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병원 추천 - pibugwa byeong-won chucheon

  • 진료과 소개
  • 의료진 소개
  • 클리닉
  • 위치

피부과 병원 추천 - pibugwa byeong-won chucheon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는 최상의 환자 진료와 끊임없는 연구 및 교육에 정진하는 여러 교수진 및 임상강사, 전공의, 간호사들과 함께 다양한 피부질환에 대해 최고 수준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토피피부염, 건선, 접촉피부염, 여드름 등의 피지선 관련 질환, 모발 및 손발톱질환, 하지의 염증성 결절, 수포성 및 결체조직질환, 피부암 등의 질환에 대한 클리닉 운영을 통하여 보다 전문적인 진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생명연구원 및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인체환경경계생물학연구소와 연계하여 다양한 임상 및 중개 연구를 수행하여 세계적인 성과를 내고 있으며, 의과대학 학생과 피부과 의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1. 주요 치료질환 또는 연구분야

아토피피부염, 건선, 접촉피부염, 여드름, 지루피부염, 주사, 피지선 관련 질환, 탈모증, 두피질환, 손발톱질환, 하지의 염증성 결절, 수포 및 류마티스 피부질환, 피부결체조직질환, 피부 노화 및 노인 피부 질환, 피부암, 피부 전구암, 피부 양성 종양, 항암제 피부 부작용, 혈관종, 화장품 부작용

2. 진료 전 유의사항

- 진료예약 시 교수진의 전공분야 확인 후 예약을 하셔야 최상의 진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첫 진료를 받는 환자는 1, 2차 의료기관에서 받은 진료의뢰서, 약물 처방전과 검사 결과지를 가지고 오시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 심할 때의 피부 증상을 휴대전화로 촬영하여 내원하실 경우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 외부병원에서 조직검사를 받았을 경우 조직검사 슬라이드와 결과지를 지참해 주십시오.

3. 진료안내 

1) 진료 전 과정

① 피부과 외래를 처음 방문하시는 분들은 가장 먼저 공용 수납창구(대한외래 지하 3층)에서 진료의뢰서를 접수하고 진료카드를 발급 받습니다.

② 대한외래 지하 3층 피부과 외래 간호사실에서 진료실 확인과 진료절차에 관한 안내를 받으십시오.

③ 다른 병원에서 조직검사를 하신 분은 조직검사 슬라이드와 검사결과지를, 복용 중인 약이 있는 분은 약 처방전을 가져 오셔서 진료 시에 보여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2) 진료 후 과정

외래진료가 끝난 후에는 담당 직원의 안내에 따라 필요시 피부과 치료실에서 검사 또는 처치를 받게 됩니다. 이후에 추가설명이 필요한 경우, 피부과 외래 간호사실의 설명간호사에게 오시면 질병과 관련된 검사 및 수술에 대한 설명, 입원안내, 수술 전후 주의사항이나 귀가 후 주의사항에 대해 친절히 설명해 드립니다.

이상의 진료절차를 모두 마친 후, 피부과 입구 수납창구 또는 카드수납기를 이용하여  수납을 하시고 처방약이 있는 분들께서는 수납시 출력된 처방전을 가지고 외부 약국에서 약을 구입하시면 됩니다.

제19회 피부건강의 날 캠페인 진행, 시민 대부분 전문의 구분 못해
박천욱 회장, “유튜브 등을 활용해 국민 소통 강화하겠다”

피부과 병원 추천 - pibugwa byeong-won chucheon

피부 질환과 피부미용등을 이유로 피부과를 찾는 대다수의 국민이 피부과 전문의 병원을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피부과학회가 ‘피부는 피부과 전문의에게’라는 주제로 제19회 피부건강의 날 캠페인을 온라인 줌(Zoom)을 이용해 진행했다.

대한피부과학회에 따르면, 이번 캠페인에서는 피부질환과 피부과 전문의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전달해 국민에게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피부질환 치료 및 미용시술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제고하고자 ‘피부는 피부과 전문의에게’라는 주제를 선정했다.

대한피부과학회는 이번 캠페인을 위해 최근 6개월 내 피부 문제로 병원에 방문한 이력이 있는 1,000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문항의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캠페인의 메시지를 더욱 강조하고자 했다.

박천욱 대한피부과학회 회장은 인삿말을 통해 “이번 설문 조사를 통해 의미있는 결과를 얻게됐다”며 “젊은층일수록 피부질환에 대해 인터넷이나 지인 등을 통해 피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대부분 국민들이 피부질환과 미용치료 모두를 피부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에서 받길 희망하지만 사실상 제대로 구문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캠페인을 통해 올바른 정보를 국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대국민 피부건강을 위해 대한피부과학회는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국민들이 피부과 전문의 병원을 통해 진료를 받고싶어함에도 불구하고 피부과 전문의 병원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태영 노원을지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대상자 1000명 중 피부과 전문의 병원을 구분할 수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53.1%(531명)이 나왔다”며 “이들을 대상으로 피부과 전문의 자격 구분, 피부과 전문의병원 간판 구분 등 2문항을 추가설문을 진행한 결과, 오답률은 각각 76.8%, 72%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대한피부과학회에 따르면, 피부과 전문의 병원을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피부과라고 적혀 있으면 모두 전문의 병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72.4%) △피부질환을 치료하는 의사는 모두 전문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18.4%) △피부질환은 중증이 아닌 경우가 많아 전문의 병원을 반드시 구분하여 방문할 필요를 느끼지 못해서(8.6%) 순으로 집계됐다.

더불어, 약 70% 이상의 응답자가 병원 간판의 표기로 인한 오해를 이유로 선택했는데, 일부 비전문의 병원에서 간판에 ‘진료과목’이란 글씨를 누락하거나 ‘진료과목’이란 글씨가 눈에 잘 띄지 않게 간판을 제작해 환자들에게 피부과 전문의 병원인 듯한 착각을 주는 것으로 파악됐다.

비전문의 병원에서 피부과를 간판에 표기할 때는 000의원 진료과목: 피부과로 기술해야 하며 피부과의 글씨 크기는 상호 크기의 1/2이하로만 가능하다.

피부과 병원 추천 - pibugwa byeong-won chucheon

이상준 대한피부과의사회 회장은 “빨간색 사각형 모양의 전문의 표기가 된 로고가 간판 앞에 있으면 전문의이며 로고가 없을 시 전문의가 아닐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며 “더불어, 내부적으로 조사한 결과 피부과 전문의 중 피부질환 등의 진료를 안하는 의사는 없었다. 피부질환 등의 피부과 진료를 거부한다면 전문의가 아니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피부과 전문의 병원의 입구에서는 대한피부과의사회 인증마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의사의 약력, 피부과 전문의 자격증을 통해서도 전문의병원의 구분이 가능하다.

박천욱 회장은 “모든 국민이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피부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며 “유튜브 채널을 통해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피부질환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 피부과 전문의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Ǻ���ȯ ����� ����, �̿� �ü��� �޴��� �Ǻΰ� �����ǿ��� �ް� ���� �� �Ƿ�Һ����� �����̴�. �׷��� �Ǻΰ� ������ �������� �˰� �湮�� ������ �˰� ���� �Ǻΰ� ������ ������ �ƴϾ����� �˰� �Ǵ� ��찡 ����. ��� �ؾ� ����� �� �Ǻΰ� �����ǿ��� ���Ḧ ���� �� ������?

���Ǻΰ� �湮�� 70% "���� ���Ǹ� �ô� �ӾҴ�"
�����Ǻΰ���ȸ�� ��19ȸ �Ǻΰǰ��� ���� �¾� �ǽ��� �뱹�� ���翡 ������, ��κ��� ������ �Ǻΰ� ������ ������ �������� ���ϰ� �ִ�. �ֱ� 6���� �� �Ǻ� ������ �湮�� �̷��� �ִ� 1000�� �� 53.1%(531��)�� �Ǻΰ� ������ ������ ������ �� �ִٰ� ����������, �߰� ���� ��� �̵� �� 76.8%�� �Ǻΰ� ������ �ڰ��� �������� ���ߴ�. �Ǻΰ� ������ ������ �������� ���� ����� 72%�� �ƴ�.

피부과 병원 추천 - pibugwa byeong-won chucheon
�Ǻΰ� ������ vs �������� ���� ������ ����� /�����Ǻΰ���ȸ ����

�� �Ϲ� ������ �Ǻΰ� �����ǿ� �����Ǻ����� ��Ȯ�� �����ϱ� ����� �ɱ�? �̴� �Ǻΰ� �����ǿ� ���� ����Ȯ�� ������ �νİ� �Ǻΰ� �����Ǹ� �����ϱ� ����� ������ �ֿ� �����̴�.

������ �Ǻΰ� �����Ǻ������� �˰� �湮������, ���� �Ǻΰ� �����Ǻ����� �ƴϾ����� �˰� �Ǵ� ��찡 ���Ҵ�. �� ������ ������ ��� ���Ǻΰ���� ���� ������ ��� ������ �����̶�� �����ϱ� ������(72.4%) ���Ǻ���ȯ�� ġ���ϴ� �ǻ�� ��� �����Ƕ�� �����ϱ� ������(18.4%) ���Ǻ���ȯ�� ������ �ƴ� ��찡 ���� ������ ������ �ݵ�� ������ �湮�� �ʿ並 ������ ���ؼ�(8.6%) ������ ����ƴ�.

Ư�� �� 70% �̻��� �����ڰ� ���� ������ ǥ��� ���� �Ǻΰ� �����ǿ� �������Ǹ� �����ϱ� ������ٰ� ������. �Ǻΰ� �������� ������ ���ǿ� '�������'�̶� �۾��� ���߸��ų�, '�������'�̶� �۾��� ���� �� ���� �ʰ� ������ ������, ȯ�ڵ鿡�� �Ǻΰ� ������ ������ ���� ������ �ֱ� �����̴�. �������� �������� �Ǻΰ��� ���ǿ� ǥ���� ���� '000 �ǿ� �������: �Ǻΰ�'�� ����ؾ� �ϸ�, �Ǻΰ��� �۾� ũ��� ��ȣ ũ���� 1/2 ���Ϸθ� �����ϴ�. �׷��� �̸� ��Ű�� �ʴ� �Ǻΰ� �������� ����� ����.

���Ǻΰ� �����ǡ�����, ��Ȯ�� ���� �����?
�Ǻΰ� �����ǿ� �����ǰ� �����ϴ� ������ ����� ã������ ������ ���� ���� ���ǰų� �¶��� �˻��� �̿��ϴ� �� ����. �Ǻΰ� ������ ������ ������ 'OO �Ǻΰ��ǿ�'���� ǥ���ϰ� ������, ������ ������ �簢�� �ȿ� ��� �۾��� �Ǻΰ������Ƕ�� �����ִ� �ΰ��� ����Ѵ�. ���� ���� �Ա����� �����Ǻΰ��ǻ�ȸ ������ũ �����ϰ� �ִ�.

피부과 병원 추천 - pibugwa byeong-won chucheon
�Ǻΰ� ������(����) ���� ���/�����Ǻΰ���ȸ ����

�����Ǻΰ��ǻ�ȸ�� Ȩ�������� ���Ǻΰ� ������ ã�⡯ ���񽺴� ������ �ִ� �Ǻΰ� ������ ������ �Ǻΰ� �����ǰ� �ִ� ������ ������ �����ϰ� �ִ�. �Ǻΰ� ������ ã�� ���񽺸� �̿��ϸ� �¶������ε� ����� ���� �Ǻΰ� ������ ������ ã�� �� �ִ�.

�湮�Ϸ��� ������ Ȩ�������� �ִٸ�, Ȩ���������� �ǻ��� ����� �ڼ��� ���캸�� �͵� �Ǻΰ� �����Ǹ� ������ �� �ִ� ����� �ϳ���. �Ǻΰ� �����Ǵ� ��¿� '�Ǻΰ� ������'�� ǥ���ϰ� �ִ�. '������ ���� ���'�̶���� ǥ��� ���� �Ǻΰ� �����ǰ� �ƴϴ�.

�����Ǻΰ���ȸ ��õ�� ȸ���� ���Ǻ���ȯ�� �ߺ� �ʱ⿡ ������ ȸ���Ǵ� ��쵵 ������ �������Ǻο�, �Ǽ��� ���� ����, ��ġ�� ��ȯ�� ��߰� ȣ���� �ݺ��ϴ� ����� ������ ������ ��ȯ�̳� ������ �պ����� �����ϱ⵵ �Ѵ�"�� ������. �״� "�Ǻ���ȯ �ߺ� ��, �Ǻΰ��� �ٷ� ������ �Ǻΰ� �����ǿ��� ��Ȯ�� ���� ���Ḧ �ް�, �ùٸ� ��������� �๰ġ�Ḧ �����ϴ� ���� ���ۿ� ���� �Ǻθ� ������ �� �ִ�"�� �����ߴ�. ��õ�� ȸ���� "��� ������ ���� �����ϰ� ��Ȯ�� �Ǻ� ���Ḧ ���� ��ȸ�� ������ �� �ֵ��� ��ȸ�� ���������� ����ϰڴ�"�� ���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