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대학교 병원 조직도 - aju daehaggyo byeong-won jojigdo

(3층) 사무실, 공조실, 중대형동물실 (4층) SPF, Clean, 감염동물, 동위원소 구역

수술실 규모

- 중대형동물구역 (3층): 수술실 총면적 43.04㎡ 공간 내 수술테이블 2개 보유
- SPF, Clean구역 (4층): 총 5개의 실험실 100.25㎡ 공간 내에서 연구 및 수술 가능

주요 서비스

- 실험동물 사육관리: 실험동물사육에 적합한 환경의 조성과 동물복지에 기인한 사육 업무 진행
- 교육서비스: 동물실험에 필요한 이론 및 실습교육(보정, 핸들링, 주사법, 교배방법 등) 진행

- 기술지원: 채혈, 주사(경구포함), 제왕절개, 마취, 보정 등

최대 사육량

아주 대학교 병원 조직도 - aju daehaggyo byeong-won jojigdo

* 동물실험이 필요한 기업 수요를 고려하여 실험동물연구센터 내 연구시설 제공

No.장소면적사진1실험동물연구센터 315호
(중대형동물 연구실)28.43 ㎡ , 약 8평
아주 대학교 병원 조직도 - aju daehaggyo byeong-won jojigdo
2실험동물연구센터 319호
(중대형동물 수술실)43.10 ㎡ , 약 13평
아주 대학교 병원 조직도 - aju daehaggyo byeong-won jojigdo
3실험동물연구센터 419/420호<419호> 20.66 ㎡ , 약 6평
<420호> 20.66 ㎡ , 약 6평
아주 대학교 병원 조직도 - aju daehaggyo byeong-won jojigdo
No.장소면적사진1홍재관 601호67.20 ㎡ , 약 20평
아주 대학교 병원 조직도 - aju daehaggyo byeong-won jojigdo
2의생명과학관 314, 314-1호62.64 ㎡ , 약 19평
아주 대학교 병원 조직도 - aju daehaggyo byeong-won jojigdo
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


비전 및 미션

난치성질환 극복을 선도하는 초일류 연구중심병원

지속 가능한 R&D 기반 확립

모델기반
임상중개연구
글로벌허브

  • 연구역량강화
  • 첨단기술개발
  • 연구서비스강화
  • HT 혁신코칭

산학연병 연계 및 시너지 창출

  • 글로벌인재유치
  • 개방형혁신강화
  • 기초·임상협력
  • 중개연구강화
  • 기술경영확립

연구중심병원의 3대 목표

아주대학교병원의 차별화된 강점

  • 지속 가능한
    R&D 시스템
    확립

    인력양성 및 인프라 체계를 통한 역량 확대

    • 4 Bridge Track을 통한 기초·임상·중개연구 인력양성 및 교류 수행
      - 중개연구트랙(Physician Scientist Track), 다학제적 융합교육(약대/공대/로스쿨 연계교육 등)
    • 임상중개연구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바코:BaccoR 및 박트라 : BaCTraR)및 첨단의학연구원 내 연구센터 등 지역사회 및 글로벌 개방형 센터 운영

  • 글로벌
    수준의
    연구역량 확보

    QoL 질환 특화 임상중개연구 고도화

    • Ajou Core 6R Value 창출 : “수요자요구 맞춤형 연구/사업화 서비스 모델” 기반 6개 핵심요소 제공
    • 5개 중점 질환(면역질환, 뇌혈관질환, 난청, 골관절염, 노인정신질환) 및 4개 사업화 플랫폼(임상중개, 재생의료, 면역조절제/이중항체, 의료정보) 연계

  • 개방형
    플랫폼
    활성화

    개방형 플랫폼 확대를 통한 동반성장

    • 경기지역 지자체(광교재생의학클러스터) 및 지역사회 제약/바이오 업체와의 협업 인프라 구축을 통한 제약/바이오 의료 생태계 활성화
    • 지역사회 중점병원과의 공동연구 연계를 통한 여구중심병원의 성공적 모델 확산 및 시너지 효과 창출
    • 글로벌 제약사/연구소와의 공동연구 확대를 통한 글로벌 시장으로의 사업화 촉진

연구조직

아주 대학교 병원 조직도 - aju daehaggyo byeong-won jojigdo

  • 의료원장
  • 첨단의학연구원장 - 병원
  • 운영위원회(자문위원)
  • 첨단의학연구원 부원장
  • 연구행정팀
    • 임상과학융합연구단
      • 간질환 융합연구단
      • 골관절염 융합연구단
      • 난청 임상과학 융합연구단
      • 뇌혈관질환 융합연구단
      • 대사성질환 융합연구단
      • 두경부종양 융합연구단
      • 위암중개 융합연구단
      • 천식 및 알레르기 융합연구단
    • 연구기관
      • 뇌질환연구센터
      • 노인보건연구센터
      • 면역네트워크차이오니어연구센터
      • 세포치료센터
      • 세포사멸조절신약개발센터
      • 심리외상센터
      • 실험동물연구센터
      • 임상역학센터
      • 의료정보연구센터
      • 유전체불안전성제어연구센터
      • 지역사회안전증진연구소
    • 연구지원 인프라
      • 생명자원은행
      • 실용화촉진센토
      • 아주중개오믹스센터
      • 유효성평가센터
      • 임상중개연구센터

주요 연구진 소개



본문

병원조직도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조직도입니다.

  • 아주 대학교 병원 조직도 - aju daehaggyo byeong-won jojigdo
  • 아주 대학교 병원 조직도 - aju daehaggyo byeong-won jojigdo

병원장

  • 진료부문

      • 노인의료센터
      • 심장혈관센터
      • 암센터
      • 뇌신경센터
      • 폐센터
      • 관절센터
      • 척추센터
      • 소화기센터
      • 어지럼증센터
      • 건강증진센터
      • 입원전담진료센터
      • 국제진료센터
      • 가정의학과
      • 감염내과
      • 내분비내과
      • 노인병내과
      • 류마티스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병리과
      • 비뇨의학과
      • 산부인과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소화기내과
      • 순환기내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신장내과
      • 안과
      • 알레르기내과
      • 영상의학과
      • 외과
      • 응급의학과
      • 이비인후과
      • 재활의학과
      • 정신건강의학과
      • 정형외과
      • 진단검사의학과
      • 치과
      • 피부과
      • 핵의학과
      • 혈액종양내과
      • 호흡기내과
      • 흉부외과
      • 임상약리학과
      • 외래진료부
      • 입원진료부
      • 수술부
      • 중환자진료부
      • 특수검사부
      • 감염관리센터
      • 방사선안전관리실
      • 장기이식센터
      • 조직은행
      • 진료행정팀
      • 진료협력센터
      • 간호본부
      • 약제부
      • 물류자산팀
      • 의공팀
      • 영양실
      • 보험심사팀

  • 의생명연구원

    • 연구기획부
    • 연구지원부
      • 연구실험센터
      • 의료기기
        연구개발센터
      • 의학연구협력센터
    • 디지털
      헬스케어연구사업부
    • 미래혁신연구부
    • 임상시험센터
    • 전임상실험센터
    • 임상연구윤리센터
    • 연구행정팀

  • 공공의료본부
    • 정책연구기획센터
    • 임상예방의학센터
    • 권역심뇌혈관
      질환센터
    • 권역응급의료센터
    • 고위험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 신생아집중치료
      지역센터
    • 공공의료사업팀
  • 사무국
  • 안전국
  • 기획조정실
  • 정보화실
  • 교육인재개발실
  • 홍보실
  • 대외협력실
  • 경영혁신실


4 Bridge Track을 통한 기초·임상·중개연구 인력양성 및 교류 수행 - 중개연구트랙(Physician Scientist Track), 다학제적 융합교육(약대/공대/로스쿨 연계교육 등)

  • 임상중개연구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및 첨단의학연구원 내 연구센터 등 지역사회 및 글로벌 개방형 센터 운영

  • 글로벌 수준의 연구역량 확보, QoL 질환 특화 임상중개연구 고도화

    • Ajou Core 6R Value 창출 : “수요자요구 맞춤형 연구/사업화 서비스 모델” 기반 6개 핵심요소 제공

    • 5개 중점 질환{면역질환(알레르기, 자가면역, 피부면역질환), 뇌혈관질환, 난청, 골관절염, 노인정신질환} 및 4개 사업화 플랫폼(임상중개, 재생의료, 면역조절제/이중항체, 의료정보) 연계

    • 개방형플랫폼 활성화, 확대를 통한 동반성장

      • 경기지역 지자체(광교재생의학클러스터) 및 지역사회 제약/바이오 업체와의 협업 인프라 구축을 통한 제약/바이오 의료 생태계 활성화

      • 지역사회 중점병원과의 공동연구 연계를 통한 연구중심병원의 성공적 모델 확산 및 시너지 효과 창출

      • 글로벌 제약사/연구소와의 공동연구 확대를 통한 글로벌 시장으로의 사업화 촉진

  • 2016년 : 2차 육성 R&D 선정, '수요기반 면역조절제 개발을 위한 전주기·개방맞춤형 임상중개 비즈니스 모델' 확립

  • 2020년 : 2020 R&D 사업화 성과 우수병원 인센티브 선정

  • 2021년 : 2021 R&D 사업화 성과 우수병원 인센티브 선정

  • 2021년 : 3차 육성 R&D 선정, '5차 산업혁명 초개인화 H·I 미래기술 기반, 콰트로 상생 플랫폼' 구축

  • 3. 진료과목[편집]

    48개 진료과, 15개소 암센터, 13개소 전문센터, 48개 클리닉을 운영한다.

    진료과

    [ 펼치기 · 접기 ]

    가정의학과

    간이식및간담도외과

    감염내과

    갑상선내분비외과

    구강악안면외과

    급성기일반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대장항문외과

    류마티스내과

    마취통증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외과

    소아치과

    소아청소년과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신경과

    신경외과

    신장내과

    안과

    알레르기내과

    영상의학과

    외상외과[6]

    위장관외과

    유방외과

    응급의학과

    응급중환자외과

    이비인후과

    이식혈관외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종양혈액내과

    직업환경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치과교정과

    치과보존과

    치과보철과

    췌담도외과

    치주과

    피부과

    핵의학과

    호흡기내과

    흉부외과

    암센터

    [ 펼치기 · 접기 ]

    간암센터

    갑상선암센터

    뇌종양센터

    대장암센터

    두경부암센터

    복막암센터

    부인암센터

    비뇨기암센터

    식도암센터

    암통합지지센터

    완화의료센터

    위암센터

    유방암센터

    췌장담도암센터

    폐암센터

    전문센터

    [ 펼치기 · 접기 ]

    감마나이프센터

    골관절염특화센터

    뇌졸중센터

    사경센터

    소아청소년성장비만센터

    수면센터

    스포츠의학센터

    심혈관센터

    아주난청센터

    장기이식센터

    췌장-담도센터

    파킨슨센터

    희귀질환센터

    전문클리닉

    [ 펼치기 · 접기 ]

    가임력보존클리닉

    골프클리닉

    공황장애클리닉

    관절염클리닉

    금연클리닉

    기억력장애클리닉

    뇌졸중혈관내수술클리닉

    뇌하수체클리닉

    다한증클리닉

    당뇨발클리닉

    루푸스클리닉

    마음건강클리닉

    면역요법클리닉

    불임및습관성유산클리닉

    비만대사수술클리닉

    비만클리닉

    여성성건강클리닉

    식도·위·배변기능이상클리닉

    신경통증클리닉

    악안면기형재건클리닉

    악안면수술교정클리닉

    암생존자통합지지클리닉

    암유전자맞춤클리닉

    암유전클리닉

    암재활클리닉

    암평생건강클리닉

    어지럼증클리닉

    여행자예방접종클리닉

    예쁜치매클리닉

    오십견클리닉

    요실금클리닉

    위장관협착클리닉

    유전학클리닉

    음성클리닉

    의안클리닉

    임플란트클리닉

    젊은유방암클리닉

    점막하종양클리닉

    족부클리닉

    탈장클리닉

    턱관절클리닉

    피부암통합클리닉

    하지정맥류클리닉

    학습발달클리닉

    항암피부클리닉

    장애인치과클리닉

    코골이및수면무호흡클리닉

    흉터클리닉

    4. 시설안내[편집]

    4.1. 본관[편집]

    R

    헬리포트

    6-13F

    병동, 뇌졸중집중치료실, 뇌파검사실, 뇌혈류검사실, 병동재활치료실, 완화의료병동, 이식병동

    5F

    병동, 신경계집중치료실A, 내과계집중치료실, 운영부서

    4F

    병동, 신생아실, 신생아집중치료실, 분만실, 수술준비실, 운영부서

    3F(웰빙센터BR, 별관BR)

    심혈관센터, 순환기내과, 심장·혈관외과, 갑상선암센터, 내분비센터, 갑상선외과, 내분비대사내과, 이비인후과, 아주난청센터, 두경부암센터, 신장내과, 이식혈관외과·장기이식상담실, 이비인후과, 아주난청센터, 두경부암센터, 심장기능검사실, 심도자실, 언어치료실·음성검사실, 수술실, 심혈관계집중치료실, 외과계집중치료실(A, B), 통원수술실·안정실, 마취회복실, 뇌혈관조영실, 영양상담실, 교육수련부, 전공의협의회

    2F(응급의료센터BR)

    소화기병센터, 감염내과, 외상외과, 응급중환자외과, 위암센터, 위장관외과, 대장암센터, 대장항문외과, 췌장담도센터, 최담도외과, 소화기내과, 간센터·간암센터, 간이식 및 간담도외과, 폐센터·폐암센터, 식도암센터, 호흡기내과, 흉부외과, 호흡기능검사실, 유방암센터, 유방외과, 부인암센터, 복막암센터, 산부인과, 임신환상담실, 체외수정실, 종양혈액내과, 소화기검사실, 내분비검사실, 신경통증클리닉, 신경통증치료실, 주사실·성분수혈실·골수검사실, 진단검사의학과, 채혈실, 헌혈실·헌혈은행, 완화의료센터, 병리과,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 다학제통합진료실, 일반촬영실

    1F

    통합검사실, 수유실, 신경과, 신경외과, 뇌종양센터, 골관절염특화센터,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파킨슨센터, 신경과, 신경외과, 영상의학과, 응급의료센터, 고객상담실, 진료협력센터, 원내약국, 치과병원(별관)

    L

    고객안내센터, 접수·회수처, 사본발급센터, 원무과, 입퇴원창구처, 할리스

    M

    주차장, 정류장

    B1(P, 별관·웰빙센터·외상센터 연결)

    주차장, 약제팀·병동약국, 임상시험약국, 방사선종양학과, 핵의학과, MRI실, PET영상실, 감마나이트센터, 신경계검사실, 임상시험센터, 교직원식당, 아주홀, 수석홀, 대강당, 소강당(1·2·3), 보건의료정보팀, 사회사업팀, 보험팀, 영양팀, 구매관리팀, 중앙공급실, 중앙창고

    대학병원 의료기, 델라코트, 그로서란트, 세븐일레븐, 버거킹, 바르다 김선생, 파리바게뜨, 퀴즈노스, 공차, 아주좋은과일

    B2(P)

    주차장, 인체유전체자원센터, 지역의약품안전센터, 가정간호센터, 수치료실, 의용공학팀, 장기기증상담실, 기독교원목실, 천주교원목실, 불교법당, 자원봉사자실, 미용봉사실, 우편물수발실, 빨래방, 신협

    B3(P)

    주차장, 카센터

    치과병원, 웰빙센터, 별관 2개가 연결되는 구조다.

    4.2. 웰빙센터[편집]

    6F

    아주스포츠의학센터, 체력검진실, 기능검진 검사실, 아주푸른공간 ,웰빙센터회의실

    4-5F

    건강증진센터(종합·국가 건강검진), 작업환경의학과·작업환경측정 분석실

    3F(본관BR)

    피부과, 성형외과, 안과, 수면센터, MRI·CT검사실, 소아진정치료실, 안과검사실, 코기능검사실, 원무팀, 본관통로

    2F

    정신건강의학과, 소아청소년과, 소아외과, 가정의학과, 소아재활의학과, 소아청소년성장비만센터, 사경센터, 웰빙주사실, 숭류실, 유전학클리닉, 학습발달클리닉

    1F

    비뇨의학과, 류마티스내과, 알래르기내과, 알레르기검사실, 비뇨기암센터, 통합검사실, 웰빙센터약국, 국제진료센터

    L

    안내소, 원무과

    B1(본관연결)

    KB국민은행, 어허랑죽, 겐지야, 슬립앤슬립, 비틀주스, 이브케어, 아주밝은안경

    4.3. 외상센터[편집]

    4-5F

    외상병동

    3F

    외상수술실

    2F

    외상집중치료실B, 외상집중치료실C

    1F

    외상환자진료구역, 외상소생실, 외상집중치료실A, 일반촬영실·CT촬영실, 혈관조영실

    4.4. 응급의료센터[편집]

    4F

    응급병동

    3F

    응급집중치료실, 마취통증의학과

    2F(본관BR)

    혈액투석실, 신경계집중치료실B

    1F

    격리구역, 중증응급구역, 일반응급구역, 소아중증응급구역, 소아응급구역, 응급방사선실·CT실, 초진구역, 환자분류소, 보호자대기실, 원무과

    4.5. 해바라기센터[편집]

    G

    대기실, 상담실, 관찰실, 치료실, 심리평가·진료실, 안정실, 진술녹화실, 산부인과진료실, 회의실, 모니터실

    5. 여담[편집]

    • 아주대학교병원 본관 지하2층에 있는 기독교 원목실은 기독교한국침례회 소속 수원중앙침례교회의 지교회이다. 원목도 수원중앙침례교회의 부목사들이 돌아가면서 방문한다.

    • 불교 원목실은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이다.

    [1] 2월 26일 취임[2] 알레르기내과 교수[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06. 입원병실 기준[4] 수원시가 영통지구에 대형종합병원을 유치하기 위해 을지대에 2007년경 매각한 부지다. 영통지구 조성 후 병원 부지의 매각이 지지부진하자 토지공사(현 LH)는 병원 부지를 타 용도로 변경할려고 했었고, 그 후 복지부가 계획한 국립교통재활병원의 부지로도 꼽혔으나, 수원시의 강력한 반대로 결국 땅값을 낮추면서 까지 을지대에 매각하면서 대형종합병원을 유치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이렇게 매각한 땅을 을지대는 병원 설립 계획을 중지 상태로 있더니 2015년에 의정부에 병원을 건설을 시작했다.[5] 연세대학교와 세브란스병원, 가톨릭대학교와 가톨릭중앙의료원의 경우와 같이 동일 조직이면서도 별도의 경영조직을 갖추는 것은 일반적이다. 또한 국립대학들도 대학과는 별도의 법인으로써 병원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