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실외기 작동 온도 - eeokeon sil-oegi jagdong ondo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인버터 에어컨은 실내 온도가 희망온도에 도달해도 실외기가 꺼지지 않습니다.

제품이 꺼지지 않게 최소한의 전기로 희망 온도를 맞추어주고, 적은 에너지로 실내 온도를 유지해 주면서 전기료를 절약하는 절전 방식입니다.

아래의 경우에는 실외기가 꺼질 수도 있습니다.

→ 에어컨 용량보다 실내 면적이 적은 경우

실내 공간 대비 에어컨 용량을 크게 선정할 경우, 실내 온도가 빠른 속도로 낮아지고 과 냉방의 우려가 있습니다.

→ 설정 온도에 도달하여 회전 수를 낮은 속도로 운전 중에 희망 온도를 올릴 경우

인버터 제품의 실외기는 실내 온도에 따라 압축기의 회전 수[RPM]를 조절하여 냉방능력을 많게 / 적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희망 온도 보다 실내 온도가 많이 높을 경우, 많은 냉방 성능이 필요하므로 압축기 회전 수를 높이고 희망 온도 보다 실내 온도가 적게 높을 경우, 적은 냉방 성능 유지를 위하여 압축기 회전 수를 낮춥니다.

인버터 제어 방식 1 – 희망온도 도달 시, 압축기 회전수 감소 및 실외 팬 회전수 감소 [압력 제어 방식]

이때에 압축기와 실외 팬은 완전히 멈추는 것이 아니라 낮은 속도로 계속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실외기가 동작하다가 안 하다가 반복한다 또는 동작을 안 한다.]라고 느낄 수 있습니다.

인버터 제어 방식 2 – 희망온도 도달 시, 압축기 회전수 감소하지만 실외 팬 회전수 유지 [Step 제어 방식]

이때에 압축기 회전 수는 감소하지만 실외 팬 회전수는 감소하지 않아, [실외기가 동작하다가 안 하다가 반복한다 또는 동작을 안 한다.]라고 느낄 수 있습니다.

※ 실외기가 꺼지는 경우는 희망 온도 대비 실내 온도가 1도 이상 낮을 경우에만 나타납니다.
인버터 특성상 실내 온도와 희망 온도 차이가 적은 경우 압축기 회전 수를 낮춰 희망 온도를 유지시켜 절전 효과를 높입니다.

잠깐! 더 알아보세요.

이전에 사용하시던 제품이 정속형이었나요?

정속형 제품의 경우 희망온도에 도달 시 실외기 컴프레셔를 OFF 시키고 희망온도와 차이가 날 때 다시 ON 시킴을 반복하며 온도를 조절하는 방식의 에어컨입니다.
때문에 전력손실이 크고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반면 인버터 제품의 경우는 희망온도에 도달하더라도 컴프레셔를 완전 OFF 한 다기보다는 필요한 에너지를 가변적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손실이 적습니다.

인버터 제품 모델명
FNQ~, FQ~, SNQ~, SJQ~, SQ~로 시작하는 모델

정속형 제품 모델명
FNC~, SNC~, SJC~로 시작하는 모델

도움이 더 필요한가요?

LG전자 홈페이지의 고객 지원 메뉴에서 [이메일 문의 / 전화상담 예약] 메뉴를 이용해보세요.
[출장 서비스 예약]을 통해서는 전문 서비스매니저의 정확한 진단과 점검을 받을 수 있어요.

이 콘텐츠는 공용으로 제작되어 구입한 제품과 다른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To view this video please enable JavaScript, and consider upgrading to a web browser thatsupports HTML5 video

【 앵커멘트 】
폭염 속 에어컨 이용이 늘면서, 실외기 과열로 인한 화재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공동주택에서는 에어컨 실외기를 실내에 설치해야 하는데, 규정이 허술해 오히려 화재 위험이 높아졌습니다.

구영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집 안에 까맣게 탄 에어컨 실외기와 생활용품들이 나뒹굽니다.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가 과열되면서 화재가 발생한 겁니다.

소방청에 따르면 이렇게 최근 5년간 발생한 에어컨 관련 화재는 1,100여 건.

불은 대부분 실내에 있던 에어컨 실외기에서 시작됐습니다.

에어컨 실외기가 실내에 설치돼 있는 오피스텔을 들여다봤습니다.

▶ 스탠딩 : 구영슬
- "에어컨을 켜서 실내에 있는 실외기를 작동시켜 봤습니다. 30분이 지난 뒤 실외기 온도를 측정해봤는데요. 이렇게 무려 50도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풍이 잘 되는 실외에 비해 온도가 쉽게 올라 화재위험이 높은 겁니다.

현행법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공동주택에서는 미관상 문제와 낙하 위험 등을 줄이기 위해 에어컨 실외기를 실내에 설치해야 합니다.

문제는, 이로 인해 실외기 과열로 인한 화재위험이 높다는 겁니다.

국토부에서 실외기 설치 공간에 대한 세부기준을 내놓았지만, 정작 열기가 빠져나갈 환기나 통풍창의 크기 등에 관한 규정은 없습니다.

게다가 에어컨 실외기는 소방 설비가 아니기 때문에 소방법에도 실외기 설치나 관리에 대한 기준이 없습니다.

▶ 인터뷰 : 이재규 / 광주 서부소방서
- "(실외기실 같은 경우) 장소가 비교적 협소하며, 세탁기, 빨랫감, 일상용품 등이 적재돼 있는 경우가 많아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쉽게 축적되고 먼지가 쌓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화재가 삽시간에 확대될 수 있습니다."

미관상 이유로 건물 안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KBC 구영슬입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에어컨 실외기 작동 온도 - eeokeon sil-oegi jagdong ondo

겨울에 에어컨을 틀면 방안이 따뜻해질까요? 사진은 한 기업의 에어컨 광고 화면.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썝蹂몃낫湲 븘씠肄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올 겨울 기온은 영하로 떨어질 때도 있었지만, 대체로 한 자릿수의 기온을 유지하면서 따뜻한 편이었습니다. 아무리 따뜻해도 겨울은 겨울이기 때문에 난방기를 켜야 합니다.

요즘은 천장에 고정된 냉난방기가 사무실의 기온을 사계절 내내 조절합니다. 그런데 이 공용 난방기의 위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네모반듯하지 않은 사무실의 경우는 추운 자리가 더 많을 겁니다.

이럴 때 직장동료 중 누군가가 예전에 사용하던 한쪽 구석에 버티고 선 에어컨을 보며 "에어컨이라도 틀자"라고 말합니다. 이렇게 말한 동료는 바깥의 기온이 에어컨에 설정된 최저온도보다 낮으니, 에어컨 온도를 27℃ 정도만 맞춰놓고 틀어도 실내는 따뜻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겁니다.

바깥의 기온이 -2℃라고 가정하고 에어컨의 희망온도를 27℃로만 맞춰도 에어컨이 실내온도를 27℃ 근처까지는 올려주지 않겠느냐고 계산한 것이지요. 과연 그 사람의 계산처럼 에어컨을 틀면 실내는 27℃로 따뜻해질까요?

더울 때 바람이 불면 시원하다고 느끼는 것은 땀이 바람에 의해 증발하면서 몸에 있는 열을 빼앗아가기 때문입니다. 어떤 물질의 상태가 고체에서 액체, 액체에서 기체 등으로 변할 때는 주변에 있는 열을 흡수하게 됩니다. 고체가 액체로 변할 때 흡수하는 열은 융해열, 액체가 기체로 변할 때 흡수하는 열은 기화열이라고 합니다.

에어컨은 기화열을 이용해 공기를 차갑게 합니다. 에어컨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기체를 액체로, 액체를 기체로 바꿀 수 있는 물질, 즉 냉매(에어컨 가스)가 필요합니다. 에어컨을 틀면 압축기가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시켜 냉매의 온도를 80~100℃까지 올립니다.

이렇게 데워진 냉매는 응축기로 이동합니다. 여름의 바깥온도는 기본적으로 30℃를 넘어 무덥지만, 데워진 냉매에 비해선 아주 차갑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냉매는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떨어지고, 기체 상태에서 액체로 바뀌게 됩니다. 기체가 액체로 바뀌면서 열이 방출됩니다. 이 열은 실외기를 통해 밖으로 내보내집니다. 실외기에서 뜨거운 바람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지요.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체가 된 냉매는 다음 단계인 팽창밸브로 이동합니다. 팽창밸브는 통로가 갑자기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집니다. 그러면 팽창밸브를 이동하던 냉매의 속도가 빨라지고, 압력과 온도도 낮아집니다. 이 과정에서 냉매는 아직은 액체지만 기체로 변하기 쉬운 상태로 변해 증발기로 보내지게 됩니다.

증발기에서 실내의 뜨거운 공기와 만난 냉매는 액체에서 기체로 바뀌게 됩니다. 이 과정, 즉 증발을 통해 액체가 기체로 바뀌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합니다. 그래서 주변의 공기가 차가워지고, 이 차가워진 공기를 실내기를 통해 실내로 내보내게 되는 것이지요.

기체가 된 냉매가 다시 압축기로 들어가면서 같은 과정이 반복돼 실내의 공기는 차가운 공기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일정시간 작동해 실내가 시원해지면 냉매를 증발시킬 뜨거운 공기가 없기 때문에 실외기는 작동을 멈춥니다. 이쯤에서 에어컨의 기능을 제대로 분석되셨나요? 실내기는 뜨거운 공기를 차게 식히는 기능만 있다고 봐야 합니다.

겨울의 실내는 에어컨을 틀어놓은 온도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결국 에어컨을 틀어도 실외기가 가동되지 않습니다. 켜도 에어컨 기능은 작동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에어컨의 냉방모드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외부 기온이 21~43℃ 정도는 돼야 합니다. 실내온도도 18~32℃ 정도에서 작동한다고 합니다. 실내온도가 최소 18℃ 이상은 돼야 한다는 말이지요.

에어컨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기능을 서로 바꾸면 가능합니다. 이런 에어컨을 '히트펌프(Heat pump)'라고 하는데, 실외에서 공기나 물, 땅 등 외부의 열원에서 열을 흡수해 실내로 따뜻한 바람을 보낸다고 합니다. "추운데 에어컨이라도 틀자"라고 말한 직장동료의 생각은 틀린 것입니다.

김종화 기자

  • 주요 뉴스

    에어컨 실외기 작동 온도 - eeokeon sil-oegi jagdong ondo

    [단독]국토부·서울시, 은마아파트 재건축 추진위 합동조사 착수

    내일 한겨울 기록적 강추위…아침 체감온도 영하 15도 내외 '뚝'

    中 코로나 봉쇄에 IT·자동차 등 생산 차질↑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