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 림 enb 설정 초기화 - seukai lim enb seoljeong chogihwa

으음~ 초심으로 돌아가서 글을 작성할 생각

사실 이런건 귀찮아서 요즘 글을 쓰지않지만

아직도 스카이림을 처음접하면서 잘 모르는분이 질문도 하시고

두고두고 초보에게만 필요한 정보가 될지도 모르겠단 생각으로

아주 간단하게 캡쳐해서 ENB 설치 , 삭제방법 추천enb도 알아봅시다~

[ 매우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니 주의바람 ]

스카이 림 enb 설정 초기화 - seukai lim enb seoljeong chogihwa

우선 모든 ENB를 사용하기위해서는

그에맞는 보리스형님(?)의 바이너리 시리즈가 필요한데

이 바이너리는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바이너리 다운링크 <-

보통 넥서스나 카페 웹사이트를 참고하다보면

모더가 권장하는 바이너리 버전이란게 있는데

이때 추천하는것을 적용하거나

본인환경에 꼭 맞는걸 적용하면 됩니다

스카이 림 enb 설정 초기화 - seukai lim enb seoljeong chogihwa

위에 걸린 링크로 이동하여서

아래쪽을 살펴보면 바이너리 버전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사용하고자하는 버전이 없을 수 있는데

이때는 근접한걸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체감상 크게 문제가 되진 않더군요)

보통 236에서 292사이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최근에나오는 ENB의 경우 305버전 이상을 권장하기도 하지만

오래동안 사랑받는 ENB들은 보통 292버전 미만의 바이너리를 사용하지요

참고로 저의 경험으로는 코난의 경우

236으로도 잘 돌아가고 262 279 모두 정상작동했습니다

바이너리라는게 사용자의 컴퓨터 환경에따라

미묘한 차이를 보이는 것 같던데 대부분은 권장하는걸 사용하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스카이 림 enb 설정 초기화 - seukai lim enb seoljeong chogihwa

그리고 아래 다운로드를 클릭!

스카이 림 enb 설정 초기화 - seukai lim enb seoljeong chogihwa

다운로드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고보면

2개의 버전이 있는데 이떄 위 사진의 붉은박스로 표시된 " WrapperVersion " 을 사용하면 됩니다

스카이 림 enb 설정 초기화 - seukai lim enb seoljeong chogihwa

해당 파일을 열어보면 위 사진에 표시해둔 것 처럼

d3d9.dll , enbhost.exe 이 2개의 파일만 사용하면 됩니다

enblocal.ini 의 경우

사용자 환경에따라 하나하나 수정해주면

프레임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ini설정이 맞지않아서

심각한 스터터링이 오거나 , 심한 프레임 드랍으로 퍼포먼스가 저하될 수 있으니

여기에 대한 정보는 카페글이나 " 스카이림 프레임 향상 간단하게 ok " 관련글을 참고하도록 하세요

스카이 림 enb 설정 초기화 - seukai lim enb seoljeong chogihwa

그리고 본인이 사용하는 스카이림 지정 폴더에

설치할 ENB파일 + 바이너리를 스카이림 폴더에 그대로 넣어주고

인게임에 접속하면 자동적용 됩니다

enb를 삭제할 때는 기존의 enb를 복사 + 붙이기 한다음 Ctrl + z 를 누르면

설치했던 enb가 깔끔하게 제거됩니다

(윈10의 경우 이게 잘 안먹혀서,, 일일이 파일을 보고 삭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더군요)

enb추천이라는게 참 취향따라 다 다르기때문에

블.로.그내 enb검색으로 찾아보셔도 되고

평소 제가사용하는건 Remaster Konan5.05인데

아무래도 취향이란게 많이 갈리기때문에 추천enb는 블.로.그글에서 enb로 검색해보세요~

코난enb 적용샷은 퀘스트 카테고리를 살펴보면

참고할 수 있습니다

귀찮은 글 쓰기 완료 -!

3). skse_loader (skse 로 실행할 사람은 계속 skse로 실행) 로 스카이림을 실행하면 무한로딩 걸리던 세이브 파일과 모드 충돌등으로 인한 문제를 어느정도 해결이 됩니다.

지속적인 팅김은 모드 충돌이므로 찾아서 해당 모드를 삭제해야 합니다.

3. CTD(팅김) 메모리가 딸려서 팅기는 문제

스카이림은 기본적으로 2GB 렘(RAM)을 쓰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드질하기 시작하면 가볍게 2GB를 초과하게 되기 일쑤인데

이러면 즉시 렘을 초과한 해당 프로그램인 스카이림이 강제종료 됩니다.

이 방법은 그 렘 총량을 컴퓨터에서 미리 설정 시키는 방법입니다.

윈도우 7 이상인 경우

1). 시작 > 실행 > CMD 를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합니다.
2). BCDEDIT /SET IncreaseUserVa 3072 라고 입력합니다. (컴퓨터 4기가메모리 기준)
3). 작업이 완료되었다고 뜨면 재부팅을 합니다.
4). 끝

수식 : (본인컴퓨터 렘 용량 크기) - 1024  =  xx

4GB 렘일때

EX : 4 GB = 4096MB , 4096 - 1024 = 3072

단 수치가 본인 컴퓨터의  렘 용량 크기가 2GB(2048) 보다 작으면 적용하지 말것! (컴이 아예 안 켜져!)

데이어 단위 변환 힘들면 네이버 검색창에서 검색하세요~

GB를 MB로 변환하세요.

 검색어 : 데이터양변환

XP인 경우

XP는 위 문제로 해결될 수 없다. 최선은 윈도우 업그레이드 방법 뿐,

첨부한 파일로 어느정도 렘 설정을 할 수 있다.

다만 100% 된다고 믿지는 말라 본인도 쓰고는 있지만 반신반의 중..

파일을 풀면 파일에서 자신에게 맡는 드라이버 설정에 따라 해당 파일을 스카이림 설치된 곳에 풀면 된다.

XP는 RAM(렘)을 최대 4GB까지만 인식하므로 그보다 적어야 컴퓨터가 안 멈춘다.

주의사항 : DATA 에 넣으면 않됨.

정품으로 스카이림 설치 경로

F:\Steam\steamapps\common\Skyrim

본인은 F 드라이브로 스팀을 설치해서 이곳에 있다. 스팀 설치한 곳에 있으며 대부분의 유저는 아마 C드라이브에 있을 것이다.

4. 디스플레이 설정법.(ENB 설치 후 적용법)

1).ENB를 다운 후 그 내용물을 압축 풀어서 스카이림 폴더에 넣어주세요.

2). 스카이림 런처를 실행하면 그래픽카드를 재인식하면서 위에 쓴 팅김 해결 법에 나온 것처럼 내문서 마의게임에 새로 파일을 수정하게 될 것입니다.

3). 내문서 - my games - skyrim - SkyrimPerfs.ini 을 엽니다.

4). 디스플레이([Display]) 항목에서 다음을 수정하고 없으면 추가합시다.

bFloatPointRenderTarget=1 (없을 수도 있다. 새로 추가해야 할듯.)
bTreesReceiveShadows=1
bDrawLandShadows=1
bShadowsOnGrass=1  (없을 수도 있다. 새로 추가해야 할듯.)

5. 물속이 탁할 때

1). 내문서 - my games - skyrim - SkyrimPerfs.ini 을 엽니다.
bDoDepthOfField=1 을

bDoDepthOfField=0 으로 수정해준다.

6. 스카이림 활 사거리 증가시키기.

1). 내문서 - my games - skyrim - Skyrim.ini 엽니다.

2). [Combat] 메뉴 밑에 다음을 생성한다.

[Actor]
fVisibleNavmeshMoveDist=140000.0000

이러면 멀리 있는 것도 저격이 가능해 집니다.

단 물리엔진 적용되어서 멀리 있는 것은 탄도학 연구해서 좀 조준을 높여야 할 것입니다.

이상으로 스카이림 기본적인 시스템 설정법을 적어뒀습니다.

항상 스카이림 재설치 모드 적용 후 데이터 리셋 등이 필요할때 이 작업은 해두셔야 합니다.

내문서에 있는 skyrim.ini과 skyrimprefs.ini 이 파일일 새로 생성될 때마다 위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 추가 사항 ****************************

ENB 설치 한 분에게 적용가능합니다!

이미 아시는 분도 많겠지만 모르는 분을 위하여 적습니다.
스카이림 CTD 방지 팁에 대하여 적습니다.

CTD 나는 이유는 많지만 오늘은 렘 때문에 팅기는 현상에 대하여 방지하고자 합니다.
이 방법을 안 쓰시던 분이라면 한번 꼭 써보시길 바랍니다.

굉장히 안정적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ㅋㅋㅋ


1. ENB가 반드시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2. ENB 파일 중에 enblocal 라는 메모장이 있습니다.
이걸 여시면 여러 항목이 있습니다.

그중  아래 항목
이건 제 것을 복사한 것인데요.
숫자는 다르게 되어 있을 것입니다.


[MEMORY]
ExpandSystemMemoryX64=true
ReduceSystemMemoryUsage=true
DisableDriverMemoryManager=false
DisablePreloadToVRAM=false
ReservedMemorySizeMb=512
EnableUnsafeMemoryHacks=false
VideoMemorySizeMb=1024 // VRAM + RAM - 2048

이것을 찾으세요.


여기서 우리가 건드릴 것은 2개로
1. ReservedMemorySizeMb=512 이거랑
2. VideoMemorySizeMb=8192 // VRAM + RAM - 2048

이거랍니다.

뒤에  // VRAM + RAM - 2048 는 없을 수도 있습니다.


우선 1번째 것은 본인 컴퓨터의 렘이 2GB 보다 작으면 128 로 바꾸셔야 합니다.

 권장값: 1024(초고사양), 512(고사양), 256(중사양), 128(저 사양)
3. 그럼 자신의 컴퓨터 렘이 어느 정도 크기인지 알아야죠?


바탕화면에서 ‘내컴퓨터’를 선택합니다.
우측 버튼을 눌러 ‘속성’ 같은 것을 누릅니다.(윈도우 버전마다 다릅니다.)
그럼 ‘시스템 등록정보’가 보이며 여기서 본인의 렘 크기를 확인이 가능합니다.

내컴퓨터 -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속성 - 시스템 등록정보

또는 시작 - 제어판 - 시스템
이렇게도 볼 수 있습니다.


4.  2. 번째 것

 VideoMemorySizeMb=8192 // VRAM + RAM - 2048

뒤에 친절하게 설명이 나와 있듯이 저 수식대로 맞춰서 넣으면 됩니다.

VRAM (즉, 그래픽 카드 렘을 말합니다.)
RAM  (그냥 위에서 본 그 본체의 렘입니다.)

-- 4-1. 그럼 VRAM 보는 법을 알아야겠죠?

NVIDIA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바탕화면 작업표시줄 오른쪽 하단에 시계화면이 뜨는 곳이 있습니다.
여기 NVIDIA 아이콘을 눌러서 제어판 왼쪽 하단에 시스템 정보를 누르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는 시작 - NVIDIA 제어판을 눌러서도 가능합니다.


본인의 경우는 VRAM이 2048MB입니다.

-- 4-2. 많은 분들이 질문으로 용량단위 계산을 못하시고 질문을 합니다.
속편하게 계산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 창에 ‘데이터양변환’을 치면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ie=utf8&query=%EB%8D%B0%EC%9D%B4%ED%84%B0%EC%96%91%EB%B3%80%ED%9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