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6학년 국어 문제 pdf - chodeunghaggyo 6hagnyeon gug-eo munje pdf

[1/10차시] 비유하는 표현 살펴보기(국어 32-33p)
[학습 내용]
뻥튀기 하는 거 본 적 있나요? 선생님은 어렸을 때 곧 터질 큰 소리에 귀를 막고서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서 있곤 했답니다. 늘 깜짝 놀라면서도 신기하고 달콤한 경험이었지요. 뻥튀기 하는 걸 아직 못 본 친구들은 첫 번째 영상을 보세요. 그리고 빈칸에 들어가는 말을 잘 들으며 두 번째 영상으로 ‘뻥튀기’ 시를 들어보세요. 빈칸에 들어갈 말을 잘 찾은 친구들은 다음에 이어서 나오는 시들의 제목을 맞춰보세요.
[영상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RvVsEkPdZVE
https://www.youtube.com/watch?v=m7j83by6TRI
[과제]
1.두 번째 영상보며 빈칸에 들어가는 말 듣고 찾아 쓰기
2.두 번째 영상 속에 나오는 시들 제목 맞춰보기

[2/10차시] 비유하는 표현의 좋은 점 알기(국어 34-35p)
[학습 내용]
‘뻥튀기’ 시에서 뻥튀기가 사방으로 날리는 모양을 표현한 말들이 모두 몇 가지 있었나요? 그리고 뻥튀기 냄새를 표현하는 말들은 또 몇 가지 있었나요? 이렇게 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비슷한 현상이나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이라고 해요. 비유하는 표현을 사용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윤도현 노래 ‘나는 나비’를 다른 6학년 친구들이 멋진 그림으로 표현한 영상을 보며 비유하는 표현의 좋은 점을 생각해봅시다.
[영상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XtTrv2PMUcc
1.이 노래 속에서 나를 표현하는 말인 애벌레, 번데기, 나비는 각각 나의 어떤 점을 비유해서 쓴 말인지 써 보세요.
2.비유하는 표현을 사용해서 글을 쓰거나 말을 하면 좋은 점은 무엇인지 써 보세요.
3.자신을 무엇에 비유해서 표현하고 싶나요? 그 이유도 함께 써보세요.

[3/10차시] 비유하는 표현을 생각하며 시 읽기(국어 36-39p)
[학습 내용]
비유하는 표현을 사용하면 1) 내용이 쉽게 이해되고 2) 글쓴이나 말하는 이의 의도가 쉽게 파악되고 3) 상황이 실감나게 느껴지는 등의 좋은 점이 있다는 걸 지난 시간까지 알아봤죠? 이번 시간엔 ‘봄비’라는 시를 직접 들으며 봄비를 무엇에 비유해서 표현했는지 찾아봅시다. 영상 속에 빈칸이 있으니 잘 들으며 빈칸 속의 낱말을 찾아보세요.
[영상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XPZRcfp_sIk
[과제]
1.‘봄비’ 시 속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비유적인 표현은 무엇인가요?
2.봄에 관한 시를 한 편 찾아 공책에 쓰고 비유적인 표현을 찾아 표시해보세요.

[4/10차시] 비유하는 표현을 생각하며 시 읽기(국어 40-43p)
[학습 내용]
학교에서 친구들을 만나 수다도 떨고 놀이도 함께 하고 싶은데 그러지 못해 많이 아쉽고 힘들죠? 오늘은 만나고 싶은 친구들을 생각하며 ‘풀잎과 바람’ 시를 함께 읽어봅시다. 그리고 시 속의 여러 비유적인 표현들이 친구의 어떤 모습을 빗대어 표현한 것인지 생각해봅시다.
[영상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bCF_zCi_bPw
[과제]
1.영상 속에 빈 칸이나 초성으로 나온 10개 낱말을 찾아보세요.
2.국어책 42쪽과 43쪽 질문에 답해보세요. (10번은 자기 생각을 먼저 정리해서 써보세요.)

[5/10차시] 비유하는 표현을 살려 시 쓰기(44-45p)
[학습 내용]
이제 글이나 말에서 비유적인 표현을 잘 찾을 수 있게 되었나요? 비유적인 표현을 써서 나만의 시를 써볼 수 있겠지요? 아직 연습이 좀 더 필요한가요? 그럼 다음 영상을 보며 1) 대상들 사이의 공통점을 찾거나 2) 같은 특성이 있는 대상들 찾기 연습을 좀 더 해보기로 해요.
[영상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sN7q7Z_Pnkw
[과제]
1.영상 속에 모두 4가지 과제가 안내되어 있었지요? 각각의 내용에 대한 내 생각을 배움공책에 쓰세요.
2.대상 하나를 정해 교과서 45쪽처럼 생각그물로 정리해 보세요.

[6/10차시] 비유하는 표현을 살려 시 쓰기(46-47p)
[학습 내용]
오늘은 시 그림책 한 권을 함께 만나보기로 해요. 시 그림책은 말 그대로 이야기가 아닌 시와 그 시에 어울리는 그림이 만난 책입니다. 공광규의 ‘흰 눈’ 이라는 시에 주리라는 그림책 작가가 그림을 그린 시 그림책입니다. 이 책 속에서 흰 눈이랑 다른 대상과의 공통점을 생각하며 그림책을 보면 더 좋겠지요. 다음 장면을 미리 상상하며 보면 더욱 재미있을 거에요.
[영상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VOMJ2TxTDCw
[과제]
1.흰 눈과 그림책 속 다른 대상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요?
2.인상 깊었던 장면을 골라 이유와 함께 써 봅시다.
3.지난 시간에 만든 생각그물을 바탕으로 비유하는 표현을 살려 시를 한 편 써 보세요.

[7/10차시] 낭송할 시 정하기(48-49p)
[학습 내용]
모두 시 한 편씩 완성했나요? 내 시 속에서 비유하는 표현이 잘 나타난 부분은 어디인가요? 다시 읽고 시를 좀 더 다듬어 봐도 좋겠지요. 그럼 이번 시간엔 시를 낭송할 준비를 해봅시다. 내가 쓴 시를 잘 낭송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하면 더 좋을지 아래의 두 영상을 보며 생각해보세요.
[영상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NGWIItw_pEQ
https://www.youtube.com/watch?v=QQSM7mfd5-Q
[과제]
1.두 편의 영상을 보고 알게 된 내용이나 느낀점을 써보세요.
2.내 시를 낭송할 때 사용할 배경 음악을 정해 시 낭송 연습을 해보세요.

[8/10차시] 낭송한 시에 어울리는 그림 그려 나만의 시화 만들기(국50-51p)
[학습 내용]
낭송할 시에 어울리는 음악을 잘 골랐나요? 오늘은 낭송할 시에 어울리는 그림을 그려 시화를 그려봅시다. 다시 교과서 32~33쪽을 펴 보세요. 시와 어울리는 그림이 있으니 더 재미있죠? 그래서 시를 소개할 때도 글을 쓴 시인 이름과 함께 그림을 그린 분의 이름도 함께 교과서에 나와 있는 겁니다. 인물의 표정, 글씨의 크기와 위치, 시의 분위기가 나타나는 여러 그림들이 재미있게 표현되어 있죠? 학교 도서실에는 이렇게 시와 그림이 잘 어울리는 시들이 모여있는 동시집이 많이 있는데 여러분은 몇 권쯤 읽어보셨나요? 오늘 내 시에 어울리는 그림을 넣어 멋진 시화를 완성해 보세요. 그 전에 짧은 시 한 편을 멋진 그림과 함께 그린 시 그림책을 한 권 감상해볼까요?
[영상 자료]
대추 한 알(장석주 시, 유리 그림, 이야기꽃 출판사)
https://www.youtube.com/watch?v=tkoAgQlNs1I
[과제]
그림이 정말 멋있죠? 실제 그림책으로 보면 유리 라는 그림 작가에게 더 놀라게 됩니다. ‘대추 한 알’ 시를 줄 없는 종이에 옮겨 적고 어울리는 그림을 그려 한 장의 시화로 꾸며 보세요.
1. 내가 낭송하려던 시를 줄 없는 종이에 쓰고 어울리는 그림을 그려 시화로 꾸며 보세요.
2. '대추 한 알' 시화와 내 시의 시화를 사진으로 찍어 학습방에 올리거나 선생님께 보내주세요.

[9/10차시] 시화 완성하고 감상하기(국50-51p)
[학습 내용]
‘대추 한 알’ 시와 내가 쓴 시에 대한 시화를 꾸며 선생님께 모두 보냈나요? 그럼 친구들의 시화를 함께 보며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그 전에 평생 글자를 모르고 사시다가 처음으로 한글을 배워 시를 쓰신 할머니들의 이야기와 그 분들의 시화를 감상해 볼까요?
[영상 자료]
여든 넘어 배운 한글로 시화전 최우수상 타신 권분한 할머니
https://www.youtube.com/watch?v=dJ_GydtfFJo
시 쓰는 할머니들의 1년의 기록, 영화가 되다
https://www.youtube.com/watch?v=sUw5KeDdzSo
[과제]
1. 뉴스들을 보고나서 느낀 점을 써봅시다.
2. 친구들의 시화를 감상하고 나서 작품들을 본 소감문을 써봅시다.

[10/10차시] 이번 단원 내용 정리하기(국어51p)
[학습 내용]
1단원을 공부하며 1)비유하는 표현이 무엇인지 2)비유하는 표현을 쓰면 어떤 점이 좋은지 3)비유하는 표현을 넣어 시를 쓰고 4)그 시를 낭송하거나 시화를 꾸미는 활동까지 해보았어요. 그동안 공부한 내용을 한 번 정리해 볼까요? 정리 영상의 퀴즈 문제들을 5초 안에 맞출 수 있는지 해보세요. 생각이 잘 나지 않으면 영상을 잠시 멈추고 답을 생각해본 뒤 정답을 보면 더 좋겠죠?
[영상 자료]
비유하는 표현 정리 퀴즈
https://www.youtube.com/watch?v=va9CXy5ArN8
[과제]
1. 1단원 활동 중 재미있는 활동이 있었나요? 어떤 영상이나 과제였는지 이유와 함께 써보세요.
2. ‘나의 요즘 생활’을 비유하는 표현을 넣어 시로 써보세요.

진단평가는 대한민국에서 전국의 학교 또는 특정 지역 내의 모든 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이 동시에(일제히) 치르는 형태의 시험을 뜻한다. ‘일제고사’는 일제고사 형태로 시행되던 시험의 명칭이기도 하며, 그 시험은 1998년에 폐지되었다. 지금은 2008년부터 시행되는 전국 단위의 각종 진단평가와 학업성취도평가를 흔히 일제고사라고 칭한다

 

예전부터 진단평가는 학력이 부진한 학생은 보충지도를 실시하고, 우수학생에게는 성취동기를 부여해 학교 교육을 내실화할 수 있는 시험이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반면 진단평가가 전체 학생의 학습 효과 향상을 불러일으킨다는 객관적 근거는 아직까지 없으며 전교조에서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오히려 진단평가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설문결과가 나오기도 했다고 하네요. 우수학생에게 성취동기를 부여한다는 발언 역시 경쟁보다는 협력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성취동기를 부여하는 데에 더 중요하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합니다. 

 

초등학교 6학년 국어 문제 pdf - chodeunghaggyo 6hagnyeon gug-eo munje pdf

 

 

아무튼 이래저래 말이 많은 진단평가이지만 전국적으로 아직도 보는 학교들이 많기 때문에 진단평가 기출문제를 찾는 사례가 많다고 해요.

아무래도 시험인지라 잘 못 보면 괜히 기분이 찜찜해지는 건 사실이죠.

 

 

3월에 보는 초6 진단평가는 초등학교 5학년 과정으로 시험본다고 하니 초6 시절 공부가 안되어 있으면 시험을 잘 못볼수 밖에 없을 것 같네요. 하지만 진단평가 문제는 기초학력을 점검하는 것이라서 매우 쉽다고 합니다. 

 

초등학교 6학년 국어 문제 pdf - chodeunghaggyo 6hagnyeon gug-eo munje pdf

 

 

아무튼 초6 진단평가 기출문제들을 살펴보면 기 출제되었던 문제들이 반복되어 출제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고 하니 그런 의미에서 작년, 제작년 기출문제들을 풀어보는 것도 시험대비에 많은 도움이 되겠죠?

 

초등학교 6학년 국어 문제 pdf - chodeunghaggyo 6hagnyeon gug-eo munje pdf

 

아래는 이번 2019년 3월에 시행된 각 과목별 국어, 수학, 영어, 과학, 사회 초6 진단평가 문제 자료입니다.

 

2019년 초6 진단평가 국어

초등학교 6학년 국어 문제 pdf - chodeunghaggyo 6hagnyeon gug-eo munje pdf

 

2019년 초6 진단평가 수학

초등학교 6학년 국어 문제 pdf - chodeunghaggyo 6hagnyeon gug-eo munje pdf

 

2019년 초6 진단평가 영어

초등학교 6학년 국어 문제 pdf - chodeunghaggyo 6hagnyeon gug-eo munje pdf

 

 

2019년 초6 진단평가 과학

초등학교 6학년 국어 문제 pdf - chodeunghaggyo 6hagnyeon gug-eo munje pdf

 

 

2019년 초6 진단평가 사회

초등학교 6학년 국어 문제 pdf - chodeunghaggyo 6hagnyeon gug-eo munje pdf

 

 

아쉽게도 위의 국어, 수학, 영어, 과학, 사회 초6 진단평가 기출문제 내용은 대중공개 및 공유될 수 없는 자료라고 합니다. ㅠ.ㅠ

 

 

고등학생들 모의고사 학력평가 문제들도 교육청 사이트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등에서 학생들을 위해서 배포하고 있는데 기초학력을 점검하는 이런 진단평가 기출문제들이 교육청에서 배포를 해주지 않는게 좀 의아하네요~ ㅜ.ㅜ 해당년도의 시험 문제가 유출되어지는 것도 아니고 참고할수도 있는건데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