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헥산디올 부작용 - 1 2-hegsandiol bujag-yong

보통 화장품에서 방부제는 개봉 이후 사용기간 동안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합니다. 과거에는 원료값이 저렴하고 방부효과가 뛰어난 파라벤류의 성분들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미국 FDA에 의해 파라벤류 성분 69종이 발암물질로 분류되면서 파라벤류의 대체 성분으로 각광받기 시작한 성분이 바로 1,2-헥산다이올입니다. 

Show

기존의 파라벤류 성분에 비해 원료값이 다소 고가라는 단점이 있지만 방부 효과가 뛰어나고 부작용이나 자극이 거의 없어서 화장품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1,2-헥산다이올은 물과 알코올에 잘 섞이는 계면활성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용제, 산화방지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배합합니다.

화장품에 방부제(살균/보존제)로 사용되는 1, 2-hexanediol (HD)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하여, Escherichia coli (E. coli)의 β-galactosidase (β-gal)를 이용하여 transgalactosylation 반응으로 1, 2-hexanediol galactoside (HD-Gal)를 합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된 HD-Gal의 인간 피부세포에 대한독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HD와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HD-Gal과 HD의 세포독성은 인간 피부각질형성세포(HaCaT cell line)에 HD와 HD-Gal을 처리한 후, cell proliferation assay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이때, 위상차 현미경으로 HD-Gal과 HD로 처리한 세포의 상태를 비교 관찰하였다. 그 결과, HD-Gal은 42.2 mM에서 211 mM의 농도 범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현미경 관찰에서도 큰 변화를 관찰할 수없었다. 그러나, HD의 경우에는 저농도에서(42.2 mM and 84.4 mM)는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고농도(168.8 and 211 mM)에서 매우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고, 현미경 관찰에서는 고농도에서는 물론이고,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HD의 저농도에서도 세포모양과 세포 수에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앞으로 세포독성이감소된 HD-Gal이 HD의 대체제로서 안전, 건강 및 웰빙 개념의 새로운 용도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We synthesized 1, 2-hexanediol galactoside (HD-Gal) from HD using Escherichia coli (E. coli) β -galactosidase (β-gal), in which the reaction is generally called as transgalactosylation (reverse hydrolys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much HD-Gal and HD had a cytotoxic effect on HaCaT cell, in order to compare HD-Gal with HD in terms of the cytotoxicity of human skin cell. Cell proliferation assay and phase-contrast microscope observation were used for investigating the cytotoxicity. As a result, HD-Gal had not cytotoxic effect on HaCaT cell in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42.2 to 211 mM. In addition, when we observed the cells using microscopy, there was no change in the cell morphology. Meanwhile, when 42.2 mM and 84.4 mM HD were treated on HaCaT cell, we did not observe the cytotoxicity; however, when 168.8 mM and 211 mM HD were on HaCaT cell, HD had a higher cytotoxic effect on HaCaT cell. In addition, when HD was treated on the cells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HD, there were obvious changes in cell morphology and cell number. It was expected hopefully that HD-Gal would be applicable as a substitute for HD as a less toxic preservative in views of safety, health, and well-being.

1,2-�������� �������� ��ųü���� ù��°�� �ι�°�� ��ġ�� ���ڿñⰡ ���� �ϳ��� �ΰ��� �پ��ִ� ������ �Ҽ������ ģ�����⸦ ��� ������ ���Ȱ���� ������ ������ �ֽ��ϴ�.

��(������), ���� ��� ��뼺�� ����ϸ� ���� �������� ���� ��ǰ�Դϴ�.

���� ��ǰ�� ����, ��, ���� � ������ ��ġ�� �ʽ��ϴ�.

���� �Ķ�, ���ÿ�ź���� ��ü ����� ���� ����� �ǰ� ������ �̹ۿ� �ױչ� �������� �����
�ϱ⵵ �մϴ�.  ����� �Ǵ� ����������, �ܼ� �������� ��Ȯ�ϰ� �ϳ��� �������� ���ٴ� �������� �뵵�� ���� ���˴ϴ�.

������, ����, �Ϻ��� �����ܿ��� ��Ų�ɾ�, ���� ��� ���� ��ǰ���� �پ��ϰ� ���ǰ� �ֽ��ϴ�.

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bstract

    본 발명은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상기 보존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보존제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보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 추출물을 화장료 및 기타 외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경우, 1,2-헥산디올 또는 식물추출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훨씬 우수한 항균효과 및 보존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알러지 등을 유발함이 없어 이를 이용하여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1,2-헥산디올, 식물추출물, 항균제, 화장료, 외용제, 보존제

    Description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상기 보존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Preservative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extracted with 1,2-hexanediol as effective component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preservative}

    본 발명은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상기 보존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상기 보존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보존제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보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화장료 등의 외용제 조성물은 제조과정 및 사용중 미생물(세균 및 진균 포함)에 의한 오염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외용제 조성물에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보존 중 미생물을 사멸시켜 제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파라옥시안식향산나트륨 ("파라벤류 방부제"로 통칭되고 있다) 등의 방부제, 이미다졸리디페닐우레아, 페녹시에탄올 등의 방부제가 배합되어 있다. 이러한 파라벤류 등은 방부효과는 우수하지만 독성, 피부자극, 알러지 등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 보존제 등이 요구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방부제를 배합하지 않은 외용조 성물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무균제조, 사용기간의 제한 등 경제성 및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의 경우 보존제로 사용하려는 시도는 있지만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보존제로 사용했을 때 제품의 보존효과가 미약하여 충분한 방부력을 나타내지 못하고 고용량을 사용하였을 경우 변색 및 변취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려 사용이 극히 미미한 상황이다.

    또한, 1,2-헥산디올의 경우 보존제, 탈취제, 잉크 첨가제 등의 용도가 알려져 있다. 하지만 1,2-헥산디올이 보존제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고용량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 및 화장품 등 피부 외용제 제품의 제조에 관계되는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품질의 결정적인 요소로 인식되는 사용감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는 등의 이유로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439869호에는 2-에틸-1,3-헥산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이용한 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5-41745호에는 1,2-헥산디올로 이루어진 보존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으나, 1,2-헥산디올을 용매로 사용한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존제의 상승적 효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파라벤류 등 화학 방부제를 배합하지 않고 특히,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용자에 대해서도 사용시 자극 등을 동반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항균력을 포함하는 보존력을 확보할 수 있는 외용제 조성물 및 그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를 연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 종래부터 보습제 및 용매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1,2-헥산디올이 용매로서의 기능뿐 아니라 일부 진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지만 세균에 대한 항균력은 미약함을 발견하고 또한, 천연물로서 세균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식물을 광범위하게 평가하여 이 중 1,2-헥산디올의 우수한 항진균력과 상승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식물을 선정하였고 이들 식물을 1,2-헥산디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화장료에 배합할 경우 화장료와의 친화성이 우수하며, 낮은 농도에서도 예상치 못하게 우수한 보존력을 나타내어 낮은 농도에서 보존제로서 기능이 가능하여 피부자극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존제로서 1,2-헥산디올을 단독으로 고용량을 사용하였을 때의 문제점인 제품의 사용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2-헥산디올을 사용하여 이들 식물들을 추출한 추출물은 소량으로도 방부력이 우수하여 보존제로 사용하였을 때 피부의 안전성 확보 및 제품의 사용감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제 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보존제를 포함하는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보존제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보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해 1,2-헥산디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식물추출물을 화장료에 배합하면 인체의 자극 등을 유발하는 화학방부제가 없이도 화장료의 장기 보관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혹은 모발용 화장료 등의 각종 화장료나, 연고제 등의 다양한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의 외용 조성물에 있어서 화학방부제를 배합하지 않고도 방부력과 안전성이 우수한 외용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식물 중 인체에 안전하고, 높은 항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식물군 200종을 선정하여 이들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 1,2-헥산디올과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식물은 황금(Suctellaria baicalensis), 후박(Magnolia officinalis), 대황(Rheum palmatum), 송라(Lonicela japonica), 자설화(Plumbago indica, P. zeylanlca), 토목향(Inulahelenium), 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감초(Glycyrrhiza glabra),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자옥반(Uvaria chamae), 포도씨(Vitis ssp.), 산창 자(Litsea cubeba), 애엽(Artemisia argyi, A.vulgaris, A. tridentata, A. princeps), 사극(Hippophae rhamnoidesl), 금은화(Lonicera japonica), 정향(Eugenia caryphyllata), 박하(Mentha haplocalyx), 황백(Phelloaendron amurense),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고삼(Sophora flavescens), 석향로(Mosla chinensis), 화초(Zanthoxylum schinifolium), 황정(Polygonatum sibirium), 해동피(Erythrina variegata), 진교(Gentiana macrophylla), 죽엽(Phyllostachys nigra), 올리브(Olea europaea), 적작약(Paeonia lactiflora), 야국화(Chrysanthemum indicum)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용매로서도 사용가능한 1,2-헥산디올을 사용하여 이들 식물을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파라벤류 등 화학방부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1,2-헥산디올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휠씬 소량으로도 우수한 향균력이나 방부력과 같은 보존력 확보가 가능하며, 보존제로서 1,2-헥산디올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과량사용에 의한 사용감 및 피부자극 등의 안전성의 문제점을 해결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금(Suctellaria baicalensis), 후박(Magnolia officinalis), 대황(Rheum palmatum), 송라(Lonicela japonica), 자설화(Plumbago indica, P. zeylanlca), 토목향(Inulahelenium), 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감초(Glycyrrhiza glabra),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자옥반(Uvaria chamae), 포도씨(Vitis ssp.), 산창자(Litsea cubeba), 애엽(Artemisia argyi, A.vulgaris, A. tridentata, A. princeps), 사극(Hippophae rhamnoidesl), 금은화(Lonicera japonica), 정향(Eugenia caryphyllata), 박하(Mentha haplocalyx), 황백(Phelloaendron amurense),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고삼(Sophora flavescens), 석향로(Mosla chinensis), 화초(Zanthoxylum schinifolium), 황정(Polygonatum sibirium), 해동피(Erythrina variegata), 진교(Gentiana macrophylla), 죽엽(Phyllostachys nigra), 올리브(Olea europaea), 적작약(Paeonia lactiflora), 및 야국화(Chrysanthemum indic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2-헥산디올(1,2-hexanediol)을 이용하여 추출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1 2-헥산디올 부작용 - 1 2-hegsandiol bujag-yo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존제로서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황금(Suctellaria baicalensis), 후박(Magnolia officinalis), 대황(Rheum palmatum), 송라(Lonicela japonica), 자설화(Plumbago indica, P. zeylanlca), 토목향(Inulahelenium), 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감초(Glycyrrhiza glabra),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자옥반(Uvaria chamae), 포도씨(Vitis ssp.), 산창자(Litsea cubeba), 애엽(Artemisia argyi, A.vulgaris, A. tridentata, A. princeps), 사극(Hippophae rhamnoidesl), 금은화(Lonicera japonica), 정향(Eugenia caryphyllata), 박하(Mentha haplocalyx), 황백(Phelloaendron amurense),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고삼(Sophora flavescens), 석향로(Mosla chinensis), 화초(Zanthoxylum schinifolium), 황정(Polygonatum sibirium), 해동피(Erythrina variegata), 진교(Gentiana macrophylla), 죽엽(Phyllostachys nigra), 올리브(Olea europaea), 적작약(Paeonia lactiflora), 및 야국화(Chrysanthemum indic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2-헥산디올(1,2-hexanediol)을 이용하여 추출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1 2-헥산디올 부작용 - 1 2-hegsandiol bujag-yong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이란, 세균, 곰팡이, 효모 등의 오염 미생물 전부에 대한 저항성을 의미하고, '항균력'이란 이들 오염 미생물에 대한 방어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은 필요한 사용 용도에 따라 배합 양을 조절하여 파라벤류 및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등의 화학 방부제를 배합하지 않고도 충분한 보존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실험예 및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료에 사용될 경우 종래의 항균제 또는 방부제에 비하여 안전성이 뛰어나 고, 피부 접촉감 및 화장료의 다른 성분과 친화력이 월등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이다.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의 배합 양은 항균 등의 보존효과를 유효하게 발휘하기 위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0.5 중량% 이상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합 양의 상한선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10 중량%가 충분하고, 그 이상 배합하여도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외용제 조성물은 외피에 적용되는 화장료,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에 널리 적용시킬 수 있고 그 제형도 수용액계, 유화계, 유액계, 겔계, 페이스트계, 연고계, 에어졸계, 물-기름 2층계, 물-기름-분말 3층계 등 폭넓은 제형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모발용 화장료라면 샴푸, 린스, 정발제, 양모제 등의 형태로 상기의 다양한 제형에서 널리 적용 가능하다. 더욱이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의 경우에는 각종 연고제 등의 형태로 널리 적용이 가능하다. 이들 제형 및 형태에 본 발명의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이 취할 수 있는 제형 및 형태가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선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클렌저, 바디클렌저, 유연화장수, 아이라이너, 샴푸, 린스, 비누, 정발제, 양모제, 헤어크림, 헤어스타일링 젤 및 마우스워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보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 실험예, 제조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실시예,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 비교예 중 배합 양을 나타내는 '중량%'또는 '%'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한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 34

    에탄올을 사용한 식물 추출물 제조.

    각 식물의 건조물 100g에 90% 에탄올 1L를 가하여 60℃에서 3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각 식물의 90% 에탄올 추출물을 다음과 같이 얻었다.

    실시예약 재 명추출물(g)1황금(Suctellaria baicalensis)10.22후박(Magnolia officinalis)10.53대황(Rheum palmatum)8.44송라(Lonicela japonica)7.55자설화(Plumbago indica)11.36자설화(Plumbago zeylanlca)12.57토목향(Inulahelenium)10.08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8.59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9.610감초(Glycyrrhiza glabra)11.311보골지(Psoralea corylifolia)10.812자옥반(Uvaria chamae)8.713포도씨(Vitis ssp.)8.414산창자(Litsea cubeba)10.515애엽(Artemisia argyi)12.316애엽(Artemisia vulgaris)11.817애엽(Artemisia tridentata)11.218사극(Hippophae rhamnoidesl)8.719금은화(Lonicera japonica)14.320정향(Eugenia caryphyllata)7.621박하(Mentha haplocalyx)7.922황백(Phelloaendron amurense)11.323고량강(Alpinia officinarum)12.124고삼(Sophora flavescens)11.525석향로(Mosla chinensis)7.526화초(Zanthoxylum schinifolium)12.327황정(Polygonatum sibirium)10.628해동피(Erythrina variegata)10.729진교(Gentiana macrophylla)13.630죽엽(Phyllostachys nigra)15.831올리브(Olea europaea)7.632적작약(Paeonia lactiflora)14.333야국화(Chrysanthemum indicum)17.634애엽(Artemisia princeps)12.1

    실시예 35 ~ 68

    1,2-헥산디올을 사용한 식물추출물 제조.

    각 식물의 건조물 100g에 1,2-헥산디올 1L를 가하여 60℃에서 3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각 식물의 1,2-헥산디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약 재 명추출물(색)35황금(Suctellaria baicalensis)노랑36후박(Magnolia officinalis)갈색37대황(Rheum palmatum)녹갈색38송라(Lonicela japonica)갈색39자설화(Plumbago indica)갈색40자설화(Plumbago zeylanlca)갈색41토목향(Inulahelenium)갈색42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갈색43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갈색44감초(Glycyrrhiza glabra)갈색45보골지(Psoralea corylifolia)갈색46자옥반(Uvaria chamae)갈색47포도씨(Vitis ssp.)갈색47산창자(Litsea cubeba)갈색49애엽(Artemisia argyi갈색50애엽(Artemisia vulgaris갈색51애엽(Artemisia tridentata)갈색52사극(Hippophae rhamnoidesl)갈색53금은화(Lonicera japonica)갈색54정향(Eugenia caryphyllata)갈색55박하(Mentha haplocalyx)갈색56황백(Phelloaendron amurense)연노랑57고량강(Alpinia officinarum)갈색58고삼(Sophora flavescens)갈색59석향로(Mosla chinensis)갈색60화초(Zanthoxylum schinifolium)갈색61황정(Polygonatum sibirium)갈색62해동피(Erythrina variegata)갈색63진교(Gentiana macrophylla)갈색64죽엽(Phyllostachys nigra)갈색65올리브(Olea europaea)갈색66적작약(Paeonia lactiflora)적갈색65야국화(Chrysanthemum indicum)연노랑68애엽(Artemisia princeps)갈색

    항균력 실험

    실시예의 각 추출물의 항균력을 비교하기 위해 1,2-헥산디올 및 실시예 1 ~ 68의 추출물을 에스체리치아 콜리(Eacherichia coli ; ATCC 10536),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 ATCC 9027),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lyococcus aureus ; ATCC 6538),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 ATCC 10231),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 ATCC 8734)의 세 종류의 박테리아와 두 종류의 효모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1 ~ 68 및 1,2-헥산디올의 농도를 0.001 ~ 3%까지 변화시키면서 트립틱 소이 배지(Tryptic Soy broth)에 첨가한 후, 배양액을 액상으로 제조하고 상기의 박테리아 및 효모균을 접종한 후 32℃ 상태에서 배양하고 균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시료에 따라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접종한 초기균의 균수를 99.9% 이상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농도를 최소생육저해농도(MIC)로 하여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여기서는 각 시료의 MIC를 ppm으로 나타냈다. 하기의 표에서 *로 표시한 균은 24시간 배양을 나타내며 **로 표시한 균은 48시간 배양을 나타낸다.

    표 1. 실시예 1 ~ 68의 항균력 시험결과(MIC, ppm)

    실시예*E. coli*P.aeroginosa*S. aureus**C.albicans**A.niger14020020100015002301505001000150034010302000100045001002010002000530050203002000615002005020010071005020260200082007002015001009150014050100700101500100307030011100300306020001210030701000150013150010020602001420330201015001550030302000500161003050150015001750050100500200018200100705002000197008030100015002030203050015002115080602001500221500901002001002310005080501500241500805050202515003050600502660015003010402715001005010030282014010020150029500300401500150303020010010015003120010040200020325002000502000300336001500303007003415001008030023035540320450610830

    3653040056067067037330270530750680384303004306406203950045061075067040770500520350120415302305003405104256062054062089043710540560230410447303405906006504561053049050184046490480450680880478605406906509104865047030043078049590650440540810506705906007406905145043048051052052720330460560630536104505407906605434055044065089055560430490540780567903104405105505770034055045062058820490650450430597804304405904306059076059060066061730450340450600624503104905208206353034034079056064450540540620830656405407108104706660082072079056067610780450430650689003004507105401,2-헥산 디올150090030001200100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2-헥산디올 단독 및 각 식물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력보다 1,2-헥산디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오염 가능한 5종의 미생물(3종 세균과 2종 진균)에 대하여 보다 낮은 농도에서 광범위하게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이는 각 박테리아와 효모에 대한 1,2-헥산디올과 식물추출물 내의 항균성분이 상호 보완 작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오히려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소량 투입으로도 항균력을 유지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시험 방법 1: 방부력 판정 시험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화장료 20~30g에 에스체리치아 콜리(Eacherichia coli ; ATCC 10536),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 ATCC 9027),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lyococcus aureus ; ATCC 6538)등의 혼합 균액을 시료 g당 초기농도 106 cfu(집락형성단위; colony forming unit)/g 되도록 첨가하였다. 이들을 30 ~ 32℃ 항온조에서 4주간 배양하고 1, 7, 14, 21, 28일의 간격으로 각 화장료를 1g씩 취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제조예 및 비교예에 대한 측정 결과는 그 제조예 및 비교예의 다음에 나타냈다. 한편, 곰팡이의 경우에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 ATCC 10231),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 ATCC 8734)의 혼합 균액을 시료당 초기 농도 106 cfu/g 되도록 첨가 혼합한 후 25℃ 항온조에서 배양하면서 7일 간격으로 변취 유무와 시료 표면의 균사 및 포자 발생 유무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1. 제조예 1, 2 및 비교예 1 ~ 3 유연화장수 ( 스킨로션류 )

    유연화장수(스킨로션류) 제조시 실시예 41의 추출물 (1,2-헥산디올로 추출한 토목향 추출물)을 넣어서 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고(제조예 1, 2), 1,2-헥산디올만을 보존제로 사용(비교예 1), 실시예 7의 추출물 (90% 에탄올로 추출한 토목향 추출물)만을 보존제로 사용(비교예 2), 통상의 화학 방부제인 파라벤류, 이미다졸 리디닐 우레아를 사용하여(비교예 3) 시료를 준비하였다. 유연화장수의 처방은 다음과 같다.

    표 2. 제조예 1, 2 및 비교예 1 ~ 3 (유연화장수)

    구 분제조예비교예1 (중량%)2 (중량%)1 (중량%)2 (중량%)3 (중량%)에탄올3.03.03.03.03.0부틸렌글리콜2.02.02.02.02.0농글리세린3.03.03.03.03.0카르복실비닐폴리머0.080.080.080.080.08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0.30.30.30.30.3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0.020.020.020.020.02향적량적량적량적량적량실시예 41의 추출물0.51.51,2-헥산디올3.0실시예 7의 추출물3.0메칠파라벤0.2프로필렌파라벤0.05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0.2정제수To 100To 100To 100To 100To 100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 2 및 비교예 1 ~ 3의 화장료를 시험방법 1에 따라 방부력 판정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 제조예 1, 2 및 비교예 1 ~ 3의 방부시험 결과(유연화장수)

    구분박테리아(cfu/g)곰팡이*초기균수1일차7일차14일차21일차28일차제조예 11 X 1063.5 X 103<20<20<20<20-제조예 21 X 1062.0 X 103<20<20<20<20-비교예 11 X 1061.0 X 1041.0 X 103<100<20<20-비교예 21 X 1061.0 X 1052.0 X 1031.0 X 102<100<20++비교예 31 X 1062.0 X 103<20<20<20<20-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상기 기호의 정의는 하기 결과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2. 제조예 3, 4 및 비교예 4 ~ 6 크림류

    크림류 제조시 실시예 51의 추출물 (1,2-헥산디올로 추출한 애엽 (Artemisia tridentata) 추출물)을 넣어서 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고(제조예 3, 4), 1,2-헥산디올만을 보존제로 사용(비교예 4), 실시예 17의 추출물 (90% 에탄올로 추출한 애엽 (Artemisia tridentata) 추출물) 만을 보존제로 사용(비교예 5), 통상의 화학 방부제인 파라벤류,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를 사용하여(비교예 6) 시료를 준비하였다. 크림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표 4. 제조예 3, 4 및 비교예 4 ~ 6 (크림류)

    구 분제조예비교예3 (중량%)4 (중량%)4 (중량%)5 (중량%)6 (중량%)스테아린산15.015.015.015.015.0에탄올1.01.01.01.01.0농글리세린3.03.03.03.03.0수산화칼륨0.70.70.70.70.7프로필렌글리콜3.03.03.03.03.0향적량적량적량적량적량실시예 51의 추출물0.51.51,2-헥산디올3.0실시예 17의 추출물3.0메칠파라벤0.2프로필렌파라벤0.05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0.2정제수To 100To 100To 100To 100To 100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3, 4 및 비교예 4 ~ 6의 화장료를 시험방법 1에 따라 방부력 판정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표 5. 제조예 3, 4 및 비교예 4 ~ 6의 방부시험 결과(크림류)

    구분박테리아(cfu/g)곰팡이*초기균수1일차7일차14일차21일차28일차제조예 31 X 1063.0 X 103<20<20<20<20-제조예 41 X 1062.0 X 103<20<20<20<20-비교예 41 X 1061.0 X 1042.0 X 103<100<20<20-비교예 51 X 1061.0 X 1052.0 X 1031.0 X 102<100<20++비교예 61 X 1063.0 X 103<20<20<20<20-

    3. 제조예 5, 6 및 비교예 7 ~ 9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류

    파운데이션 제조시 실시예 51의 추출물 (1,2-헥산디올로 추출한 애엽 (Artemisia tridentata) 추출물)을 넣어서 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고(제조예 5, 6), 1,2-헥산디올만을 보존제로 사용(비교예 7), 실시예 17의 추출물 (90% 에탄올로 추출한 애엽 (Artemisia tridentata) 추출물)만을 보존제로 사용(비교예 8), 통상의 화학 방부제인 파라벤류,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를 사용하여(비교예 9) 시료를 준비하였다. 파운데이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표 6. 제조예 5, 6 및 비교예 7 ~ 9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류)

    구 분제조예비교예5 (중량%)6 (중량%)7 (중량%)8 (중량%)9 (중량%)사이크로메치콘14.014.014.014.014.0농글리세린5.05.05.05.05.0이산화티탄17.017.017.017.017.0마이카10.010.010.010.010.0실리카9.09.09.09.09.0향적량적량적량적량적량실시예 51의 추출물0.51.51,2-헥산디올3.0실시예 17의 추출물3.0메칠파라벤0.2프로필렌파라벤0.05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0.2정제수To 100To 100To 100To 100To 100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5, 6 및 비교예 7 ~ 9의 화장료를 시 험방법 1에 따라 방부력 판정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표 7. 제조예 5, 6 및 비교예 7 ~ 9의 방부시험 결과(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류)

    구분박테리아(cfu/g)곰팡이*초기균수1일차7일차14일차21일차28일차제조예 51 X 1063.4 X 103<20<20<20<20-제조예 61 X 1062.1 X 103<20<20<20<20-비교예 71 X 1061.0 X 1041.0 X 103<100<20<20-비교예 81 X 1061.0 X 1051.0 X 1032.0 X 102<100<20++비교예 91 X 1062.0 X 103<20<20<20<20-

    4. 제조예 7, 8 및 비교예 10 ~ 12 폼클렌저류

    폼클렌저류 제조시 실시예 51의 추출물 (1,2-헥산디올로 추출한 애엽 (Artemisia tridentata) 추출물)을 넣어서 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고(제조예 7, 8), 1,2-헥산디올만을 보존제로 사용(비교예 10), 실시예 17의 추출물 (90% 에탄올로 추출한 애엽 (Artemisia tridentata) 추출물)만을 보존제로 사용(비교예 11), 통상의 화학 방부제인 파라벤류,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를 사용하여(비교예 12) 시료를 준비하였다. 폼클렌저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표 8. 제조예 7, 8 및 비교예 10 ~ 12 (폼클렌저류)

    구 분제조예비교예7 (중량%)8 (중량%)10 (중량%)11 (중량%)12 (중량%)프로필렌글리콜2.02.02.02.02.0농글리세린3.03.03.03.03.0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30.030.030.030.030.0코코일트리에탄올아민밀랍3.03.03.03.03.0향적량적량적량적량적량실시예 51의 추출물0.51.51,2-헥산디올3.0실시예 17의 추출물3.0메칠파라벤0.2프로필렌파라벤0.05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0.2정제수To 100To 100To 100To 100To 100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7, 8 및 비교예 10 ~ 12의 화장료를 시험방법 1에 따라 방부력 판정시험을 하여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냈다.

    표 9. 제조예 7, 8 및 비교예 10 ~ 11의 방부시험 결과(폼클렌저류)

    구 분박테리아(cfu/g)곰팡이*초기균수1일차7일차14일차21일차28일차제조예 71 X 1062.4 X 104<20<20<20<20-제조예 81 X 1062.0 X 104<20<20<20<20-비교예 101 X 1066.2 X 1041.0 X 103<100<20<20-비교예 111 X 1062.1 X 1051.0 X 1032.0 X 102<100<20++비교예 121 X 1061.0 X 103<20<20<20<20-

    상기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존제로서 1,2-헥산디올 3%를 단독으로(비교예 1,4,7,10) 또는 항균 효능의 천연 식물의 에탄올 추출물 3%를 단독으로(비교예 2,5,8,11) 사용했을 때보다 1,2-헥산디올을 추출용매로 항균성 식물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보존제로 0.5 ~ 1.5%를 사용한 경우(제조예 1,2,3,4,5,6,7,8)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훨씬 우수한 방부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1,2-헥산디올과 식물 추출물이 혼합 균주의 오염원에 대한 항균 및 방부작용에 있어서 상호 보완과 상승작용을 통해 실현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피부자극과 부작용을 유발하 는 파라벤류나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와 같은 화학 방부제를 함유한 비교예 3,6,9,12와 비교하여도 비슷한 정도의 우수한 방부효과를 보였다.

    인체에 대한 자극성 시험

    상기 표 4에 나타난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제조예 3, 비교예 4 ~ 6의 크림에 대해서 건강한 성인 남여 50명에 대하여 인체 첩포시험(Human 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핀 챔버(Fine chamber)에 15ul를 적하시킨 후 인체의 등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하고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3시간 경과한 다음 피부반응을 다음 기준에 따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전혀 자극이 없음

    자극도 = [{(±)수 x 1} + {(+)수 x 2} + {(++)수 x 3}]/ 피시험자수

    표 10. 인체에 대한 자극성 시험 결과

    구 분판정결과(명)자극도-±+++제조예 3473000.06비교예 4437000.14비교예 5445100.14비교예 6417200.22

    상기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예 3의 경우 비교예 4, 5보다 낮은 농도 에서 방부효과는 훨씬 우수하지만 자극도는 오히려 낮아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화학방부제를 보존제로 사용한 비교예 6과 비교하면 비슷한 방부력을 가지면서 자극도가 낮아 안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1,2-헥산디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제조된 식물 추출물의 경우 보존제로서 1,2-헥산디올 또는 에탄올 식물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훨씬 적은 양으로도 우수한 방부효과를 발휘하는데, 이는 1,2-헥산디올과 식물추출물 내의 항균성분이 혼합하여 오염원에 대한 방부효과에 있어서 상호보완 및 상승작용을 통해 가능하며 제품 내 보다 적은 양을 사용하여 방부가 가능함으로서 보존제로서 1,2-헥산디올을 단독으로 고용량으로 사용하였을 때의 문제점인 제품의 사용감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자극이 낮아 보존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황금(Suctellaria baicalensis), 후박(Magnolia officinalis), 대황(Rheum palmatum), 송라(Lonicela japonica), 자설화(Plumbago indica, P. zeylanlca), 토목향(Inulahelenium), 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감초(Glycyrrhiza glabra),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자옥반(Uvaria chamae), 포도씨(Vitis ssp.), 산창자(Litsea cubeba), 애엽(Artemisia argyi, A.vulgaris, A. tridentata, A. princeps), 사극(Hippophae rhamnoidesl), 금은화(Lonicera japonica), 정향(Eugenia caryphyllata), 박하(Mentha haplocalyx), 황백(Phelloaendron amurense),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고삼(Sophora flavescens), 석향로(Mosla chinensis), 화초(Zanthoxylum schinifolium), 황정(Polygonatum sibirium), 해동피(Erythrina variegata), 진교(Gentiana macrophylla), 죽엽(Phyllostachys nigra), 올리브(Olea europaea), 적작약(Paeonia lactiflora), 및 야국화(Chrysanthemum indic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2-헥산디올(1,2-hexanediol)을 이용하여 추출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화학식 1]

      1 2-헥산디올 부작용 - 1 2-hegsandiol bujag-yong

    2. 황금(Suctellaria baicalensis), 후박(Magnolia officinalis), 대황(Rheum palmatum), 송라(Lonicela japonica), 자설화(Plumbago indica, P. zeylanlca), 토목향(Inulahelenium), 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감초(Glycyrrhiza glabra), 보골지(Psoralea corylifolia), 자옥반(Uvaria chamae), 포도씨(Vitis ssp.), 산창자(Litsea cubeba), 애엽(Artemisia argyi, A.vulgaris, A. tridentata, A. princeps), 사극(Hippophae rhamnoidesl), 금은화(Lonicera japonica), 정향(Eugenia caryphyllata), 박하(Mentha haplocalyx), 황백(Phelloaendron amurense),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고삼(Sophora flavescens), 석향로(Mosla chinensis), 화초(Zanthoxylum schinifolium), 황정(Polygonatum sibirium), 해동피(Erythrina variegata), 진교(Gentiana macrophylla), 죽엽(Phyllostachys nigra), 올리브(Olea europaea), 적작약(Paeonia lactiflora), 및 야국화(Chrysanthemum indic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2-헥산디올(1,2-hexanediol)을 이용하여 추출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1 2-헥산디올 부작용 - 1 2-hegsandiol bujag-yong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선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클렌저, 바디클렌저, 유연화장수, 아이라이너, 샴푸, 린스, 비누, 정발제, 양모제, 헤어크림, 헤어스타일링 젤 및 마우스워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