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 변화 나이 - mogsoli byeonhwa nai

나이가 들면 목소리도 늙는다. 성대가 늘어지면서 소리가 탁해지거나 갈라지는 것이다. 흔히 고령(高齡)이 되면 성대 탄력을 유지하는 콜라겐 섬유가 줄어든다. 얼굴 피부에 주름이 생기듯 성대에도 잔주름이 생긴다. 탄력 잃은 성대는 양쪽 아귀가 딱 맞게 마찰하지 못해 쉰 소리가 난다. 성대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는 윤활액 분비도 감소한다. 진동이 고르지 않아 음향의 풍성함이 준다. 후두 연골에 칼슘이 축적돼 뼈처럼 딱딱해지는 경화(硬化) 현상도 온다. 이 경우 성대 유연성은 더 떨어져 높낮이 조절이 쉽지 않다. 식도와 위장 사이를 조여주는 괄약근이 약해져 그사이로 위산이 역류, 성대를 상하게 해 목소리가 탁해지기도 한다.

  그런데 올해 77세인 연극배우 박정자의 목소리에는 이른바 ‘나이살’이 거의 없다. 젊은 여성처럼 낭랑하고, 찰랑찰랑하다. 멀리까지 소리가 퍼지는 '음성 줄'도 길다.

     왜 그럴까. 김철중 조선일보 의학전문기자가 그 이유를 집중취재했다. 김 기자는 연세대 의대 명예교수인 최홍식 하나이비인후과전문병원 목소리클리닉 원장의 도움을 얻어 박정자씨의 ‘목소리 비밀’을 알아봤다.

박정자씨를 대상으로 후두내시경, 목소리 음향검사, 발성 지속 시간 검사, 공기 사용량 측정, 발음·조음의 정확도 검사 등을 실시했다.

박정자씨의 경우 성대가 늘어져 나타나는 갈라지는 듯한 소리나 탁성이 거의 없었다. 최장 발성 지속 시간 또한 동년배 여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길었다. 발성시 호흡도 안정적이었다. 녹음된 대화 목소리 분석에서 발음과 조음은 명확했다. 공명을 내는 인두 상태가 좋고, 혀와 턱과 성대의 유기적인 놀림이 정확했다.

검사를 맡은 최홍식 교수는 "내시경으로 보니 위산 역류나 염증 없이 성대가 깨끗하다"며 "성대가 늘어져 휘는 현상이 없고 탄력도 좋다"고 평가했다. 직업으로서 ‘연극배우’가 좋은 목소리를 갖게 했다는 게 최 교수의 분석이다.

   최 교수에 따르면, 배우로서 체득한 복식 호흡이 발성을 안정적이게 하고 소리를 힘 있게 보낸다. 성대를 너무 안 쓰면 단조로운 모노톤 목소리가 된다. 성대는 현악기와 같아 평소에 다양한 음역대별로 목소리를 내고 갈고닦아야 녹슬지 않는다고 한다. 나이 들어도 맑고 힘 있는 목소리를 가지려면 연극배우처럼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고음(高音) 저음(低音) 섞어 가며 다양한 톤의 소리를 내고, 큰 소리도 적절히 질러야 한다. 가끔 노래방 가서 다양한 노래를 부르는 것도 좋다.

  의사이기도 한 김 기자는 “나이 들면 목 주변 살들이 늘어져 젊었을 때보다 코골이가 심해지고 침과 점막 점액 분비도 감소한다"며 “성대 노화를 촉진하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좋은 목소리를 유지하려면 코골이 치료를 적극적으로 받고, 구강 건조를 줄여야 하며, 커피도 줄이고, 물을 조금씩 자주 마시는 게 좋다고 권했다. 또 위산 역류를 막기 위해 소식(小食)하고, 식사 후 바로 누워 지내는 습관도 버릴 것을 주문했다. 김 기자는 “목소리 관리에 금연은 필수"라고 했다.

     다음은 최 교수와 김 기자가 전한 ‘나이 들어도 맑은 목소리 유지하는 비법 10가지’다.

1. 확실하게 천천히 이야기할 것

2. 지나치게 장시간 말하거나 무리하게 노래하지 말 것

3. 넓고 시끄러운 곳에서 큰 소리로 말하지 말고 마이크 쓰기

4. 목이 쉬거나 피곤할 때는 음성 사용 자제

5. 극단적인 고음이나 저음을 내지 말 것

6. 금연하고 술·커피 등 탈수 유발 식품 과다 섭취 피할 것

7. 역류성 인두염 막기 위해 소식하기, 식후 바로 눕지 않기

8. 성대 점막 건조 줄이기 위해 물을 자주 조금씩 마시기

9. 코골이 개선하기

10. 목소리 이상해지면 병원서 성대 검진

Copyright ⓒ 서울스트리트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설 연휴를 앞두고 오랜만에 온 가족을 만나 밀린 이야기를 나눌 생각에 벌써부터 들 뜬 사람들이 많다. 이번 설 연휴에는 재미있고 즐거운 얘기도 좋지만 가족들의 건강에 대한 얘기를 나눠보는 것이 어떨까? 특히 그 동안 크게 신경 쓰지 않았던 가족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목소리는 성대의 건강 상태를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목소리 건강에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 딱히 눈에 보이는 흉터나 통증이 없다 보니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이상을 느껴도 방치하기 쉽기 때문이다.

음성언어치료전문 프라나이비인후과 안철민 원장은 “목소리는 성대 건강의 이상 및 음성질환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이므로 평소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나이가 들수록 성대도 노화하고, 이로 인한 다양한 음성질환도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사소한 목소리 변화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모님의 경우, 한 해 한 해 나이가 들수록 목소리가 점점 허스키하고 거칠게 변하는데 이는 성대가 늙고 약해졌다는 신호다. 나이가 들면 성대 인대의 긴장이 떨어지고, 성대 주변 근육이 위축되며, 탄력이 떨어지면서 주름이 생긴다.

이로 인해 성대 사이에 간격이 생기면서 바람이 새는 듯한 소리가 나고, 성대 진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점액의 분비도 줄어 목소리가 점점 거칠어지고 쉰 목소리가 나는 탁성화 현상이 생긴다.

폐 기능 저하도 목소리 변화의 원인이다. 나이가 들수록 심폐량이 떨어지면서 목소리를 만들어내는 호기력도 떨어져 맑은 소리를 내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목소리의 노화는 근육, 폐 기능 등 몸의 전반적인 체력과도 연결되어 있는 만큼 갑자기 목소리가 변했다면 부모님 건강에 빨간 불이 켜졌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취업 준비 중이거나 한창 사회생활을 하고 있는 청년층이라면 목소리의 떨림을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 특히 조금만 흥분하거나 긴장을 해도 목소리가 떨리면서 우는 듯한 소리가 난다면 연축성 발성장애를 의심해볼 수 있다.

연축성 발성장애는 후두신경 조절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성기관을 형성하는 후두 근육들에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근육 수축이 일어나 성대의 진동이 불규칙해져 음성이나 발성에 장애가 나타나는 것이다.

한창 뛰노는 나이의 아이들이라면 허스키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어릴수록 격렬한 행동과 함께 소리를 지르면서 악을 쓰는 등 과도한 발성습관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아이들은 성대결절이나 성대폴립과 같은 음성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이처럼 연령에 따라 다양한 음성질환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가족들의 목소리 변화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대부분의 음성질환은 간단한 후두내시경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은 후 적절한 치료를 하면 충분히 개선이 가능한 만큼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대 노화로 인한 목소리 변화는 탄력이 떨어진 성대 근육을 찾아 선택적으로 보톡스나 필러를 주입하는 간단한 시술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소리를 낼 때마다 자신도 모르게 성대 근육을 긴장시키거나 자신의 음역대에 맞지 않게 과도한 발성을 하는 등 잘못된 발성습관이 원인이라면 한 달 정도 음성언어치료를 통해 개선이 가능하다.

이창환 기자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목소리 변화 나이 - mogsoli byeonhwa nai

�ǰ��ϸ� ��Ҹ��� ���Ѵ�. ��ȭ�� �ʸ��� ��Ҹ��ε� ����� �� ���¸� �˾�ç �� �ִ�. ���̰� ��� ��Ҹ��� ��ȭ ������ �޴´�. �Ҹ��� ���� ���밡 ������ �帣�� �ֺ� ������ ������ ��Ҹ��� �޶�����. 20-30���� ��Ҹ��� �߳�, ����� ��Ҹ��� �ѷ��ϰ� ���̰� ���� ������. �׷��ٸ� �� ��Ҹ��� �ܼ��� ��ȭ �����ϱ�? ��Ҹ��� �Ǵ��ϴ� �ǰ����¿� ���� �˾ƺ���.

1. ��Ҹ��� ��ȭ, � ���� �����ϱ�?

����� �����鼭 �Ҹ��� ����. ���̰� ��� ���� �ֺ� ������ �þ����� �������� ���� �� �� ���� ���밡 ����� ���� ���� �ٶ��� ���� ���� �Ҹ��� �� �� �ִ�. ���� ���� ���� �������� �ڽ��� ���̺��� ���밡 �� ���� ��ȭ�� �� �ִ�.

(1) �� ��Ҹ��� �پ��� ������ �ۿ��Ѵ�. ���̰� ��� ������ ź���� �پ��� ������ �ұ�Ģ������ ��ĥ�� �� ��Ҹ��� �� �� �ִ�. ���� ��ó�� ���� �� �ִ� ��Ҹ��� ���Ⱑ ���������.

(2) ������ ����, Ư�� ���� ¡���� ���� �ִ�. ���������������� �ǰ������� ������ �� ��Ҹ��� �ĵξ�, ������, ���󼱾�, ����� ���� �� �ϳ���. �ٸ� ����� �Բ� �� ��Ҹ��� �̾����� ���� �ǽ��� ���Ḧ ���θ��� ���⿡ �߰��ϴ� ��ȸ�� ���� �� �ִ�.

1) �ĵξ�

��Ҹ� ��ȭ�� ���� �߿��� �����̴�. �밳 �� �� �Ǵ� �������� ���� ��Ҹ��� ���ϰ� ���Ѵ�. �� ��Ҹ� ��ȭ�� ���� ���� �Ǵ��� ��Ҹ��� ����� �ް��� ������ ������ ���� �ƴ� ��쵵 ����. �ǰ��� ����� ���� ���밡 �´�Ƽ� �� �ִ� �Ҹ��� ������, �ĵξ� ��� �������� ���� ���� ���̿� ƴ�� ������ �� ��Ҹ��� ����.

2) ���

����� �ʱ� ������ ���� ��� ���� ������ �Ŀ��� ���� ����� ��ħ�� ���� �� ���ٸ� �̻��� �� ���� ������ �ſ� ��ƴ�. ���븦 �����ϴ� �Ű��� ��� ���(Ѩη) ������ ������ �����µ�, ����� �� �Ű��� ħ���ϸ� ���뿡 ���� ������ ���� �̷� ���� ��Ҹ��� ���⵵ �Ѵ�.

3) ���󼱾�

���󼱾ϵ� ��κ� �ƹ��� ������ ����. ���� �պκп� ����(Ȥ)�� ������ ���󼱾����� �ƴ����� �˻��ϰ� �Ǵµ�, ������ ũ�ų� �ֱٿ� ���ڱ� Ŀ�� ���, ���󼱿� ����� �����鼭 ��Ҹ� ��ȭ�� ������ ���� ���ɼ��� �ִ�. ������ Ŀ�� �⵵�� �ĵ��� ���� ȣ������̳� ���Ĺ��� ��Ű�� ���� ���� �ִ�.

4) ������

���� �� ����, ��õ��, �Լ� � �߻��ϴ� �˾��� ������ ���� ���� ��ȯ�� ���� ���� 1~2�� ������ �������� ������ �ִ�. ������ 3�� ������ ������ �״���̸� �ܼ��� �������� ���� ��Ʊ� ������ �����˻縦 �޴� ���� ����. ���� �� ������ �������� �ʴ� �Ծ��� �Ͼ� �Ǵ� ���� �˾��� ������� �� �ִµ�, �ʱ� �������� �����̱⵵ �ϴ�. ��Ҹ��� ��ȭ�� ���� �� �ֱ� ������ �� �����ؾ� �Ѵ�.

2. �ǰ��� ��Ҹ��� �����ϴ� ��

1) ��, ���� ���ݾ� ���ñ�

���ĵο��� �к��ϴ� ��Ȱ���� ���� �к� �پ��� ���� ���������� ������ �þ��. �ǰ��� ��Ҹ��� ������ ���븦 ��ȣ�ϰ� ���ĵ� �������� �����ؾ� �Ѵ�. ���� ���� ���ݾ� ���ô� �� ����. �� �� �ܿ� ���� �� ���� �־� �ԾȰ� ���� ���� �����ָ� ���� ����. ȯ�⸦ ���� �ϰ� �dz� ������ �����ϰ� �����ϴ� �͵� ������ �ȴ�.

2) �ȱ� �� ����� �

�ȱ� ���� ���� ��Ȱ���� Ȯ���ϴ� �͵� �ǰ��� ��Ҹ��� �������� �����ϴ� �� ������ �ȴ�. ���� �����̰� �ʰ� �� �ɾ� ������ ��Ҹ��� �ǰ��̸� �Ҵ´�.

3) '�Ծ� �'�� ����

���ĵ� ������ �������� ��Ҹ��� ��ȭ �� ���� ���� �� �緹�� �ɸ��� ��ħ�� �ϰ� �ȴ�. ����� Ƚ���� �����ϸ� ���Ĺ��� ��� �� ��� ������ Ŀ����. �Ļ� ���� ��ȣ���� �ϰ� ��� ���� ������ ���, ���� �÷ȴٰ� ������ �� �� ��� �ϰ� ħ�� ��Ű�� '�Ծ� �'�� �غ���. ���ڱ� ���� ���� ���̳� ������ �� ���� ���� ���� õõ�� ���� ��Ű�� �͵� ������ �ȴ�.

[���ñ��]
���ް�, ���ᡦ��� ���⿡ ���� ����� ��ǰ 4
��Ŀ�� �� �ܰ� ���� �ް�...��ħ�Ļ� �ǰ��ϰ� �Դ� ��
������ ����� �κΰ��� Ȱ���ؾ� �ǰ� �ູ
��������� �� ź��ȭ��-�� �ܹ� �Ĵ��� ����
���ް� ������ ���� ����� ���� ���� 10����

��� ���� ()

���۱Ǩ� '�ǰ��� ���� ������ ����' �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