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 후 실업급여 신청 - toesa hu sil-eobgeub-yeo sincheong

실업급여를 신청하지 않고 퇴사 후 공백 없이 바로 취업하겠다!라는

저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면접의 기회조차 닿지 않아 고민하고 버티다 실업급여를 신청하고 왔습니다.

★실업급여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실업으로 인한 생계 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며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 주는 제도

실업에 대한 위로금이나 고용보험료 납부의 대가가 아닌, 적극적인 취업활동을 확인한 후 지급되는 구직급여.

주의사항 : 퇴직 다음날부터 12개월이 경과하면 소정급여일수가 남아있더라도 지급받을 수 없음

실업급여 신청 없이 재취업 시 지급받을 수 없으므로 퇴직 즉시 신청 권장.

우선 고용보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www.ei.go.kr/ei/eih/cm/hm/main.do

저는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신청만 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신청 전 신경 써야 할 사항이 몇 가지 있더라고요~!

고용센터 방문도 해야 하고요~! 그래서 간단하게 정리해보기로 했습니다~!

1. 실업급여 신청 전 확인사항

1) 이직확인서

사업장에서는 퇴직 후 실직시킨 직원에 대해 2주 이내로 이직확인서를 신고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저의 이직 여부가 확인되어야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니던 회사에서 이직확인서를 신고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쉽게 확인 가능하며, 마이페이지 - 실업급여 수급 자격 신청 내역-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퇴사 후 실업급여 신청 - toesa hu sil-eobgeub-yeo sincheong

쉽게 찾으시라고 캡처해왔어요 ㅋㅋ

신청내역에 아무것도 없으면 아직 이직확인서가 신고되지 않은 것이고, 신고가 되었다면 재직기간과 퇴직 사유.. 등 보이실 거예요.

그게 확인됐다면 실업급여 신청 Go Go~!

2. 실업급여 신청하기

저는 온라인으로 클릭만 하면 신청이 되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어요.

2가지 숙제 후에 신분증을 지참해서 고용센터 방문해야 실업급여 신청이 완료됩니다.

숙제

1)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이수

2) 워크넷 구직등록

이거 숙제 다하고 고용센터 방문!

1)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이수

고용보험센터 홈페이지에서 수급자격 온라인 교육이 바로 있으니 클릭 후 반드시 수강해야됩니다.

메인에 떡하니 있어요. 바로 가기 서비스에 있는 수급자격 온라인 교육 클릭하셔도 되고

그 밑에 실업급여부분에 있는 걸로 클릭하셔도 돼요.

수강시간은 약 1시간 정도였어요.

중간중간 퀴즈도 있고, 실업급여 대상자라면 알아야 할 필수 내용들이 들어있으니 켜두고 딴짓하지 마시고 잘 들으시길 바랍니다~!

애니메이션으로 재미있게 교육해줘요 ㅋ 오지원 실장님이랑 나성실씨 등등ㅋㅋ

교육을 다 듣고 나면 해당사항에 이수라고 확인이 됩니다.

그러면 수급자격 온라인 교육은 끝!!

여기서 주의할 점은!

수급자격 온라인 교육 이수 후 2주(14일) 이내에 고용센터 방문하여 실업급여를 신청해야 하며, 14일이 지나면 다시 온라인 교육 이수를 해야 합니다.

2) 워크넷 구직등록

온라인 교육을 이수했다면 워크넷 사이트에 접속해서 구직등록을 해야 합니다.

워크넷 - https://www.work.go.kr

저는 벌써 구직등록을 해버려서 신청 화면이 없는데, 구직등록을 하면

퇴사 후 실업급여 신청 - toesa hu sil-eobgeub-yeo sincheong

이렇게 저의 구직 번호가 생성되고, 활동 가능 기간이 나와요.

저는 11월 30일까지 가 재직기간이었고, 12월 1일부터 실직 상태지만........

11월 초에 희망퇴직당하면서 빡쳐서 이리저리 알아보다가 워크넷에 그냥 구직등록해버렸었는데

실업급여 신청할 때 혹시 문제 될까 걱정됐지만, 센터에서는 상관없다고 하셨습니다!ㅎㅎ

이렇게 온라인 교육 이수, 워크넷 구직등록까지 했다면 고용센터에 방문합니다!

거주하는 지역별로 고용센터가 있는데 저는 서대문구라 서부고용센터가 관할 고용센터였습니다.

본인들의 관할 고용센터가 알고 싶다면?

https://www.ei.go.kr/ei/eih/cp/cc/ccJobCenSearch/retrieveCcJobCenSearchMap.do

여기서 찾아보셔도 되고, 아니면 고용보험 페이지에 바로

이렇게 보이실테니, 검색해서 내가 가야 하는 고용센터를 찾아가시면 됩니다!

고용센터 방문!! (신분증 꼭 지참!)

서울서부고용센터는 실업급여 신청하는 곳이 4층에 위치하고 있어요.

퇴사 후 실업급여 신청 - toesa hu sil-eobgeub-yeo sincheong

어리버리떨지 않게 엘리베이터에서 내리면 바로 그냥 실업급여 처음 오신 분은 저기로 가라고 ㅋㅋ

안내대로 화살표 따라가서 번호표를 뽑았습니다.

번호표 뽑고 제 차례가 되면 실업인정창구로 가서 신분증 드리면 제가 온라인 교육 다 받았는지, 구직등록했는지

거주지와 퇴사 일자 퇴사사유 등등 몇 가지 확인을 한 후 실업인정신청을 해주십니다.

그리고 수급자격 신청서와 함께 수급자격 창구를 알려주시는데, 작성 후 수급자격 창구로 가면 됩니다.

수급자격 창구로 가면, 1차실업인정일과 함께 어떤 숙제들을 해야 하는지 안내해 줘요..

1차실업인정일에는 센터 방문해야 하는데, 코로나 때문에 인터넷 신청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때 실업크레딧을 함께 신청할 수 있습니다.

퇴사 후 실업급여 신청 - toesa hu sil-eobgeub-yeo sincheong

실업크레딧 꼭 하세요!!

실업크레딧이란?

실업 기간 동안의 정부가 국민연금 보험료를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실업자는 25% 부담하고, 나머지 75%는 국가가 지원해 줍니다.

12개월간 지원받을 수 있고, 센터에서 수급자격 신청 시 뒷면에 이 내용 있으니 수급자격 신청서 작성하실 때 꼭 같이 신청하세요~!

이렇게 실업급여 신청까지 무사히 하고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어떻게든 취업에 성공하겠다고 11월 초부터 지원서 쓰고 포트폴리오 만들고 했는데 입사지원을 했지만...

기회는 쉽게 오지 않더라고요.. 코로나 때문에 고용한파가 심한 것도 있지만, 제 나이도...ㅠㅠ..

그래도 힘내야져 뭐 어쩌겟어여

오늘 수급자격 신청내역을 조회해보니 처리 상태가 결재 완료되어 있습니다.

센터 방문은 12월 23일에 했고, 어제까지 결재 요청이었는데 지금 확인해보니 결재 완료되어 있네요~!

퇴사 후 실업급여 신청 - toesa hu sil-eobgeub-yeo sincheong

저는 10년 7개월 넘게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서 240일, 66,000원으로 산정이 되어있어요.

실업인정 대상 기간에 보기를 클릭해보니 10회차에 나눠 어떻게 지급되는지, 기간과 함께 지급금액이 나와있더라고요..

1차 실업인정일에 고용보험센터 홈페이지에 파일들을 업로드하고 적극적인 구직활동에 대한 증빙도 업로드해야 하는데,

그것도 진행해보면서 포스팅 추가로 계속 남기도록 할게요.

이제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면 되는데, 사실 11월 초부터 계속 적극적으로 해왔는데......ㅠㅠ....

정부지원금이니 만큼 내실을 다져 취업에 성공하도록 해보겠습니다.

실업급여 신청하실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1차 실업인정일 인터넷형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