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서 소속 영어로 - ilyeogseo sosog yeong-eolo

‘소속’ 영어로

제가 원어민 강사로서 일하면서 한국에서 ‘소속'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접하게 된 것은 아마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서류 양식의 공란에 나와 있었던 것 같아요.

그 서류의 발급처와 서류 작성자의 입장에따라 ‘소속'의 뜻은 영어로 할 때 좀 다를 수 있어요.

직장인의 ‘소속'

회사에 취직하고 있는 직장인의 소속 구분할 때 ‘부서'나 ‘팀'이라는 개념으로 division, department, team 으로 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계 단위의 조직 개념으로 하자면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어요.

영어 표기한국어 뜻
division 부서
department
team

조직의 규모와 형태에 따라 다를 수도 있으니 여러분의 회사에 맞게 바꿔 쓰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아래와 같은 조직이 있다고 하면 주황색 부분division 이 될 수도 있고 department 도 될 수 있죠.

조직을 지역 혹은 대륙마다 구분한다고 하면 North American Division, Asia-Pacific Division 처럼 할 수 있는 것죠.

예를 들어서 이것은 제가 옛날에 일했던 어학언의 퇴직서 양식입니다.

어학원의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는 division, department, team 아무거나 사용해도 괜찮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초등부'는 ‘elementary school division' 처럼요.

대학교의 ‘소속'

대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수 또는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이라면 대학교 내 소속을 듯하는 말로 아마department가 가장 적절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UC Berkeley 와 같은 큰 대학교에서는 이렇게 구분합니다.

구분
college College of Letters & Science
division Arts & Humanities Division
department Department of Philosophy

즉 철학 전공자는 Department of Philosophy (철학부)에 소속 되어 있고, Department of Philosophy 는 Arts & Humanities Division 의 속하고 Arts & Humanities Division 은 College of Letters & Science 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UC 버클리의 조직도를 나름대로 만들어 봤는데 이렇게 돼요.

한국에서 말하는 ‘문과' 와 ‘이과'는 보통 각각 ‘liberal arts' 와 ‘science' 라고 합니다. 하지만 UB Berkeley의 예를 보다시피 학교마다 구분하는 방법이 다르다는 점도 알아 두세요.

공급자・프리랜서・개인사업자의 ‘소속'

제가 어떤 대학교에서 계약직으로 강사로서 일했어요. 그 때 ‘강사료 지급 확인서'라는 서류를 작성하게 되었는데, 여기서 ‘소속'이라는 공란이 있었습니다.

이미 이 대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강사라면 ‘영어 교육부'등 관련 부서를 기입하면 되는데 저처럼 계약직으로 일하는 강사한테 이 양식을 작성하게 할 때 가장 적절한 ‘소속'의 영어 표현이 무엇일까요?

제3자한테(공급자・프리랜서・개인사업자 등) 이 서류를 작성하게 할 때 ‘소속'의 영어 표현은 이정도로 하면 되겠습니다.

  1. Employer, Current Employer, Current Employment, Organization, Company
  2. Affiliation, Affiliated Organization, Association, Associated Organization

현 근무처라는 뜻으로 employer, current employment, 또는 company 처럼 하면 되겠습니다.

그 반면 affiliation 또는 association 이라고 하면 ‘관련 조직' 또는 ‘회원 조직'이라는 듯으로 ‘소속' 만큼 고정되어 있지 않은 느낌입니다.

제가 affiliation 이라는 공란을 보게 되면 제가 회원이기 때문에 KOTESOL (한국 영어 교육 조직) 또는 American Translators Association (미국번역사협회) 라고 기입할지도 몰라요.

affiliate 는 제휴라는 뜻도 있습니다.

모델, 아티스트, 음악가, 배우

예능하는 분들은 대부분은 소속하는 에이제니씨가 있지요.

그런 분들 대상으로 하는 경우 affiliation, affiliated agency 또는 agency (if applicable) 정도로 표기하면 될 것 같아요.

If applicable 는 ‘해당 하면' 이라는 뜻입니다.

‘소속'이 없을 때 쓰는 영어

소속이 없으면 여기서 하나 고르셔서 쓰면 되겠습니다.

  1. None, N/A, Not Available (없음)
  2. freelancer, sole proprietor, 본인이름 (개인사업자)

제가 몇년 한국에서 살면서 왠지 사람들은 ‘어디 소속'이라는 개념이 좀 강한 것 같아요. 처음 만나는 사람과 자기소개하면서 ‘어디 소속이세요?'라는 질문을 몇번 들어 본 적 있는 것 같아요.

저는 회사에 근무하고 있었을 때도 모델 에이젠씨에 모델로서 들어 있었을 때도 자기 회사를 운영하고 있을 때도 ‘나는 어디 소속의 사람이다'라는 생각보다 ‘나는 무엇을 하는 사람이다'라는 생각과 말이 먼저 나와요. 저만 그런 가요?

About Josh

이 글을 쓴 사람
언어와 문화 학습을 좋아하는 일본계 미국인 Josh 입니다. 영어와 일본어를 하고 제3개국어인 한국어는 20대에 배웠습니다. 통번역사, 프로젝트매니저, 마케터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분이 스마트하게 보일 수 있는 영어 스피킹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영어와 발음과 엑센트에 관한 강좌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분야: 비즈니스 영어, 프레젠테이션, 발음 교정 現: 유튜브채널 SplashEnglish 운영前: 서울교육대학교, 김미경 영어 스피치 트레이너. 협동: EBSe, JEI 재능, 메가스터디, 제주항공, 캠블리, 코어소리영어, AranTV. 다룰 줄 아는 악기: 탬버린.좋아하는 음식은 타코스.

대학(원)

학위명칭 영문표기 기준원칙

학 사

석 사

박 사

인문대학

∙Bachelor of Arts

∙Master of Arts

∙Ph.D. in Literature
∙Ph.D. in Philosophy

사회대학

∙Bachelor of Arts in
∙Bachelor of Arts(전공)

∙Master of Arts in ~

∙Ph.D. in ~

자연대학

∙Bachelor of Science in~ (전공)

∙Master of Science

∙Ph.D. in ~ (전공)

간호대학

∙Bachelor of Science in~

∙Master of Science

∙Ph.D. in ~

경영대학

∙Bachelor of Businesss Administration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보통 MBA라고 많이 알려져있죠)
 
-본 명칭은 과거 25년이상 전통적으로 사용하여 왔음.
-미국의 경우 일부대학만이 Master of Science 학위를 수여하고 있음
 
-Master of Science in BA명칭을 사용하는 학교의 경우에도 MBA와 MS학위를 동시에 수여하는 경우에만 MBA와 MS라는 학위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함.
 
-학교차원에서 일반대학원 의 경우 MA in~ 또는 MS in~으로 경영대학 석사명칭을 결정할 경우 Master of Science in Business Administration을 선호하며, 전문대학원 설립시기에 맞추어 명칭적용은 경과조치를 두어야 함.
 

Ph.D. in Business Administration
 
 
 
 
 
 
 
 
 
 
 
 
 
 
 
 
 
 

공과대학

∙Bachelor of Science in Engineering(전공)

∙Master of Science in Engineering

∙Ph.D. in Engineering

농생대학

∙Bachelor of Science in~
∙Bachelor of Arts in~
 
 
 
 
 
 

∙Master of Science in~
∙Master of Arts in~
Master of Landscape Architecture(조경학)
조경학과는 설계 및 실무를 위주로 커리큐럼이 구성되어 있으며, 국제적으로 실무에서 경쟁력을 갖으려면 Science가 붙지 않은 학위를 수여해야 함.

∙Ph.D. in ~





미술대학

∙국제적인 표준에 따라 Bachelor of Fine Arts로 하고, 전공명을 병기함.        

∙국제적인 표준에 따라 Master of Fine Arts로 하고, 두 전공이 있는 디자인학부는 전공을 병기하고, 서양화과의 미술이론전공은 Naster of Arts학위에 전공명을 병기함.

법과대학

∙Bachelor of Law -현행 영문표기

∙Master of Law - 현행 영문표기

∙Ph.D. in Law - 현행 영문표기

사범대학

∙Bachelor of Arts∙Bachelor of Science∙Bachelor of Sports Science  

∙Master of Arts in Education∙Master of Science in Education∙Master of Sports Science  

∙Ph.D. in Education∙Ph.D. in Mathematics Education∙Ph.D. in Science Education∙Ph.D. in Sports Science

생활대학

∙Bachelor of Arts∙Bachelor of Science

∙Master of Arts∙Master of Science

∙Ph.D. in Human Ecology

수의대학

∙Doctor of Veterinary Medicine -현행 영문표기

∙Master of Veterinary Medicine -현행 영문표기

Ph.D. in Veterinary Medicine -현행 영문표기

약학대학

∙Bachelor of Science in Pharmacy

∙Master of Science in Pharmacy

∙Ph.D. in Pharmacy

음악대학

∙Bachelor of Music -현행 영문표기

∙Master of Music -현행 영문표기

의과대학

∙Doctor of Medicine -현행 영문표기

∙Master of Medical Science -현행 영문표기

∙Ph.D. in Medical Science

치과대학

∙Doctor of Dental Surgery -현행 영문표기

∙Master of Science in Dentistry -현행 영문표기

∙Ph.D. in Dental Science

보건(원)

∙Master of Public Health -현행 영문표기

∙Ph.D. in Public Health

행정(원)

∙Ma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현행 영문표기

∙Ph.D. in Public Administration

환경(원)

∙Master of City Planning∙Master of Landscape Architecture -현행 영문표기

∙Ph.D. in City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