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제목 저자 표시 - chaeg jemog jeoja pyosi

  • 왜 인용출처를 밝혀야 하는가?

인용출처를 밝혀야 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는 인용출처를 명시하는 것은 타인의 연구에 대해 크레디트를 부여하는 행위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저자명과 그 이름으로 발표한 문헌의 서지사항을 밝히는 것은 연구 성과에 대한 저자로서의 권리(authorship)를 인정하고, 나아가 그 기여에 대해 사의를 표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둘째는 인용출처를 밝히는 것이 인용한 자료의 정확성을 보증하여 연구의 신빙성을 높이는 하나의 방법이기 때문이다. 출처 표기의 다양한 양식이 존재하지만 어떠한 양식이든 기본적으로 독자들이 해당 인용 내용을 직접 찾아보는 데 필요한 정보들을 간결하게 제공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즉 인용출처를 밝히는 것은 저자가 글을 쓰는 데 활용한 자료를 독자들도 누구나 확인해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공개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인용자는 출처를 밝혀 인용의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는 공개적 검증에 기꺼이 응함으로써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는 참고문헌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연구를 계승하거나 심화하려는 독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 주제에 어느 정도 관심을 갖고 있는 독자들은 인용출처를 토대로 정리한 참고문헌 목록을 살펴보는 것만으로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을 얻기도 한다.

참고자료 : 웨인 부스 ․ 그레고리 콜럼 ․ 조셉 윌리엄스, 『영어논문 바로쓰기 : 케이트 트레이비언의 ‘시카고 양식’ 제8판』, 강경이 역, 개정판, 시대의창, 2019.

  • 두 가지 출처표기 방식 : 주석표기방식과 참고문헌방식

인용출처를 표기하는 방식은 학문 분야나 학회지에 따라서 고유한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아 무척 다양한 유형이 활용되고 있지만, 크게 보면 두 가지 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다. 하나는 각주나 미주 등의 외주를 활용해 참조주를 통해 상세한 서지사항을 제시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내주를 통해 저자명과 연도, 등의 간단한 색인을 제공하고, 참고문헌 목록에 관련 서지사항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전자를 외주 방식, 혹은 주석표기방식(bibliography style)이라고 하고, 후자를 내주 방식, 혹은 참고문헌방식(reference list style)이라고 한다. 주석표기방식은 인문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몇몇 사회과학 분과에서도 사용된다. 참고문헌방식은 많은 사회과학 분과와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시카고(University of Chicago) 양식과 MLA(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 양식은 주석표기방식과 참고문헌방식을 함께 제공하고 있으며, APA(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양식과 CSE(Council of Scinece Editors) 양식은 참고문헌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참고자료 : 웨인 부스 ․ 그레고리 콜럼 ․ 조셉 윌리엄스, 『영어논문 바로쓰기 : 케이트 트레이비언의 ‘시카고 양식’ 제8판』, 강경이 역, 개정판, 시대의창, 2019.

  • 주석표기방식: 자료 유형별 출처 표기 형식

다음은 『대학 글쓰기 1』(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에 제시된 양식과 시카고 양식을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다. 일부 기호는 변형했음을 밝힌다.

저자가 한 사람일 때

필자, 책 제목, 판수,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인용쪽수.

[Chicago] 필자, 책 제목, 판수(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인용쪽수.

신영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개정증보판, 서울: 돌베개, 1998, 15쪽.

  1. S. Eliot, The Scared Wood: Essay on Poetry and Criticism, 7th ed., London: Methuen, 1950, pp. 33-34.

[Chicago] T. S. Eliot, The Scared Wood: Essay on Poetry and Criticism, 7th ed.(London: Methuen, 1950), 33-34.

저자가 넷 이상일 때

필자 외, 책 제목, (판수),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인용쪽수.

[Chicago] 필자 et al., 책 제목, 판수(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인용쪽수.

김석봉 외, 『글쓰기의 기초와 실제』, 파주: 태학사, 2018, 58-64쪽.

Angus Campbell et al., The American Voter, New Yotk: John Wiley & Sons, 1964, p. 38.

[Chicago]Angus Campbell et al., The American Voter(New Yotk: John Wiley & Sons, 1964), 38.

편저

글의 필자, 글 제목, 책 제목, 편집자 편,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인용쪽수.

[Chicago] 글의 필자, “글 제목,” 책 제목, ed. 편집자(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인용쪽수.

김성근, 「‘科學’이라는 일본어 어휘의 조선 전래」, 『문학과 과학1: 자연․문명․전쟁』, 황종연 편, 서울: 소명출판, 2013, 470쪽.

  1. Katherine Hayles, “Escape and Constraint: Three Finctions Dream of Moving from Energy to Information.” in From energy to information: represent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m art, and literature, ed. Bruce Clarke and Linda Dalrymple Henderson,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2, p. 235.

[Chicago] N. Katherine Hayles, “Escape and Constraint: Three Finctions Dream of Moving from Energy to Information,” in From energy to information: represent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m art, and literature, ed. Bruce Clarke and Linda Dalrymple Henderson(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2), 235.

번역서

필자(한글), 책 제목(한글), 번역자, (판수),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인용쪽수.[필자(원어), 책 제목(원어), 판수, 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

마이클 샌델, 『완벽에 대한 반론』, 이수경 역, 서울: 와이즈베리, 2016, 103-107쪽.[Michael J. Sandel, The Case against Perfection: Ethics in the Age of Genetic Engineering, London: Harvad University Press, 2009.]

학술지 논문

필자, 논문 제목, 게재지 제목권수호수, 출간 학회, 발행연월, 인용쪽수.

[Chicago] 필자, “논문 제목,” 게재지 제목 권수, no. 호수(발행연월): 인용쪽수.

조남현,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발전과 과제」, 『국어국문학』184, 국어국문학회, 2018. 9., 35-37쪽.

Richard J. Anderson, “Marxism and Secular Faith,” Amerian Political Science Review 79-3, September 1965, p. 630.

[Chicago] Richard J. Anderson, “Marxism and Secular Faith,” Amerian Political Science Review79, no. 3(September 1965): 630.

잡지 기사

필자, 기사 제목, 잡지 제목권수호수, 발행연월, 인용쪽수.

[Chicago] 필자, “기사 제목,” 잡지 제목, 발행연월, 인용쪽수.

임규찬, 「비판의 윤리성과 최근의 비평」, 『창작과 비평』34-4, 2006. 12., 262-266쪽.

Jill Lepore, “Dikens in Eden.” New Yorker, August 29, 2011, p. 52.

[Chicago] Jill Lepore, “Dikens in Eden.” New Yorker, August 29, 2011, 52.

신문 기사, 칼럼

필자, 기사 제목, 신문 제목, 발행일자, 인용쪽수.

[Chicago] 필자, “기사 제목,” 신문 제목, 발행일자, 인용쪽수.

김동춘, 「소인들이 판치는 세상」, 『한겨레』, 2001. 12. 21., 3쪽.

[Chicago] Mark Lepage, “Armageddon, Apocalypse, the Rapture: People Have Been Predicting the End since the Beginning,” Gazette[Montreal], May 21, 2011.

학위논문

필자, 논문 제목, 학위 수여 기관 및 학위 종류, 학위수여연도, 인용쪽수.

[Chicago] 필자, “논문 제목”(학위 종류[master’s thesis(석사), PhD diss.(박사)], 학위 수여 기관, 학위수여연도), 인용쪽수.

천정환, 「한국 근대 소설 독자와 소설 수용양상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77-79쪽.

Karen Leigh Culcasi, “Cartographic Representation of Kurdistan in the Print Media,” master’s thesis, Syracuse University, 2003, p. 15.

[Chicago] Karen Leigh Culcasi, “Cartographic Representation of Kurdistan in the Print Media”( master’s thesis, Syracuse University, 2003), 15.

온라인 자료

필자, 글 제목, 웹사이트 제목, 게재일자, <웹페이지 주소[URL]>, 검색일자.

[Chicago] 필자, “글 제목,” 웹사이트 제목, 게재일자[수정일자], accessed 검색일자, 웹페이지 주소[URL].

이해영, 「신자유주의와 FTA」, 『진보평론』23, 2005. 9. 25., <http://jbreview.jinbo.net/

maynews/readview.php?table=organ&item=&no=505>, 2019. 10. 28.

[Chicago] “Privacy Policy,” Google Privacy Center, last modified October 3, 2010, accessed March 3, 2011, http://www.google.com/intl/en/privacypolicy.html.

시각공연예술 자료

영화

영화 제목, 감독, 제작사, 개봉연도, 매체정보.

[Chicago] 영화 제목, directed by 감독(제작사, 개봉연도), 매체 정보.

「기생충」, 봉준호 감독, CJ 엔터테인먼트, 2019.

GodfatherⅡ, directed by Francis Ford Coppola, Paramount Pictures, 1974, DVD(Paramount Home Video, 2003).

[Chicago] GodfatherⅡ, directed by Francis Ford Coppola(Paramount Pictures, 1974), DVD(Paramount Home Video, 2003).

텔레비전 프로그램

프로그램 제목, 횟수, 편명 또는 에피소드 제목, 연출자, [작가, 배우 등(필요시)], 방송일자, 방송사, 매체정보.

[Chicago] 프로그램 제목, 시즌 번호, 에피소드 번호, “편명 또는 에피소드 제목,” directed by 연출자, [작가, 배우 등(필요시)], aired 방송일자, on 방송사, 매체정보.

『부부의 세계』, 9회, 모완일 연출, 2020. 04. 24., JTBC, 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broadcasting/detail.nhn?viewSeq=369460&seasonViewSeq=364145#sale>, 2021. 02. 25.

[Chicago] Mad Men, season 1, episode 12, “Nixson vs. Kennedy,” directed by Alan Taylor, aired October 11, 2007, on AMC, DVD(Lions Gate Television, 2007), disc 4.

회화, 조각, 사진

작가, 작품명, 제작일, 작품 보관 기간[있다면], 보관 장소, 위치.

[Chicago] 작가, 작품명, 제작일, 작품 보관 기간[있다면], 보관 장소, 위치.

박수근, 「나무와 두 여인」, 1950년대, 박수근미술관, 양구.

[Chicago] Michelangelo, David, 1501-4, Galleria dell’Accademia, Florence.

연극, 무용, 음악공연

공연 작품 제목, 작자 및 주요 공연자, 공연 장소, 위치, 공연일자.

[Chicago] 공연 작품 제목, 작자 및 주요 공연자, 공연 장소, 위치, 공연일자.

「지하철 1호선」, 김민기 연출, 학전블루 소극장, 서울, 2019. 10. 29.

[Chicago] Spider-Man: Turn Off the Dark, by Glen Berger and Julie Taymor, music and lyrics by Bono and The Edge, directed by Julie Taymor, Foxwoods Theater, New York, September 10, 2011.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 대학글쓰기1 교재편찬위원회, 『대학 글쓰기 1』,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웨인 부스 ․ 그레고리 콜럼 ․ 조셉 윌리엄스, 『영어논문 바로쓰기 : 케이트 트레이비언의 ‘시카고 양식’ 제8판』, 강경이 역, 개정판, 시대의창, 2019.

  • 참고문헌방식: 기본 형식

참고문헌방식에서 인용출처 표기는 대개 괄호주와 참고문헌 목록(reference list)으로 이루어진다. 괄호주는 색인 기능을 하는 최소한의 정보, 즉 필자, 출판연도, 인용쪽수 등만을 기입하며, 완전한 서지정보는 참고문헌 목록에 제시한다. 괄호주에 기입하는 정보는 출처 표기 양식에 따라 조금씩 달라진다. MLA 양식에서는 괄호주 속에 필자, 짧게 줄인 제목, 인용쪽수를 넣고, 출판연도는 쓰지 않는다. 아래 관례들은 시카고 양식과 APA 양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tips 괄호주 작성의 관례

① 괄호주는 괄호 속에 필자, 출판연도를 기입하는 것을 기본 형식으로 한다. 구체적인 인용이 있을 경우에는 인용쪽수를 함께 적어준다.

② 필자와 출판연도 사이에는 한 칸을 띄우거나[Chicago] 반점을 넣는다[APA]. 예) (손봉호 1995, 24-26)[Chicago], (손봉호, 1995, pp. 24-26)[APA]

③ 필자를 표기할 때 서양인은 성만 표기한다. 다만 같은 성을 가진 저자가 둘 이상이라면 저자의 이름의 머리글자를 덧붙인다. 예) (G. Eliot 1860, 25), (T. S. Eliot 1922, 13)

④ 동일 저자가 같은 연도에 출판한 자료를 두 개 이상 인용한 경우에는 출판연도 뒤에 a, b, c 등의 기호를 붙여 구분한다. 예) (김윤식 2011a, 48-49), (김윤식 2011b, 34)

⑤ 인용쪽수는 숫자만 적거나[Chicago], 숫자 앞에 p. 혹은 pp.(복수의 페이지 인용 시)을 적는다[APA].

⑥ 출판연도와 인용쪽수 사이에는 반점(,)을 넣거나[Chicago, APA] 쌍점(:)을 넣는다.

⑦ 괄호주는 일반적으로 인용문이나 자료가 언급된 문장의 끝에 붙여준다.

⑧ 본문에서 저자명을 언급한다면 저자명 뒤에 괄호주를 붙이고 그 속에는 출판연도와 인용쪽수만 표기한다. 예) 손봉호(1995, 10-14)는 철학이 인간의 다른 경험에 비해서 고통에 대해 매우 인색한 관심을 기울였다고 지적한다.

tips 참고문헌 목록 작성의 관례

① 참고문헌 목록에는 괄호주에서 인용한 모든 자료의 완전한 서지정보를 밝혀야 한다.

② 책의 경우 참고문헌 목록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한다. <필자. 출판연도, 서명. 출판지: 출판사명.>

③ 필자는 서양인의 경우 <성, 이름>으로 표기한다.

④ 출판연도는 숫자만 적거나[Chicago], 괄호 속에 넣어준다[APA].

⑤ 참고문헌 목록의 배열 순서는 국내문헌과 국외문헌 가운데 동양인이 지은 저서는 저자명의 가나다순으로 배열하고, 국외문헌 가운데 서양인이 지은 저서는 저자의 성의 알파벳 순으로 배열한다. 동일인이 저술한 자료는 출판연도에 따라 연대기순으로 배열한다.

⑥ 참고문헌 목록에 다양한 자료가 있다면 범주를 나누고 범주별 목록 앞에 소제목을 붙여주는 것이 좋다. 범주는 1차 자료, 국내논저, 국외논저 및 번역서, 전자자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 대학글쓰기1 교재편찬위원회, 『대학 글쓰기 1』,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웨인 부스 ․ 그레고리 콜럼 ․ 조셉 윌리엄스, 『영어논문 바로쓰기 : 케이트 트레이비언의 ‘시카고 양식’ 제8판』, 강경이 역, 개정판, 시대의창, 2019.

  • 출처표기에 사용되는 약어 일람표

약어

원어 및 의미

app.

appendix 부록

bk.

book 책

chap.

chapter 장

diss.

dissertation 논문

ed.

edition, editor, edited by 판(版), 편집자, 편집

enl.

enlarged 증보판

et al.

et alii or et alia, and others 외(外)

fig.

figure 그림

Ibid.

ibidem, in the same place 같은 글

ill.

illustrated, illustration, illustrator 삽화

Loc. cit.

loco citato in the place cited 인용한 텍스트에서

n[복수형은 nn]

note 주석

n. d.

no date 출판일 미상

no.

number 번호

n. p.

no place, no publisher, no page 발행처 미상, 출판사 미상, 페이지 미상

op. cit.

opere citato in the work cited 앞서 언급한 글에서

p.[복수형은 pp.]

page 쪽

Ph. D. diss.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박사학위논문

rev.

revised, revised by 개정

trans.

translated by, translator 역자

vol.

volum 권(卷)

참고자료 : 사외다 아키오, 『논문과 리포트 잘 쓰는 법: 구상에서 완성까지』, 이명실 역, 개정판, 알음, 2007.

웨인 부스 ․ 그레고리 콜럼 ․ 조셉 윌리엄스, 『영어논문 바로쓰기 : 케이트 트레이비언의 ‘시카고 양식’ 제8판』, 강경이 역, 개정판, 시대의창,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