 개정 피해는 농업인 몫”…재고 촉구

SPC 허영인 회장 대국민 사과… 1천억 규모 투자 ‘안전경영 시스템’ 강화

올해 대체육 시장 212억 규모…전년보다 28.3% 성장

‘나트륨 무첨가ㆍ무가염’ 표시 까다로워졌다

27년까지 푸드테크 유니콘기업 30개 육성…‘푸드테크 산업 육성 특별법’ 제정

농축산단체 “무리한 양곡관리법 개정 피해는 농업인 몫”…재고 촉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삭제
닫기

기사 댓글 0

댓글 접기

댓글입력 권한이 없습니다.

댓글 내용입력

0 / 400

 

비회원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0 / 4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확인  취소

로그인 옵션 창닫기

주요기사

백종헌 의원, 거짓 등록 해외 제조시설 관리 강화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개정안’ 발의

김한규 의원, 물품 강매 금지 ‘가맹법 개정안’ 발의

식약처-시도 보건환경연구원, 식의약 시험ㆍ검사 협력 강화 논의

농진원, 내년 농업 실용화기술 R&D에 133억 지원

김홍걸 의원, 영양취약계층 식품 지원 내용 담은 ‘농수산식품유통공사법’ 개정안 발의

‘나트륨 무첨가ㆍ무가염’ 표시 까다로워졌다

프리미엄 된장은 콩과 소금, 물만 사용하기 때문에 콩에 밀을 섞어 속성으로 발효시키는 기존 시판된장 제조방식보다 더 많은 시간과 기술력이 필요하다. 샘표는 된장을 만들 때 밀을 넣으면 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나 텁텁한 맛이 나고 구수하고 깊은 맛은 약해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보고 전통 방식 그대로 된장 만드는 법을 연구했다. 무려 15년간의 연구 끝에 2015년 야심 차게 선보인 샘표 ‘토장’과 ‘백일된장’이 된장 시장에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 단시간에 프리미엄 된장 시장 점유율 1위에 올라선 데 이어 위축됐던 국내 된장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는 것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017년 국내 된장 소매시장 규모는 842억원으로 2013년 669억원보다 25.8% 커졌다. 같은 기간 국내 고추장 소매시장 규모가 15.7%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aT는 된장 원료의 품질을 높인 프리미엄 된장이 수요를 촉진하는 등 고급화·간편화 전략이 유효했던 것으로 풀이했다.

샘표 토장과 백일된장은 옛 문헌을 조사하고 전국의 장맛 좋은 곳에서 수집한 메주와 된장을 분석해 찾아낸 발효과학의 원리를 완벽하게 적용한 제품이다. 샘표는 된장의 맛과 향, 색을 결정하는 미생물의 복합발효 원리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특허 기술까지 개발했다. 메주를 짚으로 묶어 처마에 매다는 전통 제조 방식을 대량생산 공정에 똑같이 적용하기 위해 볏짚 등 마른풀에 서식하는 볏짚균을 배양해 콩알 하나하나에 접종시켜 메주를 만드는 콩알메주공법을 자체 개발하고 옛 절구 원리로 콩알을 찧어 발효가 더 잘되도록 했다. 또한 조상들이 사계절 내내 장을 익혀서 먹었던 것에 착안해 장의 숙성기간과 온도에 따른 화학적 변화를 분석해 100일 동안 사계절의 변화를 고스란히 반영하는 ‘사계절 리듬 온도 숙성’ 기술도 개발했다.

‘샘표 백일된장’은 엄격하게 선별한 콩과 천일염, 청정지역 암반수만을 사용해 100일 동안 전통에 기반 한 발효과학으로 정성스럽게 만든 제품이다. ‘샘표 토장’은 전통 방식으로 된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간장을 빼지 않아 더 진하고 깊은 맛이 난다. 토장은 과거 궁궐이나 상대적으로 살림에 여유가 있었던 부유층에서 더 맛있는 찌개나 무침 등을 만들기 위해 이용했던 별미 장이다. 청양초, 마늘 등 기본양념이 되어 있어 별도 양념 없이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다.

샘표는 샘표가 15년간의 뚝심으로 완성한 토장과 백일된장은 출시 이후 줄곧 기존 시판 된장에 만족하지 못했던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성장을 거듭해왔다. 특히 토장은 2018년 대비 2019년에 35%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며 프리미엄 된장 시장의 확대로 전통 장류를 대표하는 된장 시장 전체가 성장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결과다. 앞으로 더 좋은 제품으로 소비자들이 전통 장의 우수성을 맛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sempio.com

이 보도자료는 제공자가 작성해 발표한 뉴스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인하고 내용 오류를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도자료에 문제가 있으면 뉴스와이어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작년 1월부터 10월까지 국내 프리미엄 된장 시장에서 샘표 토장은 점유율 33.4%를 기록하며 청정원 순창 메주콩 된장(29.8%)을 따돌리고 1위를 차지했다. 3위도 샘표 백일 된장(12.2%)으로 나타났다.

프리미엄 된장은 콩과 소금, 물만 사용하지만 콩에 밀을 섞어 속성으로 발효시키는 기존 시판된장 제조방식보다 더 많은 시간과 기술력이 필요하다. aT에 따르면 2017년 국내 된장 소매시장 규모는 842억 원으로 2013년 669억 원보다 25.8% 커졌다. 된장 원료의 품질을 높인 프리미엄 된장이 수요를 촉진하는 등 고급화·간편화 전략이 주효한 것으로 풀이된다.

샘표 ‘토장’과 ‘백일된장’은 옛 문헌을 조사하고 전국의 장맛 좋은 곳에서 수집한 메주와 된장을 분석해 찾아낸 발효과학의 원리를 적용한 제품이다. 샘표는 된장의 맛과 향, 색을 결정하는 미생물의 복합발효 원리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특허 기술까지 개발했다.

‘샘표 백일된장’은 선별한 콩과 천일염, 청정지역 암반수만을 사용해 100일 동안 전통에 기반 한 발효과학으로 만들었으며, ‘샘표 토장’은 전통 방식으로 된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간장을 빼지 않아 더 진하고 깊은 맛이 난다.

샘표 관계자는 “샘표가 15년간의 뚝심으로 완성한 토장과 백일된장은 출시 이후 줄곧 기존 시판 된장에 만족하지 못했던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성장을 거듭해왔다. 특히 토장은 2018년 대비 2019년에 35%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며 “앞으로 더 좋은 제품으로 소비자들이 전통 장의 우수성을 맛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