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 평균 키 2022 - 4hagnyeon pyeong-gyun ki 2022

아이가 유치원생일때는 키와 몸무게에 큰 차이를 알지 못했지만, 초등학교에 들어가고 나서 또래들보다 작거나, 마르면 신경이 쓰이기 마련입니다. 요즘 초등학교 6학년 평균키와 몸무게는 어느정도 인지 알아보고 어떤 방법으로 아이의 키에 도움이 될지 생각해 봐야 할것같습니다.

4학년 평균 키 2022 - 4hagnyeon pyeong-gyun ki 2022
초등학생 평균키

초등학교 6학년 평균 키

초등학교 저학년때는, 그래 크겠지 그런 마음으로 지켜봤지만, 고학년이 되어서 또래보다 차이가 난다면 모든 부모는 신경이 쓰이기 마련입니다. 온라인 선전하던 종근당 아이커, 또는 다양한 키와 관련된 건강보조식품을 먹이지 않아서 아이가 크지 않은건지 아이에게 미안함을 느끼는 부모도 있습니다.

물론 그러한 키크는 제품이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제품 또한 아이가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보충해 주는것 뿐이지, 엄청난 효과가 있는건 아닐거라 생각합니다. 요즘 초등학교 6학년 평균키를 참조해보세요.

▣ 초등학교 학년별 평균키 몸무게 (남)

  • 1학년 122.2Cm  25.5Kg  표준오차 0.15정도
  • 2학년 128.2Cm  29.2.Kg  표준오차 0.16정도
  • 3학년 134.1Cm  33.5Kg  표준오차 0.14정도
  • 4학년 139.8Cm  38.2Kg  표준오차 0.11 정도
  • 5학년 145.3Cm  43.1Kg  표준오차 0.15정도
  • 6학년 152.1Cm  48.8Kg  표준오차 0.19 정도

▣ 초등학교 학년별 평균키 몸무게(여)

  • 1학년 120.6Cm  24.0Kg  표준오차 0.14정도
  • 2학년 126.9Cm  27.3.Kg  표준오차 0.12정도
  • 3학년 122.2Cm  31.1Kg  표준오차 0.15정도
  • 4학년 139.1Cm  35.4Kg  표준오차 0.19정도
  • 5학년 146.0Cm  40.8Kg  표준오차 0.16정도
  • 6학년 152.3Cm  46.1Kg  표준오차 0.16정도
4학년 평균 키 2022 - 4hagnyeon pyeong-gyun ki 2022
평균 키

아이들이 학년이 올라갈술고 남자아이들보다 여자아이들의 평균키가 크며, 몸무게는 남자아이들이 더 많이 나갑니다. 현재 여러분의 아이는 교육부 통계자료에 나와 있는 평균치를 하고 있나요? 

그렇지 않다고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남자 아이같은 경우 중학교때 정말 많이 크더군요, 그런데 여자아이는 어느순간 음식을 잘 먹지 않아 초등학교 6학년때키가 다큰 키가 되어 버리기도 합니다. 저희 가족 여성들이 그렇네요, 국민학교때 가장 컷는데, 그때 그 161정도 되는 키가 성인이 되어서도 하나도 안컸습니다.

아이의 키나 몸무게가 또래보다 작으면 부모님들이 키와 관련된 영양제와 병원, 또는 건강보조식품을 많이들 찾아보는데요, 아래글들을 읽어보시고 참조해 주세요. 개인적인 생각을 담아봤습니다.

종근당 아이커 효과 가격 팩트

본의 아니게 아이 성장판 이야기하다가 우리 아들도 종근당 아이커 같은 성장판 관련 제품을 먹여야 하나 그런 생각으로 이것저것 알아보았습니다. 어린이 키 성장 기능성 원료라고 하는 HT042에

nscer.com

4학년 평균 키 2022 - 4hagnyeon pyeong-gyun ki 2022

아이클타임 가격 나이 성분

요즘 아이들 키 때문에 고민 아닌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저도 그런데요 이번에는 아이클타임 가격과 도대체 이런 보조식품들은 언제쯤 어느 나이에 섭취해야 효과가 좋

nscer.com

4학년 평균 키 2022 - 4hagnyeon pyeong-gyun ki 2022

개인적인 의견을 담았는데요, 결론은 위에 있는 여러가지 아이들 키크는데 도움되는 영양보조 식품도 결국에는 키크는데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것에 주 목적이 있다 생각합니다.

잘챙겨먹이고, 늦게 까지 TV시청 시키지 말고 자는 시간 잘 지키고, 아이가 받는 스트레스를 어느정도 줄여 준다면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키와 관련된 제품들은 너무 비싸요, 큰효과를 봤다는 사람도 있지만, 사실 그때쯤 아이 성장판이 크게 성장한것 일수도 있기 때문에 너무 믿지는 말았으면 좋겠네요.

4학년 평균 키 2022 - 4hagnyeon pyeong-gyun ki 2022
비만

아이가 크면 좋지만, 분명 장단점은 존재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이들 비만의 원인은 운동도 물론 포함되지만, 아래와 같은 원인때문에 초등학생때 비만이 많이 됩니다.

  • 군것질을 많이 한다
  • 음식을 배가 부를때까지 많이 먹는다
  • 한꺼번에 폭식을 한다
  • 식사하는 속도가 빠르다
  • 탄산음료및 패스트 푸드를 좋아한다
  • 음식 자제력이 부족하다
  • 체력이 약하고 집에서 있는것을 좋아한다

위와 같은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다면, 살이 안찔래야 찔수가 없는 구조라 생각이 드네요, 비만인 아이들은 밖에서 뛰어놀게 하는게 좋은데 요즘 시국이 시국인 만큼 음식으로 조절해주어야 할것 같네요. 이상으로 초등학교 6학년 평균 키 몸무게 포스팅을 줄입니다.

12세 평균키는?

우리나라에선 12살(만11세)의 경우 조기입학자는 초등 6학년, 정상입학자는 초등 5학년에 해당된다. 그리고 13살(만12세)의 경우 조기입학자는 중학교 1학년, 정상입학자는 초등 6학년에 해당된다.

따라서 평균키를 알아볼 때 초등 5학년 평균키가 얼마, 초등 6학년 평균키가 얼마하는 통계는 조금은 오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교육부에서 발표하는 신체검사 통계이다. 이 통계는 나이별로 내는 것이 아니라 학년별로 발표를 해서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통계청이 발표하는 연령별 평균키를 참고하는 것이 조금 더 신뢰도가 높다. 이것은 만나이 기준이다.


12세, 13세 평균키(만 기준)

1. 만 11살 평균키(초5), 몸무게

♠남자 144.6cm , 40.2kg

여자 145.8cm , 39.1kg

2. 만 12살 평균키(초6), 평균 몸무게

♠남아 151.4cm , 45.7kg

여아 151.8cm , 43.6kg

3. 만 13살 평균키(중1), 평균 몸무게

남아 158.5cm , 50.8kg

여아 155.9cm , 47.7kg

4. 12세부터 남자아이가 평균키 역전

보편적으로 9살 때까지는 남자아이의 키가 더 큰데 초등학교 4학년에 해당하는 10살, 11살 시기에는 오히려 여아의 평균키가 더 크다.

그 이유는 여자아이가 남아보다 사춘기에 해당되는 2차 성징이 더 빨리 오기 때문. 사춘기때 키성장이 급속히 진행되므로 여자아이들이 부쩍 크면서 남아의 키를 역전해버리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남자는 12살때부터 뒤늦게 2차 성징이 시작되면서 급격한 키성장으로 여아의 키를 다시 역전해버리게 된다.


나의 미래예측키는?

1. 유전키 계산(한국식, 미국식 계산법)

남자예상키 = [(아빠 키 + 엄마 키) ÷ 2 + 6.5]

여자예상키 = [(아빠 키 + 엄마 키) ÷ 2 - 6.5]

2. 유전키 계산(일본식 계산법)

남자예상키 = [(아빠 키 + 엄마 키) + 13] ÷ 2 + 2

여자예상키 = [(아빠 키 + 엄마 키) - 13] ÷ 2 + 2

3. 한국 vs 일본 예상키 예시를 통한 비교

ex) 아버지 키 177cm, 어머니 키 163cm 가정할때

<<한국식>>

♠아들 키 = [(177 + 163) ÷ 2 + 6.5] = 176.5cm

♠딸 키 = [(177 + 163) ÷ 2 - 6.5] = 163.5cm

<<일본식>>

♠아들 = [(177 + 163) + 13] ÷ 2 + 2 = 178.5cm

♠딸 = [(177 + 163) - 13] ÷ 2 + 2 = 165.5cm

4. 일본식과 한국식 자녀예상키 계산의 차이

복잡해보이지만 매우 단순한 방법이다. 유전에 근거해 부모 키를 합치고 둘로 나눈뒤 가중치를 부과한 계산 방법인데 일본은 조금 더 가중치를 두고 있다.

그 가중치란 것도 남자와 여자 평균키가 평균적으로 13cm차이가 난다는 것에서 도출된 것이다. 성장하는 환경이나 후천적 요인 등은 개입되지 않고 있다.

일본의 경우엔 인간은 계속해서 키가 성장한다는 관점에서 2cm를 추가로 합산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보편적으로 부모보다는 자식이 더 키가 성장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일본식 측정법이 조금 더 타당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