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교육과정 수학 - 2022 gyoyuggwajeong suhag

  • 작성자자료기록물관리부
  • 조회수2416

성과물 IDRRC 2021-6-1성과물 분류코드기본연구보고서주제교육과정분류체계 대분류교육분류체계 중분류초중고교육성과물 한글명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국어, 도덕, 사회, 수학, 영어 (RRC 2021-6-1)성과물 영문명총서명연구보고 RRC 2021-6-1책임자 명주형미연구유형 분류코드정책페이지수613공동연구자박진용, 김상범, 김현미, 변희현, 임윤진, 서지영, 이경언, 박소영, 배주경, 정윤미(연구조원)연구 참여자수11발간년도2021ISBN979-11-6846-001-0 94370첨부파일RRC202100601.pdf   다운로드횟수 : 1332목차

I. 서론 2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2
  2. 연구 내용 25
  3. 연구 방법 26

Ⅱ.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31
  1.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및 운영 실태 연구 32
  2.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연구 34

 

Ⅲ.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및 개선 방향 45
  1. 델파이 조사 개요 46
  2. 교과별 델파이 조사 결과 49

 

Ⅳ.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139

  1. 국어과 141
  2. 도덕과 205
  3. 사회과 228
  4. 수학과 296
  5. 영어과 348

Ⅴ. 결론 399
  1. 요약 400
  2. 정책 제언 410

 

· 참고문헌 433

 

· ABSTRACT 449

· 부록 455
  1. 델파이 1차 조사지 456
  2. 델파이 2차 조사지 503
  3. 설문 조사지 568

▼ 펼쳐 보기 ▲ 접어 두기연구필요성
및 목적▼ 펼쳐 보기 ▲ 접어 두기한글개요영문개요연구내용

 2020년에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학교 현장에서는 학교 교육 체제나 교수·학습 방식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변화해야 함을 절실하게 체감하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학교 교육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미래교육으로 발 빠르게 전환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교육부는 ‘코로나 이후 시대의 미래교육 전환’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미래형 교육을 위한 「2022 개정 교육과정」 개편’을 발표하였다. 차기 교육과정 개정 일정에 의하면, 올해에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사항을 발표하여 2022년에 교육과정 개정 및 고시를 하고, 2024년에 초등학교 1∼2학년군부터 새 교육과정을 적용할 계획이다(교육부, 2020: 5). 이와 같이 차기 교육과정 개정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점검을 통해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할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원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서 타 교육과정기에 비해 비교적 많은 정책 연구들을 수행하였는데 이들 연구는 크게 교육과정 운영 실태 연구,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 대한 개선 연구, 교과 교육내용 적정성 연구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외에 개인 연구자 수준에서 수행한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교과별 연구도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은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이라는 새로운 개정 내용과 문서 체제에 대한 문제 제기와 개선의 큰 기본 방향만을 제시하고 있어 실제적으로 교육과정 개정 시에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찾기가 어렵거나 일부 주제에 한정된 제언을 하고 있다. 이에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화 되고 실질적인 개선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쟁점을 다각도로 종합 분석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 개편 계획에 따른 교육과정 개정 추진 방향(안)을 고려하여 새 교육과정 개정에 부합하는 교과별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나 구성 조직과 같은 틀에 대한 개선보다는 각 교과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구체적 내용 즉, 성격(교과 역량 포함),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등에 대한 교과 내부적 요구 수렴 및 개선에 중점을 두어 방안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개 교과(국어, 도덕, 사회, 수학,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영어)의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교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2022년에 개정될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탐색하고,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과 교육과정이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살펴보았다. 이후 교수 및 교과 전문가, 초·중학교 교사, 교육부 교육연구사 및 시·도교육청 장학사 등 총 180명의 교육 전문가 의견을 델파이 조사를 통해 수렴하여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등에 대한 주요 쟁점 및 개선 방향을 종합 정리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거쳐 종합 정리된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및 개선 방향은 9개 교과별 전문가 워킹그룹에서 2015 개정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으로 재정리되었고, 쟁점별로 차기 교육과정 개정 방향 및 국내외 교과 교육 변화 등을 고려하여 개선 방안이 모색되었다. 교과 전문가 워킹그룹은 교과별로 전문가 6∼12명(교수 2∼8명, 초등학교 교사 1∼3명, 중등학교 교사 1∼3명, 유관기관 연구원 1명)으로 구성된 총 64명의 교과 교육 전문가로 구성되었다.
 교과 전문가 워킹그룹을 통해 마련된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쟁점별 개선 방안에 대해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였다. 전국 초·중학교 600개교(초등학교 300개, 중학교 300개)의 9개 교과 담당 교사가 설문에 참여하여 총 3,757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교과 전문가 워킹그룹에서는 설문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최종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도덕, 사회, 수학,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영어의 총 9개 교과에 대한 초·중학교의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바탕으로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단기적인 정책 제언으로는 교육과정 개정 과정 중에 반영할 수 있는 교과 교육과정 문서 개발 관련과 개정 이후 후속 지원 관련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중장기적으로는 교과 교육과정 개정 절차 및 방식 관련 개선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교과 교육과정의 문서 개발과 관련해서는 교과 교육과정 개발진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공통 개발 지침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과 교육과정 개발 지침은 차기 교과 교육과정도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발된다는 전제 하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지침에 추가될 수 있는 내용으로 보다 상세화 되고 교과 특성을 고려한 지침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교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등에 대해 교육과정 문서 개발 추가 지침을 제시하였다.
 교과 교육과정 개정 이후의 지원 방안과 관련해서는 교육과정 고시 이후 교육과정의 학교 적용을 위한 후속 지원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교과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지원 방안으로 교육과정 실행 매뉴얼을 개발할 것과 온라인 교육과정 실행 지원 시스템을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실행 매뉴얼은 국가 교육가정 개정 방향, 성취기준 설정의 취지 및 관련 학습 내용,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 관련 안내, 평가 예시 문항 등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설명서가 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온라인 교육과정 실행 지원 시스템은 교육과정 관련 사이트에서 교육과정 정보가 원활하게 제공되는 것과 함께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이 강화될 수 있는 시스템이 함께 마련되도록 하여 교육과정 실행 지원 측면이 강화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의 상시 운영 체제를 구축하여 모니터링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과정 실행 상황을 살펴보고 필요시 지원해 주는 교육과정 개정 이후의 지속적인 지원 체제를 마련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과정·교과서 일정을 고려한 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의 연계 제고 방안으로 교육과정 개발진이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개발에 참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과 교육과정 개정 관련 중장기 방안으로는 총론과 각론의 연계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정 절차 및 방식에 대한 개선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실행 방안으로 국가 교육과정 개정 추진 체계에 현행의 각론조정위원회와는 별도로 각론개발위원회(가칭)를 신설하여 각 교과의 교육과정 개발진 모두로 구성하고 교육과정 개정 방향 설정부터 교육과정 개정 이후 후속 지원까지의 일련의 과정에 참여하는 개발 조정 업무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각론조정위원회는 기존과 같이 총론과 각론 간의 조정을 하고, 총론의 개발 방향이 각론에 잘 부합되었는지 검토하는 운영 방식의 조정 업무를 수행하고, 각론개발위원회(가칭)는 국가 교육과정 개정 방향 설정, 교과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사항 및 문서 개발 지침 개발, 교과 교육과정 문서 시안 개발, 교과 교육과정 실행 관련 자료 개발,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개발 등의 개발 업무와 각론 간의 조정 업무를 통해 교과 간 연계 제고를 위한 역할을 하도록 제안하였다.

기대효과정책기여 내용연구방법성과물 주제어초·중학교, 교육과정, 국어, 도덕, 사회, 수학, 영어연구 시작기간연구 종료기간공개여부공개비공개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