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사사 양식 - nonmun sasa yangsig

교통물류연구사업 수행 중인 연구자 문의사항입니다.

1. 사사표기 문구를 아래와 같이 작성하야도 되는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및 국토교통과학기술 진흥원의 2018년 교통물류연구사업(과제번호, 과제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을 밝히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KOREA) [Project ID: 과제번호, Project Name: 과제명 (National R&D Project)],

2. 현재 3차년도 과제 수행중인데, 1, 2차년도의 과제번호를 기입하여도 되는 것인지

ex) 2020년 과제 수행 중, 사사표기로 2018**** 기입을 하여도 가능한지요

3. 통합이지바로 외에, 과제번호 및 사사문구 확인이 가능한 페이지가 있을까요?

다음의 조건들을 생각해야 한다. 첫째,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 과제로부터 산출된 모든 결과물의 소유권은 연구비 지원 주체에게 귀속된다. 따라서 연구 과제 보고서의 소유권 역시 연구비 지원 주체에게 있으므로, 그 연구비 지원 주체로부터 연구보고서를 대학원생의 학위논문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사전 동의를 구해야 한다. 물론 연구비 지원 주체가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학위논문으로 재활용해서는 안 된다. 둘째, 학위논문의 심사위원들에게 외부 연구 과제 보고서의 일부를 학위논문으로 재활용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그 재활용되는 부분의 범위와 정도에 대해서 인정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지도교수와 대학원생 사이에서, 연구 과제는 대부분의 경우 지도교수가 연구책임자로서 연구 진행과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다할 것을 조건으로 하여 계약을 체결한다. 연구보고서의 제1저자도 대개 지도교수가 맡게 된다. 그러나 학위논문은 지도교수의 지도가 포함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대학원생 스스로 연구하여 작성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학위논문의 저자는 대학원생이지 지도교수가 아니다. 대학원생이 지도교수와 함께 연구 과제 수행에 참여하였다고 하더라도,외부 기관에 제출한 연구보고서와 동일하거나 상당히 유사한 내용을 학위논문에 재활용한다면지도교수가 연구한 성과를 그대로 대학원생의 학위논문으로 중복 발표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 가설, 연구 방법이나 원본 데이터가 재활용되더라도 학위논문의 구체적인 내용(분석, 해석, 결론 도출 등)은 연구 과제 보고서와 동일하지 않게, 대학원생 자신의 독창적인 연구 성과가 될 수 있도록 차별성을 가져야 한다. 넷째, 학위논문에 외부 기관으로부터 지원받은 연구보고서의 일부 내용을 재활용하였음을 명확하고 정직하게 밝혀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과제 보고서를 학위논문으로 재활용하면서 연구비 지원 주체의 영업 비밀, 특허 등을 외부에 유출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만약 이에 해당하는 부분들이 부득이하게 학위논문에 포함될 수밖에 없다면 대학 도서관, 국립도서관 등에 일정 기간 동안 학위논문 비공개를 신청해야 한다.

(  국문 )   본 연구는 정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산업통상자원부  ,   보건복지부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  재원으로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과제고유번호  : 0000000000, RS-2020-KD000000)   (NTIS, IRIS 과제번호 기입)  

(  영문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Medical Device Development Fund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roject Number: 0000000000 , RS-2020-KD000000)   (NTIS, IRIS 과제번호 기입)  

한국연구재단 사사(Acknowledgement) 표기 방법

등록일 : 2019-06-11

조회 : 6

<교육부>

- 대상사업: 이공개인(기본연구/보호연구/지역대학우수과학자)

- 국문 : “이 논문은 0000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한국연구재단에서 부여한 과제번호 : 연구사업통합시스템에서 확인)”

- 영문 :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grant number)”

※ 사사표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재단에서 부여하는 과제번호 기재하는 것입니다.(과제번호예시: 2018R1D1A1B01234567)

※ 0000년도는 협약년도로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문 :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한국연구재단에서 부여한 과제 관리번호).

- 영문표기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 (No. 한국연구재단에서 부여한 과제 관리번호).

※ MSIT :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성과는 논문, 특허 등 실제 성과 명칭으로 대체 사용 가능

- 사업명을 표준문구 내에 포함하고자 할 경우 적당한 위치를 찾아 자율적으로 입력 가능

목록

미리보기

미리보기 파일을 불러오는 중입니다.
로딩이 오래걸리면 미리보기를 다시 눌러주세요.

다음글

2019년 6월 산학협력단 연구비 지급(자금인출) 예정일 안내(마지막 인출일 변경)

이전글

해외 약탈적 학술지 피해사례 공유 및 예방 안내

X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주세요.

확인

이런식으로 지원기관, 연구과제명(연구비명칭), 그리고 과제번호까지 정확하게 기입되어야만 연구과제 성과로 인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논문 저자인 연구원이나 대학원생은 잘 모를 수 있지만, 딱히 지원받은 연구비가 없더라도 지도교수님이나 공동연구자가 교내 연구소의 논문사사를 해야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꼭 확인하고 작성해야 한다.

(그리고 아예 논문 사사의 양식이 정해져 있는 경우도 많으므로 문장 그대로 옮겨와야하는지 확인하기 바란다)

그리고 최근에는 일부 저널의 경우, 이러한 기여자들의 공헌을 자세히 언급하기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논문을 쓰는데 기여했던 연구자는 임상적 연구자(clinical investigator) 또는 “참여 연구자participating investigator로 표기하고, 각각 역할에 따라 학술적 조언자, 연구 계획안을 결정적으로 재고한 사람, 자료수집한 사람, 연구대상자를 제공한 사람, 그리고 연구결과를 통계 분석한 사람 등으로 기술하기도 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전형적 연구 논문의 모든 섹션들 가운데 논문 사사(Acknowledgements), 즉 감사의 말 부분은 가장 쓰기 쉬운 섹션일 것입니다. 아마 이 때문에 연구 논문 작성 방법을 다룬 책들의 대부분이 이 섹션을 간과하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논문에서 사사는 정치적으로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사사에서 언급해야 할 누군가를 실수로 누락하는 것은 이들을 불쾌하게 할 위험이 있습니다. 혹은 언급되더라도 언급된 방식에 대해 언짢아 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연구에 대해 받은 도움이 중대한 경우에는 이 사람은 논문의 사사에서 언급해야 하는지, 아니면 공동 저자 자리를 제안해야 하는것인지 결정하기 어렵기도 합니다. 이러한 것들이 논문 사사를 뜻하는 영단어가 영국식 영어(Acknowledgements)에서는 e가 포함되고, 미국식 영어(Acknowledgments)에서는 e가 안 들어가는 걸 외우는 것만큼 단순하다면 참 좋을텐데 말이지요.

이 기사는 연구 논문에서 사사(Acknowledgements)의 목적에 대해 알아보고, 사사에서 누구를 언급하거나 제외해야 하고, 어떤 양식으로,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룹니다.

왜 논문 사사(Acknowledgements)가 필요한가

학술적 글쓰기에서 누군가의 공을 인정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그들의 연구를 인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저자가 연구를 하거나, 논문을 작성, 출판하는 과정에서 받게 된 도움들은 논문 사사 섹션에서 적절하게 명시하는 것은 옳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간접적이더라도 연구의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구의 실험을 설계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데에 어떤 통계학자의 도움을 받았다는 것을 논문 사사를 통해 명시한다면, 이는 연구의 실험 설계 및 결과 분석에 대해 저널 편집자뿐 아니라, 원고를 검토하는 리뷰어들까지도 안심시킬 수 있습니다. 비슷한 방식으로 논문 교정을 에디터로부터 도움을 받았다면, 이를 사사에서 인정함으로써 저자가 원고의 언어, 스타일 및 양식까지 신경 써서 갖추었음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논문 사사 양식 - nonmun sasa yangsig

누가 언급되어야 하는가

대체적으로 저자는 일반적인 업무 영역을 넘어 도움을 준 사람들의 공을 논문 사사에서 언급해야 합니다. 특히 저자의 연구에 중대한 도움을 주었거나, 저자에게 부족한 전문 지식을 제공한 사람들이 언급되어야 합니다. 이는 저자의 동료 연구자나 멘토(연구감독 또는 지도교수)가 될 수도 있고, 저자의 학생들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저자가 연구 기금을 받은 경우에는 이 사실이 사사에서 언급되어야 합니다. 일부 연구 기금처들은 논문에서 기금이 언급되는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있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반드시 가이드라인을 따라 논문 사사 양식을 갖춰야합니다. 또한 저자는 무료로 이용한 각종 자료에 대해서도 사사에서 밝혀야 합니다. 하지만 이 도움이 연구 논문 내 이해상충(conflict-of-interest) statement에서 언급된다면, 그 내용이 사사에서 중복될 필요는 없습니다. 익명의 리뷰어들도 사사에 포함하는 것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그들의 제안이 원고를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면 말이지요. 사사의 글을 당사자들로부터 사전에 확인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왜냐하면 논문 사사에서 언급되는 것은 그들이 해당 논문의 내용을 인정한다는 것을 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누가 언급되어서는 안되는가

책의 헌사(dedications)나 감사의 말(acknowledgements)에서 흔히 보는 것과는 달리, 연구 논문에서의 사사(acknowledgements)는 (정당한 공헌이 없는 한) 부모님이나 가족, 친구들을 언급하지는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일반 업무 의 일환으로 작업 을 한 사람들(연구소 기술자, 현장 보조자 등) 역시 보통 제외됩니다. 부서장, 연구실 디렉터 등도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들이 저자의 연구를 위해 보통의 업무 영역을 넘어 도와준 게 아니라면 말입니다.

논문 사사를 쓰는 법

일반적으로, 사실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내용을 과하게 작성하지 마십시오. ”The authors thank John Smith for advice on experimental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is (저자들은 존 스미스의 실험설계 및 통계분석에 대한 조언에 감사를 표한다)” 정도의 의미를 갖고 작성하면 됩니다. 이름 앞의 예우 경칭(Mr, Ms, Dr 등)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그러나 투고 저널을 확인하세요), 직업명이나 직위 등도 거의 명시하지 않습니다. ‘kind help’, ‘eternally grateful’, ‘greatly indebted to’ 등의 표현은 피하십시오. 여러 저자 중 한 특정저자가 표하는 감사인 경우, 통례적으로 이니셜만 사용하여 “JS thanks...”와 같은 식으로 작성합니다.

논문사사의 순서는 지적 기여, 기술적 지원, 원고 교정 도움, 기금 지원의 순으로 작성됩니다.

논문 사사 양식

통상적으로, 논문 사사 섹션은 한 개의 문단이어야 합니다. 대략 대여섯개의 문장들로 이루어지지요. 투고하려는 저널의 양식을 살펴보사기 바랍니다. 소제목이 별도의 줄에 있는지, 아니면 제목을 따라 같은 줄에 내용이 작성되는지 등을 살펴보세요. 또한 소제목이 굵게 표시되거나, 이탤릭체로 표시되는지도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본문 내의 소제목들은 번호가 매겨질 수도 있으나, 논문 사사 섹션은 번호를 매기지 않습니다. 문단 내에서 특별한 서식을 적용하지 마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