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허리통증은 감기, 두통만큼이나 흔한 증상이다. 필자 역시 진료실에서 오랜 시간 외래진료를 보기 때문에 매달 한번쯤은 허리통증을 느낀다.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김영범 진료부원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척추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1200만명 이상이었다. 우리나라 국민 4명 중 1명이 척추질환에 시달리는 셈이다. 진료건수는 약 8800건으로 비용만도 3조8760억원에 달했다.

허리통증에 자주 시달리거나 고통이 심할 때면 “허리디스크가 아닐까”라는 걱정이 든다. 하지만 의학적으로 봤을 때 허리 아픈 사람 100명 중 4명 정도만 허리디스크가 원인이다. 대부분 인대, 근육, 힘줄 등이 원인인 비특이적 요통이다. 허리디스크를 지레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허리디스크는 좌골신경통, 요추신경근병증, 추간판탈출증 등 여러 용어로 불린다. 정확한 의학적 표현은 추간판탈출증에 의한 요추신경근병증이다. 척추뼈 분절 사이에 있는 디스크(추간판)가 탈출하면서 신경주위에 염증을 발생시키고 심하면 척추신경근(뿌리)을 압박, 허리와 다리에 통증이 발생한다.

얼마 전 이삿짐센터에서 일하는 30대 청년이 허리와 다리뒤쪽에 통증이 있다며 진료실을 찾았다. 이 환자는 이미 다른 의료기관에서 MRI를 촬영하고 디스크돌출진단에 따라 수술을 권유받았다. 디스크환자 중에는 수술이 분명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이 환자는 필요치 않았다.

수술 없는 치료에 특별한 비법이 있는 것이 아니다. 의학적 기준에 따라 전문의의 지시를 잘 따르기만 하면 환자 대다수는 통증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돌출된 디스크가 저절로 흡수돼 그 크기가 작아진다. 하지만 이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의사조차 이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통계자료에 따르면 척추질환으로 인한 입원치료가 한 해에 130만건 정도 발생한다. 가장 많은 상병은 27만명 정도가 입원치료를 받는 디스크(추간판장애)다. 척추수술도 15만건이나 이뤄졌다.

2006~2013년에 걸쳐 척추전문병원 척추수술조정률은 18.7%로 10명 중 1~2명에게 과잉수술이 이뤄졌음을 추측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통증은 잘못된 자세나 과도한 스트레스 등 발생원인을 고치면 치료 없이도 2개월 내에 대부분 좋아진다. 돌출된 디스크도 환자의 70~80%는 저절로 흡수돼 크기가 작아진다. 물론 100% 정상으로 회복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은 크기가 70% 정도 줄어든다. 더 재미있는 사실은 디스크돌출정도가 심할수록 흡수가 잘 돼 크기가 더 많이 줄어든다는 점이다.

디스크가 완전히 떨어져 나온 경우는 디스크수핵분리라고 부른다. 통증이 매우 심하고 MRI사진을 통해 상태를 직접 봤을 때 매우 심각하다고 여길 수밖에 없다. 하지만 떨어진 디스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100% 흡수돼 사라진다. 따라서 돌출된 디스크를 일부러 제거할 필요는 없다.

허리디스크의 자연변화에 대한 기본의학지식을 습득하고 있다면 허리디스크가 생겨도 치료에 있어 보다 나은 결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장수시대에 사는 현대인은 몸을 더 건강하게 지키는 동시에 축복받은 인생을 살 수 있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헬스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허리 디스크)

척추 뼈 사이에 있는 물렁뼈(추간판)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튀어 나와 신경을 누르며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정상 구조 요추 추간판 탈출증
  •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정상 MRI 요추 추간판 탈출 MRI

원인

퇴행성 변화
허리에 무리가 가는 행동, 자세에 의한 피로 누적
외상

증상

  • 01 엉덩이부터 다리 쪽으로 저리거나 당기는 통증이
    있습니다. (허리통증은 동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02 골반, 다리 통증이 있습니다.
  • 03 대소변 장애나 하반신 힘이 약해지는 증상이
    있습니다.

보존적치료 (비수술 치료)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80~90%는 비수술적 치료로 좋아지며, 다리의 마비가 없고 대소변 기능장애가 없는 경우 약 3개월 정도의 비수술 치료를 진행합니다.
치료 방법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증상의 지속 기간, 통증의 정도, 재발 횟수, 직업/나이/성별/작업량, 돌출된 추간판의 위치 및 정도 등)

  • 신경차단술 (주사요법)

    장애를 일으킨 디스크, 신경, 근육, 관절에 직접 약제를 투여해 부종, 염증, 유착을 줄이고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통증의 원인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 치료 특징 및 효과

    • 척추관 협착증으로 인한 통증 치료 방법에 효과적인 시술입니다.
    • 평균 1~2회의 시술을 통해 통증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시술과정1

    •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시술과정2

    - 치료경과와 관리 방법

    1) 2회 시행하는 경우 1차 시술 후 보통 1주 간격으로 2차 시술을 시행합니다.

  • 경막외 신경성형술 (PEN)

    척추 꼬리뼈 부위에 초소형 카테터를 삽입 후, 통증의 원인이 되는 신경에 약제를 주입하여 통증을 제거하는 치료입니다.

    - 치료 특징 및 효과

    • 피부절개가 없어 출혈 및 감염의 위험이 적고, 조직손상이 거의 없습니다.
    • 국소마취로 진행되며, 염증과 신경 유착을 완화시키는 약제를 이용한 안전한 시술입니다.
    • 시술 시간이 짧고(10~30분 내외), 단기 입원(2일 이내)으로 일상 복귀가 빠릅니다.

    •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시술과정1

    •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시술과정2

    - 치료경과와 관리 방법

    1) 시술 후 1~2시간의 휴식을 취한 뒤 귀가하여 일상복귀를 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 미세 현미경 추간판 제거술

    2cm 정도의 피부 절개를 통해 돌출된 추간판을 제거하여 신경압박을 치료하는 수술입니다.

    - 치료 특징 및 효과

    • 정상 조직 손상 위험성이 낮고 수술의 안정성과 성공성이 높습니다.
    • 출혈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수술 다음날부터 보행 연습을 시작합니다.
    • 단기 입원(보통 3일)으로 일상 복귀가 빠릅니다.

    •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수술 전

    •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수술 후

    - 치료경과와 관리 방법

    1) 수술 다음날부터 보행을 시작합니다.
    2) 수술 1개월 후부터 허리 재활운동을 합니다.
    3) 가급적 빠른 일상 복귀를 권하지만, 질병의 상태나 환자의 직업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치료후기

    나우가 만들어가는 따뜻한 세상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 온라인예약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예약하세요.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

  • 의료진소개

    실력으로 인정받는 든든한 의료진.

    추간판 탈출증 회복기간 - chuganpan talchuljeung hoeboggi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