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성 중음 어떻게 - bangaseong jung-eum eotteohge

�ݰ����̶��� ������ �μ����ٰ� �����߳Ĵ��� ������ â���̳Ĵ��� �׷����� �����ϴ�.
�׷��� ���������ʰ� �� ���ڽ��ϴ�.(������, ���� ��������, Ʈ���̳ʵ� �ƴ� �׳� �����غ���
�ٵ� �߸��Դϴ�. �׻�)
�ݰ����� �վ��ٴ� �����Ͽ� ���� ���ڽ��ϴ�.
(�� ���̵𸻰� �ٸ� ���̵� ������ �Ծ��µ�, �ε����ϰ� ���� ô�Ϸ��ٰ� �ٽ� ���ƿ����Ƿ� ���ϴ�)

�ݰ����� ���� �߿��Ѱ� ����/���� 2���Դϴ�.
�ݰ����� ���� ������ (���� ������ ��1�� ó�� �վ�� �׶� ������ ����� ���ҽ��ϴ�.
3��Ÿ�� ����� �ö󰬽��ϴ� (�������� �ö󰣰Ű� ������ ������, ����� 3��Ÿ�� ��
������ ����� ������ F���� �ö󰡳׿�, ��� �����). �ٵ� ���� �������ٰ� ó���� ������ �� �ֽ��ϴ�.
���� �׷����ϱ��. ���� �� '���ȣ �뷡 �������Ѵ�!'�̷� ��û���� ū ���θ� ������ �־���.
�ٵ�, ������ ���� ���� �ƴϿ����ϴ�. �׳� ���� ����� �Ҹ�����. ��, ��Ÿ�길 ���ٰ� ������ �ƴ϶�
���踦 �ϳ��ϳ� ���� �� �־�� �մϴ�. ���� ���, 1���������ļֶ��(�̰� ��������)
2���������ļֶ�ñ����� �����մϴ�. �ó� �� ���Ⱑ ���絥 ������ �մϴ�. ������
3�������� <<- �̺κ��� �ȳ�������. ��, ������ ���ϴ�.(������ ��ٰ��� �մϴ�) �װ� ���� ū
�����߿� �ϳ�������. (������ ������ ��� ������ ����) �ƹ�ư �ٽ� �������� ����
������ �������ٰ� �������� �ƴմϴ�. �� ������� �׻� �ְ� �Ǵ� �������� �����ؾ� �ϱ� ������
�ݰ����̶��� ���� ���ٸ� ���� ���������ų� �������� �� �־���. �׷��� �׻� ���̳� �׷���
��� �뷡���� ���ų� �ű⼭ �����ؼ� ���ð� �׷����ϴ�.
������ �ְ� ���� �������� ������ ���������� �Ͽ��� ������ ������ ������ �߽��ϴ�.
3����~��~��~�� (�̵� ����ϰ� 됬�����ɷ� ���), ���ݵ� ���� 3�������̰� ����ϴ�.
�̴� ���Ⱑ ������� ������������ ������ ����ϴ�.
�ƹ�ư ������ �����ϴ� ���� ���� ����ϴ�. �ݰ����� �̻�����. �������� �߼��̶��
�Ʒ� �������� �������� �ø��µ�, �ݰ����� ���������� �������� ������ ��ϱ��.

��, ������ ���� ���� ����ϴ�. ���� ����� �Ҹ� �󸶳� ��� ������ �ƽ���?
������ 3oct F ���� �Ǹ� ������ó�� �鸳�ϴ�. �̰Ŵ� ���ڳ� ���ڳ� ��� �������̰� �����غ��Դϴ�.
�׷���, �������� �������� ������ �������� ������ �ִٴ� �����Ͽ� ������ �ǰ��̱���.
������ �̻��ϴٸ� ������ �ö󰡵� �ű⼭ ĿƮ�Դϴ�... ���̿���...
�ƹ�ư �����ٵ��� ���� ��ƽ��ϴ�... ���� ���ž��ؿ�. ���� ���
���� ���ȣ���� Shout ��� ���� ī���Ϸ��� 100�� 200���� �ҷ��ý��ϴ�. �������� �뷡�濡����
(�̻��ϰ� �������� ���� �� ���� �ʹ� ���� �뷡�濡�� 2���ۿ� �� �ҷ����ϴ�)
�׸��� �� ���(���� 200�� ��� �����߾���) ������� ������ �������� �߽��ϴ�. ù��° �����Ҷ�
�ߴ� ��Ҹ��� �������� �����ߴ� ��Ҹ��� �񱳸� �غô��� ����̴��󱸿�...
�׸�ŭ �ٲ�����ϴ�. ����ϸ� �ȴٴ��� ����̿���. �׸��� ��ũ�ν� Don't cry�� ���������µ�
�� ���� ���ݵ� ����ϴ�... 3��Ÿ�� �������� �ְ� �װ͵� ��� ����� �ؼ� �� �� ���ݿ� ��������
���̺극�̼DZ��� �־�� �ؼ�... ���̶���Ʈ �κ��� �� ���� ����� �����϶� �Ѱ����Դϴ�.
�� ��Ҹ��� �׸��ΰ� ������ �ٵ������� ������ �ʼ��Դϴ�. �ڱⰡ ��� �Ҹ��� ���� ��� �ڱ� ��Ҹ���
������ Ʋ���ϴ�(���� ������ ����ôµ� �������� �ܰ��� �̿��� �� ���̿��µ� ����� ��������ġ).
�׷��Ƿ� ������ �ʼ��� ���� �ҷ����� �մϴ�. ���� �ݰ������� �� �� �ִ� �������� �뷡�� �ִ���
���� �ҷ�������.

�׸��� ������ �ϳ�,

�ݰ��� ������ ����������. ���� ��ȸ���ΰ�, �������̶��ſ� �ɷ��� �ݰ����ݰ��� ���� ������
�ߴ� ����Դϴ�. �����б��� ���� ���鿡�Ե� (�� ������ �̼��ε� ���ȣ�� ���� Ÿ���̿����.
�Ŀ� �μ�...��ũ��ġ... ������ ���밡����) ���ɱ��� �߾��� ������ �־��µ� ���� �����ϴ�
3��Ÿ�� F�� A�� ������ ������ �ƴ϶� ���ʺ��� ��������, ��Ÿ�� ���̿� �����ϱⰡ �Ⱦ������ϴ�.
����ȣ���̴� ���� �뷡�� �߼��� �߿��� ���� ��������... ���� ��ɳ������� 1�� �ϴٺ��� �������
100�̶�°� �ƽ���? ����ȣ���� ��� �� ó��... ó������ 50�� �Ϸ����� ���ʽÿ�... �װ� ���� �����̴ϴ�.
�׸��� �ڽŰ��� ��������. �׻�.

�� �׸��� ������ �Ű澲�� ������. ���� �������� �̷а� �̹��� Ʈ���̴׿� ���� �� ������
���� �뷡�Ҷ� ���� ���� ������ ����������
(���� ��� �������ε� '���⼭ ���� �������!' �̷��� ���� '������! �� �� �� �־�!'�̷� ���ε�)

반가성 중음 어떻게 - bangaseong jung-eum eotteohge
반가성 중음 어떻게 - bangaseong jung-eum eotteohge
반가성 중음 어떻게 - bangaseong jung-eum eotteohge
반가성 중음 어떻게 - bangaseong jung-eum eotteohge
반가성 중음 어떻게 - bangaseong jung-eum eotteohge
반가성 중음 어떻게 - bangaseong jung-eum eotteohge

���o : 0��

창법,육성에 대해서.. ( 노래 잘부르고 싶은사람 클릭~!)

김경훈 2007.08.10 16:34 조회545

변성기시라 하면 ㅋ 무리하신 연습은 피하시기 바랍니다

박경립 됩니다;

변성기때 할수 있는 연습은.. 복식호흡정도 되겠네요 ㅋ

복식호흡으로 얻을수 있는 효과는요, 일단 노래를 부를때 목에 가는 힘을

배쪽으로 끌어내림으로 인해 목에 들어가는 힘을 덜수 있다는 점입니다.

복식호흡 잘되있으신분이 복식호흡 안하신 분보다, 훨씬 음을 내시는데

안정적이시고, 목에 힘이 안들어 가기 때문에 여러곡의 노래를 불러도
목이 잘 가지 안쵸

변성기가 지나시면 본격적으로 노래 연습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발성의 가장 기초 되는 것이 육성 입니다.

육성. 말그대로 몸의 소리 즉 님의 원래 목소리를 말하는 겁니다.

말할때의 목소리 있죠? 그게 육성 입니다 ㅋ

육성을 키우는 방법은 육성노가다라는 방법이 있습니다

육성노가다는 자신의 음역보다 한음정도 높은 음역의 노래를 부르면서

육성을 차츰차츰 키워가는 겁니다. 이런식으로 해서 육성을 키우시면 됩니다.

ps.육성을 키우시는것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보통 육성을 키우시기 전에 미리 창법을 배우시는 분들이 있으신데, 그렇게 해서 창법을 익히셨다고 해도 제대로된 창법을 구사하실수는 없으실 겁니다. 육성은 앞에서도 말했듯이 발성의 가장 기초되는 소리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육성을 하지안고 창법으로 빠진다면 진정한 노래 고수가 되기는 힘듭니다.

자 ㅋ 두번째 단계인 육성을 마스터 하셨다면 이제 세번째 단계인 창법을 익혀야 합니다 ㅋ

창법이란 노래를 부르는 방법인데요, 창법을 구분짓는 방법은 공명정(울리는부분)이 되겠습니다.

창법의 종류에는 가성,두성,흉성,반가성,비성 등이 있습니다.

가성부터 설명하도록 하죠

가성, 가짜소리라는 뜻이죠, 가성은 목소리가 상당히 얇고 높다는 게 특징이죠

하지만, 가성은 솔직히 창법이라고 하기도 조금 그렇습니다 ㅋ

가성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부르는 노래는 드물거든요, 가성은 그냥 육성으로 메꾸기에는 어려운 부분을 올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부분부분 사용된다는 것이죠,

하지만 가성을 잘 익혀노면 노래를 부를때 ㅋ 멋잇겠죠? 가성곡으로는 이기찬님의 고백하는날 등이 있습니다.

두번째 ㅋ 흉성입니다.

흉성은 말 자체에서도 알수 있듯이 가슴의 소리 입니다. 즉 가슴이 공명점이 되서 나는 소리라는 것이죠

흉성의 특징은 목소리가 남성스럽다는 것입니다. 상당히 굴어지죠, 하지만 흉성은 음색을 변환시키는 것이지 음역을 높히는 창법은 아닙니다.

대표적인 흉성 가수로는 플라이투더스카이의 환희님이 있습니다.

두성, 두성은 머리를 울려 내는 소리입니다.

이 창법은 상당히 구사하기가 까다로운 창법입니다.

두성을 제대로 익히기 위해서는 보통 1~2년은 걸립니다.

보통분들중에 두성쓰시는분; 드물겁니다. 하지만 익히기 어려운만큼 상당히 좋은 창법이죠

음역도 높게 올릴수 있고 목소리도 안정적이고.

하지만 익히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ㅋ

다음은 반가성 입니다.
반가성의 장점은 단기간내에 익힐수 있고, 음역의 상승도 상당히 크다는 점입니다.

보통 노래방에서 좀 논다 라고 하시는 분들은 반가성을 쓰실 겁니다.

하지만 반가성은 요즘 참 논란이 많은 창법이죠;

중음이 빈다는 등, 음색이 너무 싼티가 난다는등 ㅋ

하지만 기초부터 차근차근 밝아 나가셨다면 반가성도 그리 나쁜 창법만은 아닙니다.

개인적으로는 반가성을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반가성을 익히는 방법은 당기기(육성으로 음을 쭉 뽑으면서 공명점을 코쪽으로 상승시켜 줍니다. 그러면 공명점 상승에 따라 자연스럽게 음이 올라가겠지요, 음이 올라가면 자신의 육성한게점에 다다를 것입니다. 그러면 가성으로 빠지게 되는데, 육성에서 가성으로 빠지기 전에 육성도 아니고 가성도 아닌 소리가 날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반가성 입니다)를 통해서 감을 잡을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반가성 가수에는 임창정씨와 최재훈 씨가 있습니다 ㅋ

마지막 ㅋ 비성입니다

비성은 공명점이 코에 있습니다. 비성 역시 음역을 상승시키는 역할보다는 음색을 변화시키는 역할이 큽니다. 비성을 익히는 방법은, 예~ 써라는 발성을 통해서 합니다. 처음에 예 라는 발음을 하다가 써 라는 발음을 하게되면 이 써라는 음이 바로 비성입니다.

대표적인 비성 가수로는 강타씨, 성시경 씨가 있습니다.

위에 창법들 중에서 한가지를 익히셨다면 ㅋ

이제 마지막 ㅋ 음악에 감칠맛을 돋궈야 겠죠? ㅋ

바로 바이브레이션 입니다 ㅋ

바이브레이션은 음을 떨어줌으로 인해서 음악을 더욱더 멋~잇게 만들어 주는것을 말합니다 ㅋ

바이브레이션에는 성대바이브레이션,턱바이브레이션, 흉식바이브레이션이 있습니다

성대바이브레이션부터 설명해 드리죠
성대 바이브레이션은 성대를 떨어저누느 바이브레이션 입니다.

보통 발라드 계열에선 이 바이브를 씁니다. 성대 바이브레이션을 익히는 방법은 성대 내리기라는 것을 함으로써 익힙니다. 성대 내리기란, 자신이 보통 말하는 음역(안녕하세요 라는 말을 해보세요)의 음을 쭉 끌어주다가 자신이 낼수잇는 가장 낮은음을 내주는 겁니다.

아↑~~~~아 ↓~~~

이런식이 되겟지요 ㅋ 이것을 반복해주는것이 성대바이브입니다

두번째는 턱바이브레이션입니다.

턱바이브레이션은 그냥 성대 바이브와 한 묶음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턱으로만 바이브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입니다. ㅋ 턱바이브레이션은
성대바이브레이션의 느낌을 한층더 살리기 위해서 성대바이브를 함과 동시에 턱을 흔들어 주는것을 말합니다. 그러키에 성대바이브를 쓰시면서 함게 사용하여 주심이 바람직 하겠죠

흉식바이브레이션은 주로 락 계열에서 많이 사용되는 바이브 입니다.

흉식바이브레이션은 호흡으로 하는 바이브 레이션 입니다. 응이라는 발음을 잡으신 다음에 명치쪽을 튕겨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서 응~응~응~응~ 이런식으로 내주시면 되구요, 이것을 노래에 적용하시면 됩니다.

자~ 긴 글이 다 끝나가네요 ㅋ
마지막으로 정리 해드리겠습니다 ㅋ
복식호흡 -> 육성음 높히기 -> 창법익히기 -> 기교(바이브레이션)익히기

이순이 되겠네요 ㅋㅋ
그리고! 한가지 팁입니다 ㅋ
노래부를때는 자세도 중요합니다
한발을 앞으로 뺀다음에 몸을 앞으로 약~간만 숙여 줍니다. 이것은 음ㅇ악시간에 배운건데요 ㅋ
이러케 하면 음을 좀더 잘 낼수 있다고 합니다 ㅋ

그럼! 열심히 연습하세요! ㅋ


음 목에다가 힘을빼고 부르는법부터 익히셔야할듯;;

변성기신데다가 목에 힘주고 부르면 성대가 상할가능성이 많겠네요

일단 복식호흡 부터 배우세요

복식호흡은 음..어떻게설명해야할까 누워서 숨을쉬어보시면 배가올라가시는걸 보실수있을거에요

그런데 앉아서 쉬면 어깨가 약간 올라가죠?

누웠을때 배가올라가는걸 복식호흡이라고 합니다 앉았을__46468; 숨을 들이키신다음에 배쪽으로

보낸다고 생각하시고 숨을 보내세요 그러면 배가나오거든요?그게 일단 기초적인 복식호흡이구요

이걸 생활화하면 폐활량도좋아지고 변비예방도-_-됩니다

그리고 배에 힘을 주기 쉬워지거든요?그러면 자연스레 목에힘이빠지게되요

또 가성이라;; 가성은 노래방가면 쥐약이죠--반가성말씀하시는건가?

가성은 입천장으로 공명을 느끼시는거구요 육성은 목으로 공명을느끼는거에요

공명은 울리는건데요 가성으로부르면 높은음도 잘올라가잖아요 그게 입천장으로하니까

목은 한계가있는데 가성은 거의힘도안들고 한계도 별로못느끼잖아요

그런데 그냥 가성은 혼자 콧노래로 흥얼거리는거랑 비슷해서 노래방에서 반주가크면 마이크로 한다해도

소리가 거의안들리구요

차라리 반가성을 익히세요 반가성은 육성하고 가성하고 중간사이인데요

이거익히면 노래방에선 지존입니다-_-반가성안좋다고하시는분들도계시지만요;;

반가성익히려면 당기기만 죽어라하세요

육성에서 아~하면서 고음으로 점점올라가세요 그러면 갑자기 육성에서 가성으로올라갈때

소리가 확 바뀌는게있을거에요

그 바뀌는 소리가 거의없어지고 자연스럽게 육성에서 가성으로 넘어갈때까지연습하세요

당기기할__46468; 복식호흡중요합니다 무조건 기본은 복식호흡이니까 열심히하시구요

바이브레이션은 종류가 여러가지가있는데요 성대바이브 , 흉성바이브 , 등 잇는데요

성대는 낮은음할__46468;는좋은데 높은음이나 파워풀한노래부를__46468;는 좀 약해요

성대는 성대올리기 내리기 연습하세요 손으로 목만지면서 내려가는거랑 올라가는거 느끼시면서 소리내시

되구요 근데 성대는 한번터득하면 잘되긴하는데

흉성은 터득하기 어려워요 흉성은 저도 잘 못해서 어떻게 설명을 드릴수가업구요

흉식호흡이라.. 그건 그냥 우리가 숨쉬는게 흉식아닌가요?그런걸로알고있는데;;

아이구 얘기가 너무길어졌네 도움__46124;으면합니다;;;


지금 변성기시라면 소리를 나추시고 노래를 부르지마시고,

부르시더라도 소리를 작게 부르세요. 변성기때 목관리 잘못하면,

평생 노래 부르고싶어도 못부릅니다.

예를 들어 변성기때 노래 잘부르고 다녔던애들 보면 목소리가 다 쉽니다.

그리고 일단 목에 힘을빼고 배로 부르는 법을 익혀야합니다.

하루에 20~30분씩 복식 호흡을 하세요.

복식호흡을 하는법은, 코로 숨을쉬고 5초동안 코와 입을 막습니다.

그리고 입으로 스으 하는 발음으로 공기를 내보네세요.

이걸 15초동안 해보세요. 점점 늘려가세요. 최대 많이 하는 사람은 30초까지 된다더군요.

그리고 창법말씀이신데요.

두성을 배우고 싶으시다면 반가성은 배우지마세요. 나중에 고생하게 됩니다.

두성을 배우지않고 노래방에서만 최고가 되고 싶다면, 반가성을 익히시던지요.

반가성에는 크게 두부류가있읍니다. 하나는 상부반가성 하나는 하부반가성이지요.

하부반가성은 공명점이 목밑에 있는거구요. 상부는 당연히 목위 ^^

제가 고수가 아니라, 창법에 관한 설명은 잘못하겠는데요^^:

상부 반가성을 쓰는 얀 노래를 자주 듣고 부르신다면, 터득될수도 있어요^^

하부반가성은 쓰면 중음이 비고요, 발음도 부정확해요. 그래서 별로 추천해드리고 싶진 안네요.

이만 줄일께요^^ 너무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


노래잘하면 멋있죠 'ㅈ'
노래방가는 재미도 있고...

저도 꽤 실력이 있어서.. 박수도 받고 공짜로 노래방을 가기도 한답니다 ^^;;

근데 대부분의 분들은 대부분 기초도 안잡혀계시면서..
뭐 창법 '두성 가성 흉성 바이브레이션 등등

그런것부터 찾으시는데요..;; 잘못된 생각입니다.

한음 오래끓기는요..

비성쪽으로 올리시는게 편해요
소리를 발성하실때 중간부분에 잡고 40초 이상 끌어주시는 연습인데요..
힘을 최대한 빼시고 가볍게 유지하셔야 합니다.

노래 부르는 상태라고 생각을 하셔야해요.. 음이 유지가 안되고 힘이 들어가는건
노래 부를때도 똑같은 상황이 되지요

중음을 채우는데 도움도 약간 있구요..
고음을 오래 끄는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그전에..

여러 가수들의 노래를 듣고 따라불러보는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노래연습하시는분들... 반가성같은 것..

고음노래 막 부르곤 하시는데.. 그럼 중음이 다 빠져버립니다.
처음엔 성과가 있어서 고음이 잘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다가 재미 붙이면..
영원히 중음을 찾을수 없게 될수도 있습니다.

처음부터 고음 반가성에 빠져버리게 되면.. 육성음역이 자꾸 낮아져서 중음이 비거든요.

중음이란 육성 한계점이랑 가성 시작점 사이를 말하는데요
이 중음의 차이가 넓어져 버리면.. 육성과 가성의 조화가 이루어지기 힘들겠죠?

그러므로 고음보다는 일단 중음부터 탄탄히 만드시고..
고음을 연습하시는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게다가 중음만 제대로 잡으시면 멋진 고음을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되거든요

일단 흉성 두성 비성 같은것들 잊으시고..
한음 오래끌기는 괜찮고요.. 또 중음이 많은 노래들을 연습하시고..

안되는 부분을 반복 재생해서 들으시면서 연습하세요.
되도록이면 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차근차근 연습하세요

하루에 달아서 3시간 이상씩 일주일에 세번정도 연습하는게 낫지.
하루에 1시간씩 한달 내내 하는건 성과가 별로 없습니다

1시간은 목풀기, 1시간은 이제 본실력, 나머지 1시간은 연습이라고 생각하세요

추천가수는

김범수, 플라워 혹은 한경일 등..

야다, 김경호, 얀, 김상민, 주니퍼, 박완규 등 그런 노랜 부르시면 안됩니다.

중음이 비어있는상태에서 고음을 연습하는건 정말 치명적입니다.
당장은 만족하실지 몰라도 결국은 끝에 후회합니다.

그때 다시 중음을 채우려고 하신다면.. 5배 10배 더 힘들게 채우셔야 합니다.

정말 TV나 인터넷에서 잘부르시는 아마추어나 가수급이라 불리고 싶다면..
중음부터 하세요


발성의 원리는 호흡과 공명입니다.

공명이란 울림을 말합니다. 공명강은 울리는 장소고요.

휘파람 소리는 입속 공명에 의해 만들어지는 소리입니다.

우리는 이 휘파람 소리를 성대에 별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음을 높이거나 낮게 부를 수 있습니다. 즉 성대에서 음의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이

입속 공명, 호흡 세기의 변화를 통해 음을 높일 수 있다는 거죠.

휘파람 계속 부르는 사람은 부르면 부를 수록 소리가 좋아집니다. 더 높이 올라가기도 하고요

그 이유는 공명강이 발달되었기 때문입니다. 공명강은 울리면 울릴 수록 발달합니다.

그렇게 되면 공명도 더 잘 울리게 됩니다.

전통 타악기인 징을 치면 칭~~ 하는 소리가 납니다. 이소리의

울림이 공명이고, 징은 공명있는 소리(울림있는소리)를 만들어 내는 공명강이지요.

그리고 징을 치는 채는 호흡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공기가 공명강으로 가서 공명강을 때리는 겁니다.

마찬가지로 우리 몸에도 여러 공명강이 있습니다. 근육과 뼈에서 부터

우리 몸의 모든 곳이 공명강이 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높음음을 내기 위해서는

상부공명강 즉 얼굴 안쪽부분의 공명강을 울려야합니다. 인체 해부 사진을 보면

실제로 비강도 있지만

코 뒤쪽 뼈에 구멍이 나 있습니다. 거기서 소리가 울리는 겁니다. 두성이라고들 하죠.

선명한 소리를 낼 수 있게 해줍니다.

그럼 공명점을 어떻게 잡느냐. 그건 느끼는 겁니다.

자신의 원하는 공명강에 정신을 집중시키는 겁니다. 머리 속에선 이미지를 만들고요

처음엔 아주 조금씩 작게 소리를 내며 그 위치에 집중합니다. 그 위치가 머리속에서

점으로 만들어지겠지요. 그 다음부턴 그 만들어진 점을 위 아래로

확장시키는 겁니다. 그렇게 훈련시키고 나면 소리를 낼때

자연스럽게 그 공명강이 울려서 나올겁니다. 목에 힘이 들어갈 필요가 없지요.

목도 안아픕니다. 목이 안아프고 음이 길게 지속되면 올은 발성이 되는게 아니라

옳은 발성이 되어야 목도 안아프고 음도 지속되는 겁니다.

성악에선 허밍을 하며 미~ 미~ 미~ 하며 비강공명강을 훈련시는 방법도 있다고 하지만

원리로 보자면 그 외의 공명강을 훈련시키기 위한 그외의 방법도 얼마든지 적용가능합

합니다. 공명을 느끼며 오토바이소리를 낸다거나 똥파리 소리를 낸다거나. 여러 방법

법이 적용가능하겠죠. 하지만 이런 연습을 하기전에 꼭 필요한것이 발성의 기초입니

다. 모든것이 그러하듯 기초가 없으면 원하는바를 높이 쌓을 수 없습니다.

발성의 기초는 복식호흡과 목에 힘빼기 입니다. 목은 편안한 상태로 말들어야 겠지여.

공명강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호흡에 의해 공기가 비강쪽으로 진입해야하는데

그러기 위해선 복식호흡이 필수입니다. 복식호흡을 해야지만 성대에 무리없이

큰 압력으로 공기를 비강쪽으로 공급해줄 수 있습니다.

공기가 없으면 피리도 불 수 없는 것처럼, 호흡이 제대로 안되면 좋은 소리를 낼 수

없습니다.

복식호흡은 몸에 힘을 빼는데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복식호흡을 하면

어깨를 드럭거릴 필요가 없으니 어깨쪽 근육의 긴장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질것입니다.

따라서 목에 주는 긴장도도 작아지지요.

추가

창법의 개념은 거의 무의미합니다.

기초가 잡힌 사람이라면

음을 내면 몸에 대부분에서 동시에 공명을 느낄 수 있습니다.

머리에서도 울리고 가슴에서도 울립니다. 이것을 가지고 마치 흉성만을

사용한다 두성만을 사용한다 이렇게 구분하는것은 무의미하죠.

우리 몸의 모든 공명강을 사용한다 해야 옳을 것입니다.

그 안에서 어느 공명강을 더 자주 사용하느냐 이것이 그사람 소리에

개성이 만들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