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섬유화검사 해석 - ganseom-yuhwageomsa haeseog

간섬유화검사(Fibroscan)는 어떤 검사인지 알아보자!

간섬유화검사 해석 - ganseom-yuhwageomsa haeseog
복숭아스무디2021. 2. 2. 10:45

안녕하세요, 내과 전문의 복숭아스무디입니다.

오늘은 간섬유화검사 (Fibroscan) 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

간섬유화만성 간내 염증으로 인한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과다한 침착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포외 기질의 과다한 침착으로 만성간질환이 지속되는 경우 결국은 간내 구조의 변형과 간세포수의 감소로 간경변으로 진행되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간세포 손상 (간염 등) 이 지속되면 간에 흉터가 계속 생기면서 점점 딱딱해지고 (간섬유화) 그런 간섬유화가 간 전체에 걸쳐 많이 진행되면 간경변, 즉 일반적으로 알고 계시는 용어인 간경화가 되는 것입니다.

간섬유화검사 해석 - ganseom-yuhwageomsa haeseog

@echosens

예전에는 간 섬유화 정도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간 초음파 검사나 간 조직검사 (바늘로 피부를 찔러 간 조직을 일부 떼어냄) 를 시행했습니다. 하지만 간 조직검사는 검사 후에 통증이나 출혈 등을 유발하기도 하는 침습적인 검사라 어느 정도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지요. 그래서 검사를 받는 환자도 부담이 되고, 의사도 적극적으로 권유하기엔 부담이 있는 검사입니다.

이러한 조직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비침습적인 간섬유화스캔 Fibroscan® (EchoSens, Paris, France) 검사는, 간 부위에 장비를 대고 진동을 발생시켜 간 섬유화 정도를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진동이 간 조직으로 전달되면 초음파 음속을 측정하여 이 수치로 간이 얼마나 딱딱해졌는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조직이 딱딱할수록 전파되는 속도가 빠른 원리를 이용합니다.)

그래서 간 섬유화와 지방간의 유무 및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환자의 부담을 크게 줄였습니다. 약 90%의 환자에서 간조직 생검 없이 간경변증을 진단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단, 비만인 경우 (BMI 28.0 kg/m2 이상) 탄력도를 측정할 수 없는 경우가 흔하며, 복수가 있거나 늑간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측정이 불가합니다. *

B형 간염

C형 간염

알코올성 간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지방간

자가면역간염

혈색소침착증 및 윌슨병과 같은 유전 질환

그 외 간질환

+ 건강검진 대상자

우선 검사 소요시간은 약 5-10분 정도 걸리며, 검사 전에는 3시간 가량 물 등을 일체 드시지 않은 금식을 해야 합니다.

간섬유화스캔 검사 시에는 진동자와 초음파 변환기로 이루어진 탐촉자(probe)를 간 부위의 갈비뼈 사이(늑간)에 대고 진동을 유발시켜 수치를 측정합니다.

간섬유화검사 해석 - ganseom-yuhwageomsa haeseog

간 섬유화 스캔은 짧은 검사 시간 동안 시행할 수 있으며, 간의 탄성 점수는 초음파가 간을 통과해 다시 돌아오는 속도를 변환시킨 kPa 라는 단위로 표시됩니다. 이 kPa 수치는 간염 등에 의해 간 섬유화 및 간경변이 많이 진행되어 있을수록 수치가 높아집니다.

간 섬유화 스캔의 경우 약 90%의 환자에서 간조직 생검이 없이 간경변증을 진단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간경변증의 예측에 필요한 cutoff 값은 연구에 따라 다르며 11.8 kPa에서 17.3kPa까지 비교적 다양합니다.

제 간섬유화검사 수치가 9라는데, 많이 나쁜 건가요?

아래 표를 보시면, 각각 질환에 따라 kPa 수치에 따른 fibrosis stage (섬유화 단계) 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간섬유화검사 해석 - ganseom-yuhwageomsa haeseog

@docpanel

예를 들어 50세 C형 간염 남성 분이 간섬유화검사에서 9kPa 라는 결과 값을 얻었다면, F2에 해당하게 됩니다.

간섬유화검사 해석 - ganseom-yuhwageomsa haeseog

@docpanel

그러면 F2는 Moderate liver scarring, 즉 중등도의 간 섬유화가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간섬유화검사 (Fibroscan)간의 굳은 정도를 측정할 뿐 아니라 지방간도 진단할 수 있어, 검사의 효용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최근에는 간섬유화스캔 검사가 간경변증 환자의 간암 발생 예측에도 유용하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어 향후 중요한 간 평가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간섬유화검사는 비급여 검사로, 알아보니 비용이 병원별로 꽤 차이가 있네요. ^^; 궁금하시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꾹, 서이추 부탁드려요 :)

#간섬유화 #간경변 #간섬유화검사 #간섬유화스캔 #fibroscan #간섬유증 #간암예방 #간질환 #간질환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