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재호흡마스크 장점 - bubunjaehoheubmaseukeu jangjeom

1. 산소요법 적응증

다음과 같은 문제로 인해 발생한 저산소증의 치료

산소요법의 목표- 혈액 내 산소 운반 능력 극대화

호흡기계 장애: COPD, pneumonia, pulmonary hypertension, cor pulmonale 등

심혈관 장애: angina, MI, arrhythmia, cardiogenic shock 등

중추신경계 장애: opioid narcotics overdose, head injury 등

호흡 활동 감소

동맥혈 산소분압(PaO) 유지

심장의 부하 감소

휴식이나 수면 및 활동 시 산소포화도(SaO) 90% 이상 유지

동맥혈 산소분압(PaO)을 60mmHg 이상 유지

2. 산소투여방법

다음을 고려하여 산소투여방법 결정

산소공급경로: 입 또는 코, 인공기도(인두관, 기관내관, 기관절개관) 등

흡입산소농도(FiO)

산소공급전달체계

환자의 움직임, 환자의 협조, 안위 및 비용 등

※ FiO2 : fraction of inspired O2

환자들이 숨을 들이 쉴 때 그 중에 산소가 얼마나 있느냐를 나타내는데 백분율로 표시된다.

호흡수, 호흡량, 산소공급 속도에 따라 실제로 환자가 마시는 공기 중의 산소농도는 달라진다.

<FiO2 계산하기: Estimation FiO2>

[산소공급전달체계]

1) 저유량장치

2) 고유량장치

대기 중의 산소가 다량 혼합

환자의 호흡양상에 따라 산소량이 변화할 수 있음

산소를 농축하여 주입

산소를 정확한 농도로 공급할 수 있음

환자의 호흡 패턴에 상관없이 정확한 양의 산소를 제공할 수 있음

비강캐뉼라

단순마스크

부분 재호흡 마스크

비재호흡 마스크

산소 보유 캐뉼러

경기관 카테터

안면 텐트

기관 절개 칼라

기관 절개 T자 관

벤츄리마스크

인공호흡기

종류

간호중재

장점/단점

nasal cannula

낮은 산소농도(22-44%), 느린 속도(2-6L/min)  : 24%(1L/min)~44%(6L/min)의 낮은 농도의 산소를 제공

낮은 농도의 산소가 필요한 환자(예: 만성적으로 이산화탄소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 사용

안절부절못하는 환자에게 투여할 때에는 안정시킬 것

들이쉬는 산소의 양은 대기 중 공기와 환자의 호흡 양상에 따라 결정됨

COPD 환자의 경우 2L/min 산소까지 견딜 수 있음

장기 사용 사 캐뉼러 귀 부분에는 패드를 대어줄 것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도구로 단순하며 편안하고 적용하기 쉽다.

침대 내에서 환자는 움직일 수 있다.

환자는 이 장치를 하는 동안 먹고, 말하고, 기침할 수 있다.

제 위치에 유지되기 어렵고 쉽게 잘 빠짐

5L/min 이상 높은 유량에서는 비강, 인두점막이 건조되어 자극

비강 및 귀 주변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음

nasal catheter

먹는데 불편하지 않으며, 마스크 대신 이용

비인두 자극하여 불편감 초래할 수 있음

단순 마스크

산소농도 35-50%

산소유량 6-12L/min(느리면 마스크 내 CO2 축적하게 됨)

2시간마다 마스크 안쪽을 닦고 건고시킴

마스크를 편안하게 고정

식사 시 비강 캐뉼러로 바꾸어 제공

고무줄 때문에 귀의 윗부분에 압력 괴사가 생기는지 관찰함. 거즈 또는 다른 패드를 대어줄 수 있음.

마스크 내에 내쉰 공기가 축적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적어도 5L/min 이상의 유속으로 공급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산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중인 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충분히 가습화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마스크와 얼굴 사이가 밀착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마스크가 불편할 수 있음

마스크로 인해 피부에 압력이 가해져 자극을 줄 수 있음

입이나 코에서 나오는 열이 방출되기 어려움

먹거나 마실 때 벗어야 함

부분 재호흡 마스크

일부 호기 공기가 저장주머니 속으로 유입되어 산소와 혼합됨

산소는 reservoir bag에 담기게 되며, 호기 공기 중 1/3이 bag으로 다시 가고 흡기 시에는 reservoir bag의 공기를 들이마시게 됨

산소농도 60-90%, 산소유량 6-10L/min

혈액 내 산소 농도를 높이기 위해 유용한 방법

COPD 환자에게 추천되지 않음

주머니는 호기 시 허탈 되어서는 안 됨(주머니가 꼬이지 않도록 주의)

마스크는 가볍고 쉽게 사용할 수 있음

저장 백(reservior bag)에 산소를 보유할 수 있음

짧은 기간(24시간)동안 높은 농도의 산소가 요구되는 환자에게 유용

마스크는 높은 가습을 제공하지 못함

환자는 불편해하고 착용하기를 거부할 수 있음

비재호흡 마스크

흡기 시 산소는 마스크와 주머니로 들어옴

호기된 공기가 저장주머니 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일방향 프랩으로 배출됨

산소농도 60-100%, 산소유량 5-15L/min

마스크를 편안하게 고정

흡기동안 주머니가 허탈되지 않도록 충분한 유량이 유지되어야 함

주머니는 흡기 시 허탈되어서는 안 됨

밸브는 호기 시 열리고 흡기 시 닫혀 흡입산소농도가 줄어드는 것을 예방

환자는 다음 단계로 기도삽관이 요구될 수 있으므로 잘 관찰

높은 농도의 산소를 정확하게 전달함.

짧은 기간(24시간) 동안 높은 농도의 산소 제공이 요구되는 환자에게 좋음

마스크는 높은 가습을 제공하지 못함

환자는 불편해하고 착용하기를 거부할 수 있음

산소 보유 캐뉼러

oxygen conserving cannula

코 고정형(must ache)과 목걸이 같은 펜턴트 타입이 있음

환자에게 낮은 유속(최대 8L/min)으로 사용할 수 있음

30-50%의 상소를 공급

ABGA로 효과 평가

환자에게 맞는 산소량을 결정하기 위해 pulse oxymetry 사용

귀 위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패드를 대줌

편안하며 비용이 저렴하고 활동하기 용이

병원 또는 집에서 장기 산소 요법을 받아야 하는 환자에게 적합

캐뉼라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없음

제조업체에서는 매주 캐뉼러를 교환하는 것을 추천(비용이 많이 듦)

눈에 잘 띄고 귀에 무거움

귀 위에 오랜 시간 걸면 괴사를 일으키는 원인이 됨

경기관 카테터

transtracheal catheter

환자와 가족에게 기관 절개구 간호법과 카테터 교환 방법을 교육함. 절차는 침습적이므로 무균법을 수행함.

눈에 잘 띄지 않으며 비강 자극이 적음

점액선으로부터 과도하게 점액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카테터가 자주 막힐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음

안면 텐트

face tent

중간에서 높은 밀도의 에어로졸을 제공하는 이상적인 기구임

위로 뚫려 있는 플라스틱 마스크를 턱 아래에 적용

에어로졸의 온도가 체온과 비슷하게 유지되는지 확인

산소 공급량이 부정확 함

벤츄리 마스크

원뿔의 가운데 있는 작은 노즐로 산소 제공. 원뿔이 열리면서 산소가 들어감.

마스크에는 호기된 공기가 빠져나가기 위한 큰 구멍이 있음

환자의 호흡 패턴에 상관없이 처방된 산소농도에 따라 산소를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투여

24%, 28%, 31%, 35%, 40%, 50%의 산소를 제공할 수 있음

가습을 위해 어댑터를 적용할 수 있음

가벼운 플라스틱과 원뿔 모양의 장치를 얼굴에 밀착시킴

COPD 환자에게 낮은 농도의 산소를 일정하게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음(고농도 산소 공급 시 호흡정지 올 수 있기 때문 - “이산화탄소 혼수”)

공기 유입 포트가 막히지 않도록 함

마스크는 불편할 수 있음

음식물 섭취 시 벗어야 함

말을 할 수 있으나 목소리가 덮인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음

3. 합병증

가. 연소(combustion): 산소는 화재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므로 흡연을 금지시켜야 함

나. 이산화탄소 혼수(CO narcosis): 정상적으로 이산화탄소의 축적은 호흡중추의 자극원이 되는데, COPD 환자들은 만성적으로 높은 수준의 이산화탄소에 내성을 지니게 되어, 산소투여를 하게 되면 COPD 환자들의 호흡 유발 능력을 감소시킴. 산소요법 시 저유량으로 시작해 ABGA에서 적절한 결과를 얻을 때까지 유속을 천천히 조절하며, 호흡억제가 발생하는지 주의 깊게 관찰.

다. 산소 독성(O toxicity): 고농도의 산소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으로써 발생. 폐포 모세혈관막에 손상을 입히고, 폐포 계면활성제를 비활성화 시켜 폐유순도(compliance)를 감소시키며, 간질과 폐포 부종을 유발시켜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이 발생할 수 있음. 50% 이상의 농도와 24시간 이상 산소 공급은 잠재적으로 산소 독성이 있다고 봄. ABGA를 통해 산소분압(PaO)을 유지시킬 정도로만 산소를 투여할 것.

라. 흡수성 무기폐(absorption atelectasis): 정상적으로는 질소는 호흡하는 공기의 79%를 차지하며 혈류 내로 흡수되지 않고 폐포 허탈을 예방함. 고농축 산소 공급 시 질소는 폐포 밖으로 빠져나가고 산소로 대체되는데, 이 때 기도가 폐쇄되면 산소는 혈류 내로 흡수되고 이로 인해 폐포가 허탈되어 무기폐가 발생할 수 있음.

마. 감염(infection): 가습기 지속 사용 시 pseudomonas aeruginosa 같은 감염 미생물인 세균이 성장하기 쉬움. 폐쇄 시스템으로 작동할 수 있는 일회용 기구 사용하여 예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