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전력 자동차단 상시전환 - daegijeonlyeog jadongchadan sangsijeonhwan

마산YMCA 새 회관에 입주한지 4년이 지났습니다. 

새 회관 전기 콘센트 30% 이상은 대기전력 차단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일반콘센트 4구 자리인데, 대기전력 차단콘센트 1개가 포함된 3구콘센트로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2010년부터 신축 건물을 지으면 30% 이상은 의무적으로 대기전력차단 콘센트를 설치하도록 바뀌었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막상 이 콘센트를 사용해보니 (정확한 사용법을 몰라서) 여간 불편하지 않았습니다. 

대기전력 자동차단 상시전환 - daegijeonlyeog jadongchadan sangsijeonhwan

노란 테두리가 있는 아래 오른쪽 콘센트가 대기전력 차단콘센트입니다. 이 콘센트에 전기제품 플러그를 꽂아도 전원이 켜지지 않습니다. 사진 1번의 버튼을 누르면 전기가 들어오는데, 이 때 2번의 빨간 불빛이 점멸하게 됩니다. 2번의 빨간 불빛이 점멸하는 동안 전기가 들어오지만, 일정 시간(2~3분) 전기 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면 빨간 불빛이 꺼지고 전기가 자동으로 차단됩니다. 

그런데 충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하면 자꾸 전력이 차단되어 여간 불편하지가 않습니다. 음향기기를 켜두고 행사를 하는데 중간에 전력이 차단되는 일도 있구요. 아무튼 전기제품을 완전히 끄지 않았는데, 차단해버리는 일이 가끔씩 있었습니다. 

대기전력자동차단 기능을 끄는 방법을 찾기 위해 1번 버튼을 연속해서 누르거나 1번 버튼을 길게 눌러보았지만 상시전력으로 전환이 되지 않더군요. 지난 4년 동안 이 불편을 그냥 감수하고 살았습니다. 일반 콘센트에 멀티탭을 연결해서 사용하고 사실상 <대기전력차단콘센트>는 사용을 하지 않았습니다. 사실상 2구 콘센트와 다름이 없었습니다. 

안타깝게도 YMCA 회원들도 이 <대기전력차단콘센트> 사용법을 아는 사람들이 없었기 때문에 지난 4년 동안 사실상 2구콘센트로 사용하였습니다. 저희 회관 곳곳에 이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말입니다. ㅠㅠ

대기전력 자동차단 상시전환 - daegijeonlyeog jadongchadan sangsijeonhwan

결국 제가 선택한 방법은 비싼 <대기전력차단콘센트>를 뜯어내고 일반 콘센트를 설치하는 방법 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콘센트를 뜯었더니 제조회사와 모델명이 나오더군요. 제품 겉면에는 제조사 표시도 모델명 표시도 없어서 인터넷 검색을 해도 똑같은 제품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다른 제품들 사용설명서를 보니 <대기전력차단콘센트>를 일반 콘센트로 전환하는 방법이 나와 있더군요. 이걸 보면서 내가 사용법을 몰라서 그렇지 YMCA 회관에 설치된 <대기전력차단콘센트>도 분명히 일반 콘센트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겠구나 하는 확신을 갖게 되었습니다. 

일반콘센트를 교체하기 전에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제조사와 모델명으로 인터넷 검색을 해봤습니다. 그랬더니 위 사진에 보시는 3번의 구멍을 뾰족한 침(이쑤시게 등)으로 찌르면 일반콘센트(상시전환)로 바뀐다는 사용 설명이 있더군요. 세상에나 "유레카"를 외치고 후배들에게 바로 알려주었습니다. 실무자들 모두가 불편을 감수하고 있었기 때문이지요.(~~ 뭐 저 만큼 기쁘하지는 않았습니다.)

저 처럼 <대기전력차단콘센트>를 제대로 사용할 줄 몰라 불편을 겪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아 바로 사진을 찍어 블로그에 포스팅 해 둡니다.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사용법과 후기

요즘은 절전 관련해서 스마트한 기기들이 많이 보급 되어있는데, 대기전력을 최소화하면 약 3000원 이상 요금을 아낄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단순하게는 이마트나 이케아 멀티탭 같은 품질이 보장된 구매처에서 멀티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잖아요. 그런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는 플러그를 제거하지 않아도, 리모컨 조작으로 대기전력 줄일 수가 있고, 가정에 의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손 쉽게 접근 할 수 있어서 활용해보았습니다.

대기전력 자동차단 상시전환 - daegijeonlyeog jadongchadan sangsijeonhwan

자동이라는 말과는 무색하게 콘센트와 연결된 기기의 전원이 꺼지면 자동으로 대기전력이 차단되지만, 전원을 켤 떄는 콘센트의 상시/대기 버튼으로 조작하거나 리모컨으로 콘센트를 작동하는 반자동 방식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3구를 기준으로 IR 리모컨으로도 조작/ 설정 가능한 사용법과 사용후기를 적습니다.

상시 콘센트 2구는 그대로 사용하고, 대기전력 콘센트 1구는 리모콘으로 조작 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리모콘의 기능은  버튼을 누르면 (콘센트 대기에 LED가 점등이 되면서) 전력 공급이 되면서 전자제품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전력차단은 전자제품의 전원을 OFF하고 약 3분 정도 쯤에 깜빡 거리다가 자동으로 차단 되고요.

대기전력 자동차단 상시전환 - daegijeonlyeog jadongchadan sangsijeonhwan

준비물품 : IR 리모콘 수신모듈, 리모콘 

1. 수신모듈을 콘센트 접합부 연결

2.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에 (전원이 OFF된) 전자제품 플러그 연결

3. 대기모드 설정 : (대기 LED가 켜진 상태에서)  대기 모드를 누르면 대기 LED가 수회 깜빡거린 후에 설정 완료

4. 리모콘 수신모듈과 리모컨의 연결 :  (상시 LED가 켜진상태에서) 상시 모드를 누른 후 LED가 깜박거린 후에

   IR 수신창 방향으로 리모콘 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버튼을 누르면 끝.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가 설치 되어있거나 인터넷 쇼핑몰이나 쿠팡에서 구매하셔서 콘센트를 교체해도 나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간단하게 설정 가능 합니다.

사용시 주의사항이 있는데  전력량이 너무 낮거나 과부하가 걸릴 수 있는 전자제품은 적절하지 않다고 합니다.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원리가 저젼류가 흐르는 경우는 전류를 차단하는 개념인데 휴대폰 충전기는 대기전력으로 판단해 전원을 차단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실 사용에서는 정상적으로 지속 충전 되었습니다.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거나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제품들은 부적절 하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전기밥솥같이 보온이 예약되어 있는경우는 맞지 않을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집에 에어컨 리모컨, iptv 같은 올레, 유플러스 티비 리모컨 등등 한 두개 이상이실텐데 연결된 리모컨 이외의 다른 리모컨으로도 이중으로 조작이 가능했습니다.  LG tv 스마트폰 리모컨같은 경우는 시도해보진 못했네요.

작동 빈도 수가 낮은 LCD TV,  커피포트, 전기 밥솥이 연결된 콘센트에 설치하여 사용하면서 리모컨으로 전류 공급을 조작한다는 게 번거로운 면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외출시에  에어컨에 연결된 대기전력 차단 절전 멀티탭으로 일일이 눌러 조작하는 것보다는 리모컨으로 조작가능한 점이 편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습관화 되지 않은 부분도 있고 편리하게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불필요한 동작을 추가하는 것이니까요.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월 전기요금이 절약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의 원본주소는 https://miracletheater.tistory.com/40 입니다.

[관련글]

지역난방 에너지 복지요금 지원제도

전기요금 필수사용공제 제도