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CP IP 할당 실패 - DHCP IP haldang silpae

DHCP IP 할당 실패 - DHCP IP haldang silpae

HowTo - 169.254. APIPA 원인, 인터넷 연결 해결방법

 컴퓨터에 갑자기 169.254로 시작하는 IP 주소가 있는 경우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169.254.X.X로 시작하는 주소는 IP 주소가 없는 것과 동일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할 때 컴퓨터에 수동으로 IP(정적)를 입력하지 않았다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방식으로 구성된 것이며, 이 DHCP 서버를 통해 자동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들에게 IP를 할당하게 됩니다.

 보통 가정에서 노트북, 스마트폰, 데스크탑 등 여러대의 기기의 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하기위해  ISP 업체(KT, SK Broadband, LG U+ 등)에서 제공된 ①모뎀에 유무선 공유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공유기가 DHCP 서버 역할을하며 192.168.X.X와 같은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죠.

 만약 알 수 없는 이유로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진 경우 ③컴퓨터에서는 IP 주소를 할당 받을 DHCP 서버를 찾을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윈도우에서는 169.254로 시작하는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APIPA(Automatic Private Internet Protocol Addressing)라고 합니다.

 APIPA는 윈도우 기반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는 것으로, DHCP가 없거나 응답이 없는 경우 윈도우 스스로 사설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기능입니다. 즉, APIPA는 DHCP 서비스가 중지되었을 때 대신 자동으로 IP를 제공하는 역할을 이어 받으며, 근거리통신망의 구성이나 지원을 쉽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APIPA는 위와 같은 목적으로 169.254.0.0~169.254.255.255 주소를 예비로 준비해두었다가 컴퓨터에 자동으로 할당되며, 서브넷 마스크 값이 255.255.0.0인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들과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 통신할 수 있게 됩니다.

 많은 초심자분들이 169.254.0.0 IP가 컴퓨터에 할당 된 것을 발견하곤, 인터넷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IP 주소를 받은 것으로 이해하곤 하지만, 윈도우가 APIPA 프로토콜에 따라 적절한 IP를 할당 받지 못하면 자체 IP 주소를 할당하는 것으로, 정확히는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APIPA를 통해 IP 주소를 할당' 받은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유무선 공유기의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넷 모뎀(라우터) 또는 서비스 제공 업체의 문제라면 사용자는 유무선 공유기를 통해 정상적으로 192.168.X.X IP 주소를 할당 받게 됩니다. 단지 인터넷 연결만 끊어진 것이죠. 이 때에는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시 모뎀과 정상적인 연결 상태가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STEP 01. 유무선 공유기 전원 OFF/ON

 ① 컴퓨터 전원을 종료합니다.

 ② 공유기의 전원을 종료하고 다시 시작합니다.

 ③ 컴퓨터 전원을 켜고, 공유기에서 적절한 IP 주소를 할당 받는지 확인합니다.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 동일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기기에서도 확인하고, 연결되지 않을 경우 유무선 공유기의 오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다른 기기에서는 정상적으로 IP를 할당 받고, 인터넷에 연결된다면 다음 단계를 수행해보세요.

STEP 02. CMD에서 새로운 IP 할당 요청

 ① 윈도우 키를 누르고 cmd를 입력한 뒤 검색 결과에서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② 명령프롬프트 창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C:\Users> ipconfig /release

C:\Users> ipconfig /renew

 ③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테스트해봅니다.

STEP 03. 유무선 공유기 관리자 계정 접속 후 DHCP 활성화 확인

 ① 공유기 관리자 접속 후 Client IP 할당 방식이 DHCP로 되어있는지 확인해봅니다.

 ② 정적(수동) IP 할당으로 되어 있다면, DHCP로 변경 후 테스트해봅니다.

※ 만약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IP를 모르시겠다면 일반적으로 192.168.0.1 또는 192.168.1.1 입니다. 그래도 접속되지 않는다면, 'ipconfig' 명령어를 이용해 본인의 컴퓨터 IP 정보에서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보시면 됩니다.

STEP 04. 공유기 제거, 컴퓨터↔모뎀 직접 연결

 ① 인터넷 모뎀→유무선 공유기→컴퓨터로 연결 되어있다면, 모뎀과 공유기 연결을 절체합니다. 

 ② 모뎀↔컴퓨터로 바로 연결하여 확인해봅니다.

STEP 05.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 연락

 마지막으로 ISP 업체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사용중인 인터넷 서비스 점검을 요청드린 후 상담원의 안내에 따라 테스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인터넷 네트워크 연결이 안될때 확인 방법

안녕하세요. 네트워크를 잘 모르는 엘리오입니다. 잘 사용하던 인터넷 네트워크 연결이 안될때.. 정말 속상하죠.
인터넷 연결해서 게임 해야 하는데 인터넷이 안되면 엄청 속상합니다.
사실상 인터넷이 안되는건지 네트워크 설정 문제인건지 정확히 판단이 되지 않죠.
제일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인터넷 네트워크 구성입니다..

가정에서는 대부분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모뎀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부 빌라 또는 다세대건물에서 단위별 제공하는 LAN 포트에 바로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그래서 대부분 자동으로 IP받기로 IP를 할당받아 사용합니다.
무선에도 연결되어야 하고,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하는 기기가 많기 때문에 대부분 공유기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네트워크 구성은 <인터넷 모뎀 - 공유기 - 노트북>으로 되어 있어요.
이럴때 발생하는 사례들, 인터넷 네트워크 연결이 안될때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볼께요.

물리적 연결 확인 (공유기 전원 On/Off, 케이블 연결상태)

- 가장 먼저 확인해봐야 하는 것은 케이블의 물리적인 연결상태입니다.
UTP 케이블의 경우, 오래 사용하거나 포트에 자주 연결할 때에 흔히 말하는 접불(접속불량)이 발생합니다.
UTP 케이블 여유분을 준비하셔서 교체 연결을 해보세요.
- 공유기 전원 On/Off 하시기 바랍니다.
공유기 자체에서 발열 및 hang up 으로 인해 정상동작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PC에서 IP 주소를 제대로 받아오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IP를 제대로 못받아오는 경우가 있죠.
우선, IP 확인부터 합시다!!

** Console창에서 확인하는 방법
1) "윈도우키 + R" - 윈도우 실행창 열어 "cmd" 입력
2) MS-DOS창에서 "ipconfig /all"

DHCP IP 할당 실패 - DHCP IP haldang silpae

DHCP IP 할당 실패 - DHCP IP haldang silpae

우측의 이미지처럼 IP를 정상적으로 할당 받아야 합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공유기 대부분 192.168.0.X 대역의 IP를 자동으로 할당하고 있습니다. 공유기 IP는 192.168.0.1 또는 192.168.1.1이 대부분입니다. 만약 할당받은 IP가 다르다면 문제가 있는거겠죠?

* Case 1 : 169.254.x.x 이런식으로 IP를 할당받고 있는데요?
-> 공유기 또는 PC 랜카드에서 정상적으로 IP할당이 되지 않은 경우 입니다. 이럴경우, 공유기에 다른 PC나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정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 다른 기기에서 정상적으로 IP를 할당받는다면 PC 랜카드 드라이버 재설치 또는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 다른 기기에서 정상적으로 IP 할당을 받지 못한다면, 공유기 초기화 고고!

DHCP IP 할당 실패 - DHCP IP haldang silpae

공유기 초기화 버튼은 공유기 후면에 있어요. 5초 정도 눌러주세요!!!

* Case 2 : 192.168.0.X대역이 아닌 192.168.X.X 대역을 받아오고 있는데요?
-> 공유기에서 다른 네트워크 대역을 할당하도록 설정했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공유기까지 Ping 테스트를 진행하세요.
    공유기 IP로 ping 성공 시 상위장비(인터넷모뎀)를 확인해야 합니다.
    공유기 IP로 ping 실패 시 네트워크 설정이 정상적으로 되어있지 않습니다. (케이블 재연결 진행, 윈도우 재시작 권고)

  ** Ping Test 방법
  1)"윈도우키 + R"- 윈도우 실행창 열어"cmd"입력
  2) MS-DOS창에서"ping 192.168.X.1"
   ef) ping 192.168.0.1 (공유기로 ping 테스트 : PC와 공유기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상태 확인)

DHCP IP 할당 실패 - DHCP IP haldang silpae

* Case 3 : IP가 이상해요. 169.254.X.X는 아닌데 이상한 IP가 들어가 있네요.
-> 이더넷 어댑터 설정에서 IP 주소 할당 방식을 확인해야 합니다.
1) 윈도우 오른쪽 하단 네트워크 연결 아이콘(오른쪽 버튼 클릭)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열기 -> 어탭더 설정 변경 클릭!

DHCP IP 할당 실패 - DHCP IP haldang silpae

2) 이더넷 어댑터 연결 -> Internet protocol v4 선택 후 속성 클릭!

우측 이미지처럼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 로 설정되어야 공유기에서 IP 할당받을 수 있어요. 윈도우 재시작 및 네트워크 케이블 재연결을 진행해보시기 바랍니다.

3) 공유기 접속 후 설정 관리 확인
대부분의 공유기 IP가 "192.168.0.1"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Internet Explorer를 열어서 공유기 IP를 입력하세요.
인터넷 공유기 설정화면으로 접속될 것이며, 공유기 내 네트워크 설정 관리 부분에서 IP 할당 대역을 확인하세요.
아래 화면에서 보이는 내부네트워크 할당 대역이 192.168.0.2~254 인지 확인하세요.

DHCP IP 할당 실패 - DHCP IP haldang silpae

그리고 인터넷 연결 설정(외부)에서 동적IP방식인지, PPPoE 방식인지 확인하시는데.. 동적 IP 방식이 Default 입니다.

DHCP IP 할당 실패 - DHCP IP haldang silpae

IP를 정상적으로 할당받아 공유기까지 Ping 테스트도 성공하는데 인터넷이 안되요!!!

이럴 경우가 제일 난감하죠. <인터넷모뎀 - 공유기 - 노트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인터넷모뎀에서 공유기로 연결된 케이블을 노트북으로 바로 연결하세요. (자동으로 IP주소 할당받기 설정)
그래도 안된다면, 인터넷 모뎀 전원 On/Off
IP주소를 받아오지 못한다면 인터넷 모뎀의 문제거나 인터넷회선의 문제이기 때문에 통신사로 전화하셔서 고장접수 하세요!!

바이러스 및 브라우저의 문제일 수 있으니 그때는 KT DNS로 Ping 테스트를 해봅니다.
** ping 168.126.63.1 (KT DNS)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KT DNS 서버로 ping 테스트가 진행됩니다. 보내고 받는것이 정상적인데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안된다면 바이러스 또는 윈도우상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가능성은 희박하죠?)

개인 PC 환경이 다양하기 때문에 대처법이 다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공유기 설정 및 동작 오류로 인해 인터넷 네트워크 연결이 안될때가 태반입니다. 공유기 설치 시 매뉴얼 정독하시고요. 문제가 생기시면 위의 차례대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네트워크 확인방법 요약!!
1. 인터넷모뎀, 공유기 On/Off
2. 네트워크 케이블 재연결 및 윈도우 재시작
3. 인터넷모뎀과 직접 노트북 연결
4. IP 자동/수동 할당 확인 및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