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 배관 수명 - alluminyum baegwan sumyeong

더운 여름을 준비하며 에어컨을 장만했습니다.
발품도 많이 팔고 열심히 검색도 하여 결국 엘지 에어컨을 구입했습니다.
가전제품은 엘지라는 말을 신뢰하며...
그리고 설치를 했는데 일단 시원하게 잘 작동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엘지는 배관을 동관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요즘은 알루미늄관도 많이 사용하는데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치 기사님께 여쭤보니 간단명료하게 대답하시더라구요.
"비용 때문이죠!"

즉 동관보다 알루미늄관이 더 저렴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엘지는 동관을 사용한다고 하시더라구요.
역쉬 엘지!

확실히 동관이 알루미늄관보다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저희 집이 좀 실내기와 실외기 거리가 길어서 배관 연장을 했는데 동관은 연결하고 불로 확~ 지지니까 끝나더라구요ㅎ

요즘은 대부분 스탠드 에어컨은 8미터, 벽걸이 에어컨은 5미터 배관이 무료로 제공 되더라구요.
기본설치 비용이 무료인지 꼭 확인하세요!
그리고 너무 싸다고 생각되는 곳은 꼭 전화해서 물어보세요.
실외기도 포함인지, 기본 설치 비용이 무료인지.

저도 한 번 낚었거든요.

저희 집은 배관을 3미터 정도 연장했는데 추가 비용은 미터당 18,000원 해서 5만 4,000원 정도 들었습니다ㅎㅎ
그래도 저렴하게 들었어요ㅎ

다들 에어컨  배관이 동관인지 알루미늄관인지 확인해보시고 연장 가격, 기본설치 내용과 비용 등을 꼭 확인해보시고 에어컨을 설치하세요^^

5년 전 삼성 무풍 에어컨 구매했는데요. 3년 후 가스 샌다고 해서 배관 부품 교체하고 가스 충전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또 가스가 없다고 에러코드 떠서 삼성 a/s 기사 다녀갔는데

가스가 다 빠져 하나도 없다며.. 

(누수에 대한 제대로 된 점검 없이 육안으로만 보시고) 벽걸이 에어컨과 연결된 배관 색상이

아예 변색 됐다며 배관을 새로 교체해야 된다고 하네요.

기존 배관이 알루미늄 배관이라 수명이 5년 정도이고요. 

배관 교체도 전체가 아니고 매립 배관도 아닌데..벽걸이 쪽만 해서 30만 원이고요.

이제 5년 된 에어컨인데 벌써 배관이 노후되 교체할 정도면 처음부터 설치나 자재 불량일 경우는 없나요?

대부분 설치만 잘되면 10년이 넘어도 누수도 없고 가스 충전 안 하고 잘 쓴다는데 

삼성 에어컨 쓰시는 분들 다른 분들은 배관 문제 없이 잘 쓰시나요?

기타 전자기기 에어컨 설치시 사기 당하지 않으려면 22

5

요즘 삼성은 100%알루미늄관 다른 회사는 선택 가능하게 해준다는데 문제는 알루미늄 관으로 설치해 놓고 동관 가격을 받는다는 거에요.

알루미늄관이라고 특별히 문제 될 것은 없다지만 연아의 에어컨이라 불뤼던 삼성 에어컨 폭발 사건은 100% 알루미늄 관 때문에 생긴 문제였습니다.

당시 설치 기사들이 삼성 에어컨 설치하다가 죽을 수도 있겠다 싶어서 설치를 꺼리는 일도 다반사였다는데

요즘은 기술로 보완해서 많이 나아졌다고는 하나 원가절감으로 인한 가격 인하 분은 고스란히 업체만 가져갑니다.

문제는 알루미늄 관이라 해도 시작 부분은 동으로 용접을 해놔서 일반 소비자는 이게 동관인지 알루미늄관인지 뜯어보기 전 까진, 아니 뜯어봐도 모릅니다.

http://blog.naver.com/sugli/220589959621

위의 블로그로 가보시면 동관과 알루미늄관 비교해놨는데 구별이 쉽지는 않네요.

그래서 설치시 구리관인지 알루미늄 관인지 따져보시고 구리관으로 하셨다면 나중에 AS를 위해 구리관으로 했다는 확인증이라도 받아두세요.

나중에 뜯어보니 시작만 동관이고 나머지가 알루미늄인데 동관 가격을 지불하셨다면 증빙이 필요하니까요.

아래 링크는 삼성전자 측의 알루미늄 관에 대한 장점 설명입니다.

http://www.samsungsvc.co.kr/online/diagnosisgoVw.do?domainId=NODE0000033866&node_Id=NODE0000145449&kb_Id=KNOW0000026406

심지어 삼성은 동관과 알루미늄관 접합부의 부식에 대해 이미 잘 알고 있습니다.

http://www.dailycnc.com/bbs/download.php?table=bbs_9&idxno=6765_2391&file_extension=hwp&filename=%BB%EF%BC%BA%C0%FC%C0%DA+%BF%A1%BE%EE%C4%C1+%B3%BB+%B5%BF%B0%FC%B0%FA+%BE%CB%B7%E7%B9%CC%B4%BD%B0%FC+%C1%A2%C7%D5%BA%CE+%BA%CE%BD%C4.hwp

자기들 한텐 장점이지 솔직히 그냥 구리관으로만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안전과 내구성이 우선이지 알루미늄으로 해서 소비자에게 좋을 건 별로 없고 업체들만 호황이네요.

삼성이나 엘지나 고장글 올라오는 글들이 많은 이유는

그만큼 판매율이 많아서 인것 같고요.[제생각]
실제 결함에 따른 고장도 있겠지요.

iot 아시다 시피 한쪽 브랜드로 가야 조작이나 앱 사용 통일에 대한 편의성부분 그래서 엘지나 삼성 쪽으로....가는것 같습니다. 뭐 신혼 부부들 가전 세팅할때 비스포크vs오브제냐 갈리기도 하니까요.

엘지삼성은 IOT기기 와이파이나 스마트폰
어플이 접목이 잘된 케이스... 스마트폰 만든 회사라 그런지

기능 면에서도 타업체보다 많아요. 예를들어.
공기제균 이오나이져 이온아이져 spi.uv-c.헤파필터.진짜 자동용 청소용 솔 이동하여 청소

나 전기 살균수 만들어서 열교환기 세척
등등 라이팅 무드등...

리모콘도 예쁘고...빅스비나 음성지원 등등..

뭐 다 필요없고 냉방만 잘되믄 땡... 하면
캐리어 이런걸로 많이 쓰시던거 같습니다.

아무튼 전자기기 부가 기능이 많이 들어가서 고장이 늘어날 확률도 있고.

이쁘고 기능에.혹할 제품들은 확실히 엘지나 삼성이 잘뽑아주고 있네요.

그리고 인버터도 가변구간 3단 짜리인지 2단짜리 차이도 있고.[차량 기어단수 처럼]

컴프레셔나 모터는 엘지가 좋다는 인식은 우세
[구형 금성 에어컨 금색 열교환기 보면 참 자재에 아낌없이 넣었구나 생각도 들고]

디자인[개취이긴 하나 비스포크 내놓고 엘지가 오브제 내놓으니]이나 iot 소프트 쪽은 삼성? 뭐 둘다 또이또이 인것 같긴 하나 ^^

그냥 제 생각입니다.

에어컨은 시원하고. 조작 하기 편하며 이쁘고.
전기 덜먹고. 분해조립이 쉬워야 되며 가격이 싸면 [내구성도 포함]장땡입니다.

근데.그런 제품들은 없죠.^^ 기능이 좋아지면 비싸지기 마련 기능이 많으면 잔고장이 많을 확률이 늘어나는... 기능이 없으면 잔고장은 줄고 그러나 디자인은 떨어지고 IOT 기능관련은 없거나....

^^

근데 말이죠 팩트는... 요즘 에어컨 너무나 비싸요....

호화 찬란한 기능들 너무 좋은데... 기능대비 너무 비싸요..

한마디 하고 싶은건 가격은 왜 그리 비싼데 열교환기
코팅이나 재료는 왜 거꿀로 가냐고!!! 한마디 해주고 싶네요.

에어컨 이야기

에어컨 설치자재로 쓰이고 있는 동관 및 알루미늄배관에 관한 소박한이야기

​에어컨설치배관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문뜩 이런 문구가 생각이 나는군요, 초록은 동색이고 가재는 게편이라고요 ㅎㅎ 위의 문구의 어원를 찾아보니 춘향전에서 춘향이가  암행어사로 나온 이몽룡에게 한 말이라고 하네요  사또의 청을  들을수 없다고 하니 그럼 나는 지나가는 어사이다 내 청마저도 거절하겠느냐? 이말에 춘향이는 초록은 동색이요 가재는 게편이라더니 양반들은 다 동일한가 보옵니다. 차라리 내 목을 베시오 (무섭당 ㅎㅎㅎ)

서로 비슷한 것끼리 한편이 되어 사정을 봐준다는 뜻이고요 사정이나 형편이 전혀 다른 사람끼리는 서로 어울리기가 어렵다는 뜻도 있다고 합니다. 유식한 말로 유유상종이라고 해야하나요 ㅎㅎㅎ

동색이라고 해서 동관과 비슷한 색상인지 알고 잠시 믿음이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았네요.ㅎㅎ  각설하고요 에어컨동관과 에어컨 알류미늄배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

동관은 열과 전기의 양도체로 가공이 용이하며 내식성이 우수하고 마찰저항이 적다는 장점이 있어 냉난방기 배관 및  열교환기 압력계관 , 급수관 , 급탕관 급유관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면 이음매가 없는 동관과 탈산동관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답니다.

위의 사진를 보시면 이음매없는 인탈산동으로 영어로는 PAN COIL 동관이라고 합니다. 국산말로는 연질동관이네요 현장에서는 롤관 또는 연관이라고 부르고 있답니다. 사진상에 보이고 있는 녀석은 한롤당 15M이고요  가정용에어컨설치시 사용되는 배관입니다 

아참  에어컨 , 냉동 , 냉장쪽 관련기술용어를 알려면요 일본말도 알아야 하지 미국말도 알아야 하지 거기에 현장에서 쓰는 현장용어도 알아야 하지 도대체가 몇개 국어를 알아야  하는지 믿음이 아주 미칠지경입니다.ㅠㅠ

알루미늄 배관 수명 - alluminyum baegwan sumyeong
 

사진상 보이고 있는 녀석은 중대형 에어컨설치시에 사용되는 배관이랍니다. 무게가 장난이 아니예요, ㅠㅠ 아참 이음매가 없다는 것은 배관을 이어쓰지 않고 기계를 활용하여 에어컨동관 제작시에 한번에 뽑아 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동관자체에서는 가스누설이 거의 없는편인데요, 간혹 로또동관를 만나면 생산공정불량으로 누설되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 (천만다행이 믿음은 그런 진상 동관를 현재까지는 만나지 않아답니다.ㅎㅎㅎ)
 ​

새색시 처럼 하얀옷을 이쁘게 입고 있는 사진이 있네요,  하얀 옷을 입지 않는 부분은 분명  동관이고 그와의 짝궁인 후레아너트가 보이고 있습니다.

하얀옷을 살포시 벗겨주니 엄마야  동관이 아니고 동관을 가장한 에어컨알루미늄배관이었네요, 우씨 ㅋㅋㅋ 말풍선에 표시된 부분있죠, 동관과 알루미늄의 경계부분이랍니다. 

알루미늄을 제작하는 공장에서만 용접할수 있고요 에어컨설치현장에서는 어떻게 용접할수도 없습니다. 가스누설이 되면 저 부분에서 많이 누설됩니다. 

쉽게 에어컨이 가동시에는 배관에 열이 전달되어 고압은 뜨거워지고 저압은 차가워집니다. 하지만 에어컨가동이 중단되면 배관온도도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이것이 계속 반복되면서 배관피로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즉 스트레스라고 해야겠네요, 그래서 가장 약한부분으로 가스누설이 되는것입니다.  

그리고 에어컨설치할때는 알루미늄배관이 동관에 비해 신축성이 좋아 나름 편하게 설치할수 있답니다. 하지만 양심있는 설치자라면 매립배관이나 천정매립배관의 경우 무조건 동관을 사용합니다. (개인적인 소견이지만 가급적 동관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듯 싶습니다)

알루미늄배관은 내구성(수명)을 장담할수가 없기때문입니다. 에어컨설치이후에 가스누설되었다고 하여 방문하여 체크하여 보니 설치자 과실이 아니고 순수 알루미늄배관쪽에서 발생 되었다면 아주 미치죠  ㅠㅠ 

알루미늄 배관 수명 - alluminyum baegwan sumyeong

동관은 알루미늄배관에 비해서 신축성이 떨어지는 관계로 에어컨설치 환경상 심하게 동관을 꺽어야 할때 동관안에 스프링을 넣어서 작업을 하면  동관이 꺽이는 것이 방지됩니다.  

검은색으로 생긴 녀석은 발포 고무 보온재이네요 냉난방에어컨설치할때 배관에다가 이쁘게 입혀주는것입니다.  아참 신규 냉난방에어컨 설치시 제조사에서 지급되는 배관은 동관이랍니다. 냉방만 사용하는 에어컨의  경우 알루미늄배관입니다.

난방사용시 에어컨배관에서 받는압력이 여름한철만 사용하는 에어컨과 비교시 거의 2배정도의 압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론적인 설명은 생략합니다. 이것 이해하려고 지가 머리에서 지진이 ㅠㅠ) 

.

CD관 또는 전선관이라고 해서요 에어컨전선를 보호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동관에 다가 발포고무 보온재를 입혀주고 CD전선관 넣고 마감테이프로 감아주면 이런 모습이 됩니다. 

사진상 보이고 있는 녀석은  고무발포테이프라고 해서요  배관을 단단하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물론 마감테이프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말풍선에 표시된 것처럼 케이블타이를 활용하여 고정시켜 주면 절대 안됩니다. 고무발포보온재는 항아리 처럼 숨이 쉬고 있는데요, 저렇게 감아주시면 숨을 제대로 쉴수가 없어 그 사이로 결로가 발생되어 물이 떨어질수 있답니다.

마감테이프 또는 고무발포테이프로 엄마가 이세상에 하나뿐인 없는 자녀 대하듯이 조심스럽게 살살 감아주어야  되어요 ^^


직관이고요 경질이라고도 말합니다.  한본당 6M인데요,  요즈음 상가쪽에서는 노출천정를 선호하는 추세라서 직관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네요, 이녀석 사용하면 각이요 아주 예술이랍니다. ㅎㅎ

알루미늄 배관 수명 - alluminyum baegwan sumyeong

다만 한가지 문제점은 용접부위가 많이 발생되어서  동관내부에 이물질등이 발생 될수가 있다는점이  단점입니다.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이해할수 있답니다.

동관용접(브레이징)시 질소를 활용하여 동관내부에 이물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자없고 최상의 에어컨성능을 발휘할수 있답니다.

알루미늄배관 및 동관 동영상 소개하면서 포스팅 마무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