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알바 시급 - toyoil alba sigeub

많은 분들이 알바,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습니다.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 시급 외에 추가로 신경써야 할 수당들이 있습니다. 바로 주휴수당과 가산수당입니다. 가산수당에는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이 있습니다.

특히, 주휴수당과 관련해서는 많은 분들이 계산법 및 지급기준 등을 잘 모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문의도 많습니다. 오늘은 주휴수당과 가산수당을 받을 수 있는 경우에 계산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 9,620원 기준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및 지급기준

주휴수당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용자(고용주)는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주휴일)을 보장하여야 하며 이 주휴일에 하루치 임금을 별도 산정하여 지급해야 합니다. 이 때 지급받는 수당을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주휴일에는 근로를 하지 않지만, 1일분의 임금을 지급을 받는 것입니다. 주휴수당은 아르바이트생은 못 받는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로하는 아르바이트생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그러면 주휴수당 계산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휴수당 =  (일주일 총 근로시간/40시간) X 8 X 시급

① 주 40시간 근로자의 주휴수당은 '시급 X 8시간' 이며,

②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의 주휴수당은 '(일주일 총 근로시간/40시간) X 8 X 시급' 입니다.

예를 들어 2023년 최저임금 시급이 9620원일때 일주일 총 근로시간이 20시간이고 시급이 9,620원인 경우,

주휴수당은 38,480원(=(20/40) X 8 X 9,620원))이 됩니다. 주 40시간을 근무한다면 60,240원이 됩니다. 1주일 개근 때마다 주휴수당 만큼을 추가로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간단히 계산하면 1주일 급여의 20%를 주휴수당으로 받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지급기준

사업장 규모에 관계 없이(고용자가 5인 이하인 사업장도 포함) 주 15시간 이상으로 근무하는 근로자는 모두 주휴수당을 지급 받을 수 있으며,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만 주휴수당을 지급 받을 수 없습니다.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기 위해 주 15시간 미만으로 단기 알바를 고용하는 경우가 생기는 이유입니다. 1주일에 1일 8시간만(토요일, 일요일 포함) 근로하는 아르바이트생의 경우 주 15시간 미만으로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주휴수당은 그 다음주에 근무하는 경우 지급이 됩니다. 그래서 알바를 관두는 주에는 받지 못합니다.

월급근로자의 주휴수당 지급은?

일반적으로 월급근로자가 지급받는 기본급에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월급근로자는 별도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다만, 월급근로자의 경우 본인의 월급이 자신이 근로조건에 상응하는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받는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최저임금보다 적게 받고 있다면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일 근로시간 8시간인 경우 근로자의 월급여는 2,010,580원(=9,620원 X 209시간) 이상을 지급 받아야 합니다. 미달 되는 경우는 최저임금보다 낮게 받고 있으므로 추가로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토요일 알바 시급 - toyoil alba sigeub
월급근로자의 주휴수당 지급

가산수당

가산수당은 근로시간이 아닌 다른 날에 근무했을 때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수당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개정으로(주52시간 근로) 그동안 논란이 되었던 휴일수당 등에 대해서 명확하게 계산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연장근로수당

연장근로수당은 기본 근무시간을 초과해서 근무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수당입니다. 1일 8시간 근무인 경우 그 이상 근무는 연장근로수당(통상임금의 1.5배)를 받을 수 있으며, 연장근로는 주 12시간을 초과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 간에 12시간을 한도로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정산기간을 평균하여 1주 간에 12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연장근로수당 계산법

야간근로수당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를 야간근로라고 합니다. 야간근로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5배를 받을 수 있습니다.

휴일근로수당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다음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지급을 하여야 합니다.

① 8시간 이하의 휴일근로 시 임금의 150%(1.5배) 지급합니다.

② 8시간을 초과한 휴일근로에는 임금의 200%(2배)를 지급합니다. 즉 휴일에 근무해도 8시간 이하로 일하면 임금의 2배가 아닌 1.5배만 지급 받습니다.

예를 들어 휴일에 8시간을 일하면 휴일수당으로 통상임금의 150%를 지급받고, 8시간을 넘기면 연장근로이므로 연장수당으로 통상임금의 150%를 중복으로 받게 됩니다. 휴일근로와 연장근로를 동시에 하면 통상임금의 200%를 받게 됩니다. 휴일에 8시간 미만으로 근무하게 되면 임금의 200%가 아닌 150%만 지급 받습니다.

휴일근로수당 계산법

맺음말

오늘은 아르바이트 시 주휴수당,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특히 주휴수당에 대해서는 잘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간단하게 주휴수당은 1주일 급여의 20%를 추가로 받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토요일 알바 시급 - toyoil alba sigeub
공무원닷컴

이 글의 단축 URL 입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트위터, 네이버 등으로 공유해보세요.

https://0muwon.com/1113

공감클릭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을 () 클릭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올해 바뀐 근로기준법 잘 체크하셨나요?

혹시나 지나치신 분들이 있을 수도 있어서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해요. :-)

아마 가장 궁금하실 부분이 최저임금일 것 같은데요.

더불어서 주말알바를 했을때 주휴 수당을 어떻게, 얼마를 받아야 하는지 알고 싶은 분들도 많으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정리해서 알려드리려고 해요.ㅎㅎ

토요일 알바 시급 - toyoil alba sigeub

1. 최저임금

최저임금에 대해선 노사간의 많은 갈등이 있는데요.

정치적, 사회적인 이슈는 잠시 접어두고 올해 최저 임금은 8,590원입니다.

2019년 8,350원보다 2.9% 인상되었습니다.

따라서 하루 8시간 근무하였을 때 최저 월급은 1,795,310원입니다.

토요일 알바 시급 - toyoil alba sigeub

2. 휴일근로수당

일을 하다보면 주말에 불가피하게 일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휴일에 문을 열어야 하는 사업장에서도 항상 휴일근로수당은 중요한 문제인데요.

2020년 근로기준법에 정의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8시간 이상 근무하였을 때 임금의 2배를 지급합니다. 

이하라면 임금의 1.5배 지금합니다.

2020년 주말, 휴일에 근무하시는 분들은 이 기준을 확인하시고 정당한 노동의 댓가를 받으시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라겠습니다.

토요일 알바 시급 - toyoil alba sigeub

오늘은 근로자들을 위한 정보를 가지고 알려드렸습니다. 

근로자분들은 2020년 새로 바뀐 근로 기준법에 대해서 한번 더 자세히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에도 더 좋은 정보 가지고 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