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스 해부 고찰 - mauseu haebu gochal

일반생물학

[일반생물학] exp4. Mouse 해부 관찰

exp4. Mouse 해부 관찰 

2012. 11. 05(월) 5-6교시

1. Introduction

- 인간을 대상으로 하기 어려운 수술적 처치, 신약개발, 임상실험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동물

- 사육 용이, 대량 생산, 취급용이, 번식력 우수, 유전적 균일, 적합 환경 사육, 저렴 등

- 초파리, 예쁜꼬마선충, 쥐, 개, 원숭이 등이 존재

- 실험실 동물 장점

▶ 유전적 특성을 달리하는 계통이 만들어져 유지되고 있으므로 연구목적에 적합한 계통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

▶ 세대간격과 생산수명이 짧음

▶ 번식력이 우수하고 사육관리가 쉬움

▶ 사람에 대응하는 질병의 쥐를 선택하여 목적에 맞는 실험이 가능 (당뇨, 고혈압, 아토피, 면역질환 등)

- 실험실 동물 장점

▶ 체격이 작기 때문에 외과 수술 또는 실험 장치를 몸에 부착하는 것이 불편함

▶ 시료(혈액, 뇨 등)를 연속적으로 채취하는 것이 불편함

- 분류학상 쥐목으로 분류

- 임신에서 출산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략 3주임

- 실험에 사용되는 쥐의 나이는 주령이라 부름

- 쥐는 1주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세는 것이 일반적임

- 즉, 1주령이 지나면 '1주령 쥐' 등으로 나이를 매김

- 몸은 머리-목-몸통-꼬리의 4부분으로 구분

- 털로 덮여 있으며 젖샘이 있어 새끼에게 젖을 먹이고 온혈동물임

- 뇌의 발달이 다른 동물에 비해 매우 뛰어남

- 심장은 2심방2심실로 되어져 있으며 땀샘이 있고, 체내수정을 함

- 3R

▶ Replacement

 - 동물실험 → 체외배양, 시뮬레이션, 비디오

 - 고등(토끼, 원숭이...) → 하등동물 (CNS 無)

 - 동물실험이 불필요 → 대체 필수

▶ Reduction

 - 개체 수 최소화 → 만족 결과

 - 환경 조절, 실험동물 표준화, 과학적 실험

▶ Refinement

 - 정교한 실험 : 실험동물 고통/stress 감소

 - 욕구 해결, 적절한 사육/환경 유지

 - 마취법, 안정적 취급, stress 감소

2. Materials & Methods

 - Materials

 ▶ 생쥐(Mouse), 해부접시, 해부기 Set, 해부판, 핀셋, Latex Glove

 - Methods

① 목을 잡고 꼬리를 잡아당겨 목뼈를 절단함으로써 덜 고통스럽게 죽인다. 다른 방법으로는 마취제(Ether)를 이용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주의사항(심장이 멈출 때까지 기다려야 해부를 할 때 피가 덜 나온다.)

② 외부 형태를 관찰한다. (몸 길이, 앞니를 측정)

③ 생식기와 항문을 관찰하여 암수를 판단한다.

④ 복부가 위를 향하도록 해부판에 놓고, 발을 핀으로 고정한다.

⑤ 피부를 먼저 절개한 후, 내장이 상하지 않도록 근육을 절개한다.

⑥ 흉부 및 흉골을 절단하여 연 다음 내부형태를 관찰한다.

3. Results

4. Discussion

- 장기의 기능

 계통

 주요 관련 기관

  기능

 피부계

피부, 털, 손톱, 발톱

손상과 이물질로부터 체내구조를 보호하고,

탈수를 막고 체온 조절에 기여

 골격계

 뼈, 연골, 관절

연조직과 기관을 보호하고 지지

 근육계

골격근, 심장근, 내장근, 근막, 건

인체의 수의적, 불수의적 운동

 신경계

뇌, 척수, 신경, 특수감각기관

신체활동의 조절, 통합, 고위정신 기능,

내외환경을 지각하고 적응

 내분비계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췌장, 부신

호르몬의 생산과 분비, 신체활동의 조절 통합

 순환계

심장, 혈관, 혈액, 림프종

가스, 영양물, 노폐물 등의 운반 림프구 및 항체의 생산

 호흡기계

코,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 폐

 기도로 통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및 배출

 소화기계

 입, 식도, 위, 소장, 대장, 간, 췌장, 담낭, 타액선

 음식물의 소화 및 흡수

 비뇨기계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노폐물, 수분의 배설

 생식기계

난소, 자궁, 난관, 질, 정소, 정관, 고환, 전립선

난자 및 정자의 생산과 배출, 수정란 잉태 및 성숙

- 각각의 장기가 색깔 및 크기가 다른 이유

 몸 속의 장기가 똑같은 색과 크기를 갖지 않는 이유는 몸에서 하는 역할이 다르기 때문이다. 심장은 꾸준히 온몸으로 피와 산소를 공급해야 하므로 다른 장기보다 근육층이 두껍고 동맥혈이 지나는 부위는 산소와 영양소가 많아서 선명한 붉은색을 띠고, 정맥혈이 지나는 부위는 노폐물과 이산화탄소가 많아서 검붉은 색을 띠게 된다. 심장이 크기가 너무 크다면 주변에 있는 폐와 같은 장기와 마찰이 있을 수도 있고 급소이므로 다쳤을 때 출혈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크기가 적당해야 할 것이다.

 그에 비해 장기 중 가장 큰 크기를 가진 간은 심장과 같은 운동을 하지 않아 섬유성 막으로 싸여 있고 표면이 매끈하여 적갈색을 띤다. 심장에서 내보내는 피의 약 25% 정도가 간을 거쳐 지나가는만큼 간에서는 많은 역할을 담당하므로 크기도 큰 것으로 예상. 간의 기능으로는 탄수화물 대사, 아미노산 및 단백질 대사, 지방 대사, 담즙산 및 빌리루빈 대사, 비타민 및 무기질 대사, 호르몬 대사, 해독 작용 및 살균 작용 등의 다수의 대사작용의 역할을 함.

따라서 각 장기의 역할과 분비되는 호르몬, 분비액 등의 차이로 인해 색깔 및 크기가 다름.

5. Reference

http://blog.naver.com/kiss5645/140172200552

http://cafe.naver.com/khealth/292

소개글

"마우스의 해부 및 기관 관찰 결과 Report"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기본정보

Ⅱ. 서론 (Introduction)
1. 쥐 (Rattus norvegicus)
1-1. 분류학적 위치
1-2. 외부형태
2. 쥐의 주요기관의 위치 및 특징
2-1. 심장
2-2. 폐
2-3. 간
2-4. 신장
2-5. 비장
2-6. 위
2-7. 소장 및 대장

Ⅲ. 실험재료 및 방법 (Materials & Methods)
1. 실험재료(Materials)
2. 실험 방법 (Methods)
2-1. 마우스의 암수 구별
2-2. 해부를 통한 내부 기관 관찰

Ⅳ. 실험결과 및 결론 (Data and Results)

Ⅴ. 고찰 (Discssion)
1. 내부형태
2. 생식기관(reproductive organ)
3. 포유강
4. 필요성

Ⅵ. 참고 문헌 (Reforence)

본문내용

Ⅰ. 기본정보
실험 제목: 마우스의 해부 및 기관 관찰
실험 목적: 생쥐의 내부 및 외부형태를 살펴봄으로써 생태적특징과 몸의 구조를 이해하는 실험
실험자: antler11

Ⅱ. 서론 (Introduction)
1. 쥐 (Rattus norvegicus)
설치목 쥐아목 쥐과에 속하며, 속칭이 시궁쥐이고 학명은 Rattus norvegicus인 동물. 야생종은 주택 또는 그 주변을 생활권으로 삼고 있으므로 인간의 생활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곰쥐(R. rattus), 생쥐(Mus musculus)와 같이 집쥐로 총칭하는 명칭이 있다. 곡류을 식해하고, 여러 가지 전염성 질환을 직간접으로 매개하며, 중요한 해수로 구제의 대상이다.
사람과 같이 이동하여 분포는 범세계적이다. 기원은 중동지역, 또는 말레이시아반도라고 보고 있다. 염색체수는 2n=42, 성의 성숙에는 50~80일을 소요하고, 성주기는 4~5일, 임신기간은 12~14일, 산자수는 약 10 마리, 포유기간은 21일이다. 실험용 쥐는 시궁쥐를 순화, 개량한 것으로 19세기 중엽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많은 계통이 존재하는데, 고혈압 쥐(SHR)등 사람 질환의 모델동물이 되는 계통도 다수 수립하고 있다.
동일 계통명을 갖는 것(예를 들면 wistar계통)이라 해도 유전학적 성질은 상당히 다르며, 실험에 있어서는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비교적 대형으로 각 장기 중량이 크기때문에 다량의 장기를 필요로 하는 생화학적실험에 적합하다. 생쥐와는 달리 내재성 바이러스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변이원에 의한 발암과정에도 적합하다. 근래 유전학 방면에서의 수요도 많고 기초 자료로도 이용된다.

참고 자료

김익달 저, <Korean encyclopedia 대백과사전>, 학원사, 2003, p. 832
김완종 외 9인, <해부학실습>, 정문각, 1992, p.238~263
강두희 저, <생리학> 제4판, 신광출판사, 1992, p.130
강신성 저, <생물과학> 제3판, 아카데미서적, 2000.02.10
곽대오 외 9명 공저, <일반 생물학>, 형설출판사, 1997, p. 342, 344, 345
네이버 지식백과, 쥐 [rat],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ld=422498&cid=60261&categoryld=60261
대학생물학 교재 편찬 위원회, <일반생물학>, 자유아카데미, 1996, p. 288~295
이정일 저, <일반 생물학 및 실험서> 1999, P 203~210
약물학분과회, <약물학/독성학 실험>, 신일북스, 2004, 14∼16p
예방약학분과회, <예방약학>, 신일북스, 2020, 232∼237p
George C.kent&Larry Miller, <척추동물의 비교생리학>, 월드사이언스, 1999, 1st 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