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대리 나이 - yeoja daeli nai

삼성전자의 경우 박사든 사원부터 시작했든 책임 1년차이면 차이가 나는건 박사 수당과 연봉 고과 딜해서 좋은 고과를 1-2년 정도 보장 받아서 차이가 나는 연봉 밖에 없습니다. 어차피 사원으로 시작한 사람도 올라가면서 고과를 잘 받았다면 박사 받고 들어오는 사람보다 연봉이 높을 수 있고요. 연봉 테이블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특수 인재라고 연봉을 더 높게 받는게 아니라 직급을 조정하거나 보너스를 더 많이 받고 오거나 고과를 좀 더 오랫동안 좋은 고과를 보장해 줍니다.

원글님이 물은 대강의 연봉에 대해 제가 아는 바를 한국 나이로 말씀드리면, 남자 병역필: 27세 시작 - 대리(31세) - 과장(35세) - 차장(39세) - 부장(43세) - 상무(51세) 여자 (혹은 면제): 24세 시작 ... 똑같음 삼성: 대리=선임, 과장=책임 (senior engineer), 부장=수석 (principal engineer), 차장 없음. LG: 과장=선임, 차장=책임, 부장=수석. 회사마다 과장 달기 까지 7년이 걸리는 곳도 있고 7년이었다가 8년이 된 곳도 있고 그렇습니다.

일반적인 남자의 경우 35세에 과장을 처음 달게 됩니다. 그리고 43세에 부장이 되죠. 다만 여기서 예외가 되는게 여자와 면제자 그리고 석사 후에 병특으로 입사한 경우입니다. 이 경우 3살을 빼서 32살에 과장, 40세 부장이 평균이 되죠. 박사의 경우는 석사와 박사를 따로 했다면 비교적 짧게 걸리는 전공의 경우 도합 6-7년 정도 걸리고, CS 처럼 오래 걸리는 경우 7-9년이 걸립니다. 그리고 경력 없이 박사만 했다면 과장 1년차를 받습니다.

따라서 군대를 갔다온 경우 학부 후 바로 박사를 시작했다면 위에서 1년정도 빼면 됩니다. 여자분이 학부 졸후 바로 박사를 시작해서 6년만에 받았다면, 30살에 과장으로 시작하게 되어 일반 사원으로 시작하거나 석박사 합쳐 8년 걸린 사람보다 5년이 진급이 빠르게 됩니다. 여기에 보통 잘나가는 사업부의 경우 좋은 고과가 많이 나오므로 보통 진급을 1-2년 빨리 하죠. 그러면 40대 초반에 임원을 달게 됩니다. 중소 기업이나 기업의 규모가 작을 수록 승진에 걸리는 기한이 짧게 됩니다. 따라서 젊은 나이에 임원을 달고 있는 건 흔한 일이지만 연봉은 대기업 과장보다 낮은 경우가 수두룩 합니다. 여기서 하나 짚고 넘어갈 것은, 대기업에 40대 초반에 임원으로 승진한 분이 많다고 해서 그때에 임원으로 승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삼성전자 같은 경우도 15년 전에는 이렇게 큰 기업이 아니었습니다. 따라서 승진이 더 빨랐고요. 원래 승진 가속도는 회사가 커지는 속도에 비례하게 되어 있습니다. 예전에 우리나라 기업들이 계속 고성장할 때에는 30대에 임원 달고 사장 다는 일이 많았던 것도 이와 비례합니다. 이런 점에서 보면 반드시 정점에 올라 있는 대기업 만이 최고가 아니라 계속해서 성장해 나가는 회사에 있는 것의 장점도 기업 선택시에 생각해 봐야죠.

연봉은 과장 1년차이면 삼전은 윗분들 얘기하신대로 모든 보너스가 최대치로 나올 경우 1억 근처가 됩니다. 연구소는 이보다 5백-1천 정도 낮다고 보면 되고, 잘 안되는 사업부는 7-8천정도라 봐야죠. 현대차는 7천 정도, LG 전자는 5천 초반, KT는 5천, 포스코는 5천, 일반 중소기업 3천-5천, 은행 등 금융권과 SK 텔레콤은은 7천-1억, 탑 3 컨설팅은 1억2천-3천 정도, 가 과장 1년차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군대 갔다온 남자 35살, 여자 32살의 연봉이라고 보면 됩니다.

중소 기업 중에도 귀한 엔지니어들은 6-7천 받기도 하고요. 공무원과 군인, 학교 선생님은 3-5천. 남자는 레지던트를 막 마칠 나인 다음(여자는 3년 더+) 이므로 큰 병원에 월급장이로 취업하면 연봉 5-7천 정도. 지방으로 갈 경우 연봉 7천-1억 2천. 교수가 될 나이이기도 하므로 교수는 6천-9천. 파일럿 1억. 변리사 8천. 회계사 6천-1억 정도라고 봐야 겠네요. 물론 주로 열거된 직업군들은 고연봉에 고학벌 등이 많으므로 사실상 평균은 이와 관련이 없다고 봐야 겠네요. 괜찮은 대학 나온 평범한 회사원이라면 남자 35살에 연봉 4-6천이라고 봐야 할 듯 합니다.

디자인 15년차 디자이너예요.
간략하게 현실적으로 답드릴께요.
1. 디자인 정년 : 40세
2.디자인 업계 사장님들 : 디자인 출신 손에 꼽을 정도
3.40세 이후, 프리랜서 혹은 개인사업 해야함
4.디자인서적도 없는 디자인소스도 형편없는 곳 허다함
물론 디자인 노하우와 스킬은 늘 수 밖에 없어요,
매일 야근과 철야, 주말근무가 함께하니까요.

20,30대 취업은 그나마 쉽지만 이직율이 심해요.
이직은 경력에도 도움 안됩니다.
그렇다고 장기근속하면 연봉이 올라간다? 그것도 적정선에서
끊겨요. 연봉이 동결되면 다른 곳으로 이직하게 됩니다.
이직하려고 또 발버둥 치지만 고 연봉을 주며 일시키는 곳은
달나라 얘기고, 대한민국 업계는 경력이나 스펙을 중요시 여기지
않고 ‘나이’ 입니다!
지금 27살, 적은 나이는 아니예요. 앞으로 13년 남으셨네요.
가장 중요한 나이이기도 해요.
선택은 본인이지만 제가 가히 말씀드리자면
디자인 전공이라고 디자인할 필요없어요.
다른 길을 가보세요. 인생 선배로 후배에게 꼭 전해주고 싶은
제 마음이라고 해둡시다.

여기 밑에 댓글 다신 분들, ‘현업에 만족하십니까?’
가슴에 손을 데고 자신에게 물어보세요!
그냥 배운거니까 그냥 전공을 이걸로 살렸으니까

요즘은 자소서만 잘 써도 취직한다고 들었습니다.
프로그램 스킬 상급이면 디자이너라고 치부하는
디자인 업계라서 말도 안나오지만..

오퍼레이터가 디자이너 흉내내는 세상에서 힘들게 살지말고
다른 세상을 꿈꿔 보셨으면 합니다.

아직 27살이잖아요!!
용기와 희망, 그리고 내 곁엔 든든한 가족이 있으니까!
조금 늦게 시작해도 디자인보다는 나을 것같습니다.

P.S- 27세 학생 하나 살렸으면 좋겠다!!

회사 들어와서 5년 채워가는 대리임

올해 공채로 신입사원들이 들어옴

남자고 아마 나랑 대부분 나랑 동갑 혹은 +- 1살차이

그런데 내가 회사에서 조금 별개로 업무 진행하는게 많고

보통 부서장급하고 업무하는 역할이라서

신입사원들하고 초기에는 접점이 없음

그래서 적당-히 아마 그냥 행정직으로 본듯함

나중에 업무 상 나한테 와서 이래저래 얘기하는데

존대는 하지만  보통 다른 주임, 대리급에게 하는 것과 다름

그래서 그 선임에게 말함..=_=;

치사해보일수도 있지만, 꼭 그 신입들 말고도

사실 평소에도 좀 만만하게 보여서 호구노릇하던게 누적되어 있었음.

밑사람한테 일 시킬때는 어느 부서 누구에게 가라 지시를 할거고

그때 제대로 얘기 안한거냐 한번 말해둠.

그 뒤로 태도 바뀜.

선임들도 좀 바뀜.

재 좀 물렁해 에서 저 인간 싸가지 없다로 전원 인식 바뀐거라 해도 불만 없음

잡무처리반으로 인식되는 건 이제 사양하고 싶음.

입력2020.04.27 10:53 수정2020.04.27 10:53

여자 대리 나이 - yeoja daeli nai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취업이란 좁은 문만 통과하고 나면 당당한 '사회인'이 될 줄로만 알았는데, 사회초년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 중 하나는 "죄송합니다"다.

업무처리 과정보다 더 어려운 것은 조직 생활에 적응하는 것이다. 회사에만 충성하지 않고 '워라벨'을 챙기는 게 '90년대 생' 들의 특징이라곤 하지만 아직도 상사에게 인정받고, '예쁨' 받기 위해 불합리한 일에도 미소로 일관해야 하는 이들이 있다.

20대 여성 A씨는 직장생활 2년차다. 내년이면 대리진급 대상이라 그 어떤 상사에게도 밉보이지 않고, 능력면에서도 인정받고 싶어한다.

A씨는 입사 2년만에 팀장과 선배들 때문에 큰 고민이 생겼다. 그는 "매일 혼자 밥 먹는 팀장 때문에 곤란하다"는 제목의 글을 올리며 조언을 구했다.

단순하게 보면 '팀장이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한가?' 싶지만 사연이 있었다. A씨는 "제 위로 36살 B 과장, 35살 C 대리가 있는데 34살 젊은 여자 팀장이 왔다. 워낙 실적이 좋으셔서 일찍 승진을 하셨다. 처음 인사가 났을 때부터 선배들은 여자 팀장에 대해 탐탁치 못한 반응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회식 자리에서 터졌다. C 대리가 A씨에게 "반찬 다 떨어졌는데 뭐하니. 이런 건 센스 있게 리필 해야지. 이래서 시부모님 예쁨 받겠어?"라고 말한 것.

이 상황을 본 팀장은 "대리님, 그런 말씀은 업무능력, 직급에 비해 너무 수준 이하 아니냐"며 "업무는 잘 하시면서 안해도 될 말로 오해를 사신다"고 했다.

C 대리는 "막내 귀여워서 하는 소리"라고 웃었다. 이에 팀장은 "같은 직급끼리 하면 장난이지만, 한 직급이라도 높은 대리가 하면 A는 농담으로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일갈했다.

평소 아랫 사람에게 '갑질'하는 듯한 행동을 일삼았던 C 대리가 '합죽이'가 되자 여성 팀원들은 내심 통쾌해 했다.

이후 팀장은 "업무 외적으로 자리는 피하겠다"고 공언했다. 이에 C 대리는 애써 불쾌한 기색은 감추려 애쓰는 모습이 역력했다.

A씨는 "C 대리가 식사 때 팀장님께 같이 먹자고 얘기해 보라고 해서 말을 건네봤지만 팀장님은 한사코 거부한다"면서 "직장 상사들 비위를 맞추는 게 참 쉽지가 않다"라고 토로했다.

아직도 A씨는 초고속 승진한 팀장과 동갑내기 대리 선배 사이에서 누구 편에 서야할지 갈등하는 중이다.

일보다 사람이 어렵다는 직장 생활, 직장인들은 동료와의 관계가 악화됐을 때 어떠한 방법으로 대처하는지 직장인들에게 물었다. 한 설문에 따르면 ‘술·식사 자리를 따로 마련한다’(26.7%)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자연스레 개선되는 편’(26.6%)이 근소한 차이로 1, 2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메신저나 대화를 통해 해결’(17.2%),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음’(10.8%), ▲‘타 동료의 도움을 통해 해결’(7.5%) 순으로 응답이 이어졌고, ‘관계 악화 경험 없음’은 11.2%였다.

※[와글와글]은 일상 생활에서 겪은 황당한 이야기나 어이없는 갑질 등을 고발하는 코너입니다. 다른 독자들과 공유하고 싶은 사연이 있다면 보내주세요. 그중 채택해 [와글와글]에서 다루고 전문가 조언도 들어봅니다. 여러분의 사연을 보내실 곳은 입니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